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Model for Users's Accepting Smart Health Care Services by Moderating the User Types

사용자유형을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수용의도의 구조모형

  • Received : 2015.08.11
  • Accepted : 2015.08.26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In this paper, first, we examined the factors which would affect users's intention for accepting Smart Healthcare Service. Second, we analyzed weather the types(health care provider vs. health care recipient) of the users would modulate the factors's influence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are novelty-seeking, self-efficac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security. The mediating variables are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acceptance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variable is the user type which contains health care provider and health care recipient.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recognized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users would affec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in the smart healthcare services, but the user types(health care provider vs. health care recipient) did not modulate the factors's influences. We also recognized that the facilitating conditions would affec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in the smart healthcare services, in particular, the user types modulated the influences in the ease of use. We also recognized that the security would affec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influence was more sensitive in the case of the health care provider. At last, we recognized that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would affect the acceptance intentions. The influence of the ease was more sensitive in the case of the health care recipient. The influence of the usefulness was more sensitive in the case of the health care provider.

본 논문에서는 첫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Smart Health Care Services)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고, 둘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의 영향력이 의료인과 비의료인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로는 개인혁신성, 자기효능감, 촉진조건, 보안성을 적용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종속변수로는 수용의도, 조절변수로는 사용자유형(의료인 vs. 비의료인)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수립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사용자들의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의료인과 비의료인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촉진조건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용이성의 경우 그 영향력은 비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보안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용이성과 유용성은 각각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용이성의 영향력은 비의료인이 더 민감하였고 유용성은 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효진, 스마트미디오시대 디지털 매거진 채택결정 요인 연구: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 김근형, 고영관, 오성렬, "유.무료 선호도를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폰앱의 재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3권, 제1호, pp.17-37, 2013.
  3. 김대업, AMOS A to Z, 학현사, 2008.
  4. 김수민, 통합된 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한 유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 배영우, 봉진숙, 민원기, 신용태, "인지 컴퓨팅 융합 헬스케어 정보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과학회논문지, 제42권, 제6호, pp.734-747, 2015.
  6. 배철균,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영향이 스마트폰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 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 산업연구원, "모바일 세계가 주목하는 미래 스마트 헬스케어산업", e-KIET 산업경제정보, 609호, 2015.
  8. 손영환, 김근형, 오성렬, "LTE서비스의 결합상품 여부에 따른 사용자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356-36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356
  9.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227-251, 2011.
  10. 허영, 도정회, 김홍진,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KEIT보고서, 이슈 4호, 2015.
  11. 신미향, "스마트폰 기반 쇼핑몰에 대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적 혁신성이 유용성과 사용편이성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97-209, 2014.
  12. 양영배, 김민철, "건강증진모형을 활용한 유헬스시스템의 행위의도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747-755, 2015. https://doi.org/10.6109/JKIICE.2015.19.3.747
  13. 이석기, 조현, "사용자의 만족도에 따른 정보시스템 성공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173-178, 2011.
  14. 이영주, 이주희, 나지영, "노인의 스마트 홈 헬스케어 이용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414-42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414
  15. 이윤경, 박지윤, 노미정, 왕보람, 최인영, "의사들의 유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사용의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349-35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349
  16. 정기택, 조철호, 백미라, "유헬스케어의 의료서비스 질 향상 및 효과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학술대회, pp.457-476, 2012.
  17. 정철호, "확장된 UTAUT 모형에 기반한 개인차원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수용",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호, pp.287-294, 2014. https://doi.org/10.14400/JDPM.2014.12.1.287
  18. J. W. C. Arts, R. T. Framebach, and T. H. A. Bijmolt, "Generalizations on consumer innovation adoption: A meta-analysis on drivers of intention and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Vol.28, No.2, pp.134-144, 2011. https://doi.org/10.1016/j.ijresmar.2010.11.002
  19. F. Buellingen and M. Woerter, "Development Perspectives, firm strategies and Applications in Mobile commer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7, No.12, pp.1402-1408, Dec, 2004. https://doi.org/10.1016/S0148-2963(02)00429-0
  20. F. D. Davis, R. P. Bagozzi, and P.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pp.982-1003, 1989. https://doi.org/10.1287/mnsc.35.8.982
  21.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 New York: Free Press, 2003.
  22. Taylor S. Todd, "Assessing IT Usage: The Role of Prior Experience", MIS Quarterly, Vol.19, No.4, pp.561-570, 1995. https://doi.org/10.2307/249633
  23. V. Venkatesh, M. G. Morris, G. B. Davis,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27, No.3, pp.425-478, 2003. https://doi.org/10.2307/30036540
  24. P. Verdegem and L. De Marez, "Rethinking determinants of ICT acceptance: Towards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overview," Technovation, Vol.31, No.8, pp.411-423, 2011.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11.0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