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age Types of Homosexual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연구

  • 이연선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태경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 연희정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Received : 2015.06.15
  • Accepted : 2015.07.25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elief in homosexuality. This study applied the Q-method to investigate teachers'subjective awareness of homosexuality. Using an open questionnaire, we asked participants to describe how they think about homosexuality. Forty-five pre-service teachers were Q-sampled. Using the QUANL program, 45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9 levels. Results revealed that image typ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stinguished categories: 1) type of respect: to regard gays and lesbians as normal people who love the same sex, 2) type of acknowledgment: to regard them as very unique people who attract people's attention, 3) type of relation-denying: to regard them as someone who were born totally differently, and 4) type of extremely denying-to regard them not being respected and disgusting. Most of the teachers seemed to have a tendency to acknowledge and respect individuals'sexual orientation. However, some pre-service teachers still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homosexu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ilenced issue, that is, sexual orient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can have a strong effect on young children's belief about sexual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It would be important to look back on educators'perspective on homosexuality before suggesting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related to the issue of sexual orient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과 그 특성을 Q-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 4학년의 예비유아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동성애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Q-모집단을 마련하였다. 그 중 4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Q-표본을 만들고, 45명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진술문의 동의수준을 9단계로 분류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 '존중형-동성을 사랑하는 보통 사람', '인정형-시선이 집중되는 독특한 사람', '관계부정형-나와 다른 자아를 타고난 사랑', '극단적 부정형-존중받지 못하는 혐오스런 사람'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동성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그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동성애에 대한 인식론적 지배담론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신념에서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 다문화교육에서 침묵된(silenced)부분인 성에 대한 교육-실천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동성애에 대한 교육자의 시각을 점검해보고 한국사회의 동성애에 대한 문화적 이해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유아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방향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 구정화 (2013). 초등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연구. 시민교육연구, 45(3), 31-53.
  3. 김흥규 (2007). Q방법론 및 이론: P표본의 선정과 Q소팅. 주관성 연구, 15, 5-19.
  4. 김홍규 (2008).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스북스.
  5. 나달숙 (2013).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의 인권보호와 인권교육 방향. 법과인권교육연구, 6(3). 23-55.
  6. 박선진 (2010). 동성애에 관한 고등학교 사회과교사의 인식조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수미, 정기선 (2006).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70, 5-26.
  8. 서덕희 (2011). 문화 없는 다문화교육을 넘어서: 문화의 과정성과 다차원성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재개념화. 교육학연구, 47(4), 231-264.
  9. 서보순, 연희정 (2014). 유치원 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수업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14(3), 95-124.
  10. 신경희, 강미옥 (2014). 성소수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변화 연구. 교사교육연구, 53(4). 723-739.
  11. 심상보 (2014). 홀리스틱 영 교육과정 관점으로 본 인권교육: 성 소수자를 중심으로. 홀리스틱교육연구, 18(3), 75-91.
  12. 오경희 (2010). 유아다문화 교육: 인식의 전환을 통한 포괄적 접근 가능성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187-212.
  13. 오채선 (2008). 유아 다문화교육의 현실과 교육적 대안. 유아교육학논집, 12(4), 167-197.
  14. 이부미 (2013).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질적 연구의 특징과 한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7(6), 31-55.
  15. 이연선, 윤갑정, 견주연 (2012). 유아다문화교육의 의미 탐색 및 실제적 제언: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3), 117-140.
  16. 이자혜 (2012).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의 동성애 재현과 담론. 한국극예술연구, 35, 365-401.
  17. 이종일 (2014). 다문화사회와 타자이해. 경기: 교육과학사.
  18. 이형식 (2013).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문학과 영상, 14(3). 711-736.
  19. 정여울 (2009). 몸, 권력, 이미지; 대중문화에 나타난 "양성성"의 이미지- 소설 및 드라마 바람의 화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7, 7-33.
  20. 정은주 (2010). 비판적 관점에서 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1), 95-114.
  21. 조대훈 (2006). 침묵의 교육과정을 넘어서: 성적 소수자의 인권과 사회과 교육. 시민교육연구, 38(3), 211-241.
  22. 조대훈 (2011). 동성애에 대한 교수적 태도의 영향 변인 연구-다문화교육과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시민교육연구, 43(1), 205-237.
  23. 조서연 (2012). <인생은 아름다워>에 나타난 TV드라마의 동성애. 한국극예술연구, 35, 365-401.
  24. 한규석 (2013).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5. 황효정, 정혜영, 이경화 (2012). Q 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475-503.
  26. 홍지아 (2003). 드라마에 나타난 낭만적 동성애의 재현과 사랑 지상주의적 서사 - <커피프린스 1 호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2(1). 162-200.
  27. Aronson, E .(2014). The Social Animal, Eleventh Edition, 인간, 사회적 동물(박재호 옮김). 서울: 탐구당(원판 1993).
  28. Berk, L. E. (2007). Infants and children (5th ed), 아동발달(박낭자, 강숙현, 박경희, 백미열, 성정숙, 오채선 et al 옮김). 서울: 정민사(원판 2005).
  29. Blasie, M., & Brown, A. W. (2001). How "bad" can it be? Troubling gender, sexuality, and early childhood teacher. In N. Yelland (Ed.), Critical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49-57). Maidenhead,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30. Casper, V., Cuffaro, H. K., Schultz, S., Silin, J. G., & Wickens, El. (1996). Toward a most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world: Sexual orient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66(2), 271-293. https://doi.org/10.17763/haer.66.2.h44831447873261p
  31. Derman-Sparks, L., & Edward, J. O. (2010).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our selves. Washington, DC: NAEYC.
  32. Fiske, S. T., & Tailor S. E. (2010). Social cognition, from brains to culture (1st ed), 두뇌로부터 문화에 이르는 사회인지(신현정 옮김). 서울 : 박학사(원판 2007).
  33. Haeberle. E. J. (2006). Children and sex, Part II: Childhood sexuality, In. V. Bullough & B. Bullough (Eds.), Human sexuality: an encyclopedia. New York: Garland.
  34. Honig, A. (2000). Psycho-social development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55(5). 70-77.
  35. Shai, T. A. (2011). Taking a stand: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in educating against homophobia. Journal of Hate Studies, 9. 149-168.
  36. Souto-Manning, M., & Hermann-Wilmarth, J. (2008). Teacher inquires into gay and lesbian familie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6(3), 263-278. https://doi.org/10.1177/1476718X08094450
  37. Straut, D., & Sapon-Shevin, M. (2003). "But no one in the class is gay": Countering invisibility and creating allie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R. M. Kissen (Eds.), Getting ready for Benjamin (PP. 1-13). New York, NY: Rowman & Littlefield.

Cited by

  1. 보육교직원의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 vol.21, pp.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21.21.03.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