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roblems of current science textbook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view of learner-centered classroom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의 관점에서 초중등 교사와 학생이 본 현행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

  • Received : 2015.10.06
  • Accepted : 2015.12.08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It is important for student to participate in classroom actively in order to raise effeciveness of education. In this study, we have considered the science textbooks as major factor which influence to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class, and aimed to find the problems of current sicence textbooks as tool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the improvement method.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 the questions to ask requirements for and problems of science textbooks for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developed, and then 99 science teachers and 821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students responded that current science textbooks lacked explanation, had many of difficult words and complex sentences, and were uninteresting. Teachers responded that current science textbooks had large in quantity, were written knowledge centered, and lacked of link with real life, and of story. To conclude, science textbooks revitalizing the students' participation had to strengthen the link with real life, increase students' activities, use words and sentences appropriate level for students, strengthen storyline, and provide sufficient chances to check the students' understanding by themselves.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 시간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로 교과서를 꼽고, 현행 과학 교과서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한 뒤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을 위해 과학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현재 과학 교과서가 가진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고 초, 중학교 과학교사 99명과 학생 8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학생들은 현재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으로 설명이 부족하고, 어려운 단어가 많으며, 문장이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렵고, 재미가 없다 등을 꼽았고, 과학 교사들은 학습 분량이 많고, 지식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실생활 연계가 부족하고, 스토리가 없는 등의 문제점을 꼽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과학 교과서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학생 활동을 늘이며,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단어나 문장을 구사하고, 스토리를 강화하고, 학생들이 자신들의 이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주현재 (2009).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 현직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34.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 (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3), 260-268.
  3. 김균태 (2011). 국어과의 좋은 교과서와 좋아하는 교과서. 교과서연구, 66, 19.
  4. 김재복, 김왕근, 양미경 (1997). 교과서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과정연구회 연구보고서.
  5. 김정호, 윤현진, 황혜정, 이선경, 박소영 (1998).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98-8.
  6. 김종희, 이용섭, 안현희, 김상달 (2003).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4(5), 378-392.
  7. 박선화 (2011). 좋은 수학 교과서. 교과서연구, 65, 4.
  8. 손명철 (2013). 학습자 주도적인 탐구형 세계지리 교과서 모형 탐색 -영국의 고등학교 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3), 117-127.
  9. 손영옥, 박윤배 (2002). 과학 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40-749.
  10. 양애경, 조호제 (2009).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 8(3), 61-82.
  11. 이의갑 (2011). 새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교과서의 방향. 교과서연구, 66, 30.
  12. 이진석 (2011). 사회과 교육과정과 좋은 교과서에 대한 제언. 교과서연구, 64, 16.
  13. 장낙한, 류재욱 (2009).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한자 화학용어가 학생들의 화학개념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2), 346-352.
  14. 장경원, 이지은 (2009).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315-339.
  15. 정은이 (2012). 대학생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교육방법연구, 24(2), 355-378.
  16. 주형주, 이지애, 김영민 (2012). 과학 교실 수업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교사교육연구, 51(3), 410-422.
  17. 차민정, 김창민, 권혜정, 조형대, 이주영, 정수정, 박은아, 문유, 왕몽, 서종원, 지종민, 장문, 박미선, 이예다나, 김규동, 이림, 박하식, 유세종, 김정주, 박인우 (2010). 학습자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22(1), 195-219.
  18. 최윤미, 이형철 (2012).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1), 120-129.
  19. 하정혜. (2005). 학습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본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 윤리교육연구, 7, 127-147.
  20. 허숙 (2009). 국가 교육과정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육과정연구, 27(3), 1.
  21. 홍후조, 백혜조, 임혜진 (2013). 학습자 중심의 '참고서가 필요 없는', '확장된' 교과서의 의미와 구현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255-283.
  22. Bishop, C. F., Caston, M. I., & King, C. A. (2014). Learner-centered environments: Creating effective strategies based on student attitudes and faculty reflection.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14(3), 46-63.
  23. Connell, J. P., & Wellborn, J. G. (1991).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A motivational analysis of self-esteem processes. In M. R. Gunnar & L. A. Sroufe (Eds.), Self processes in development: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23, 167-216.
  24. Danver, D., & Kamvounias, P. (2005). Student involvement in assessment: A project designed to assess class participation fairly and reliably.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0(4), 445-454. https://doi.org/10.1080/02602930500099235
  25. Doyle, T. (2008). Helping students learn in a learner-centered environment: A guide to facilitati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tylus Publishing, LLC.
  26. Duffy, T. M., Kirkley, J. R. (2003). Learner-centered theory and practice in distance education: Cases from higher education. Routledge.
  27. Ryan, R. M., & Deci, E. 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54-67. https://doi.org/10.1006/ceps.1999.1020
  28. Weimer, M. (2002). Learner-centered teaching: Five key changes to practice. John Wiley &
  29. Wigfield, A. & Eccles, J. (1992).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A theoretic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12, 265-310. https://doi.org/10.1016/0273-2297(92)9001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