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he Actors Evaluation Model Apply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학제간 융합 연구기법을 적용한 배우 평가모델 개발

  • 김정섭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영상연기학과)
  • Received : 2015.06.02
  • Accepted : 2015.07.25
  • Published : 2015.10.28

Abstract

After the Korean Wave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acting arts, scientific actors management has been demanded for the purpose of investment stabilization in related area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new convergence actors evaluation model apply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assessment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consensus of experts has been derived through Delphi Method. In conclusi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actors were drawn by 10 different factors. They are composed of qualitative factors such as the ability of acting and communication, degree of understanding of works and production system, actor philosophy and stability of the actors' self-management, physical condition and image, passion and enthusiasm for acting and works, and performance factors such as the stardom, fandom, philmography, audience share and ticket power, and network size and quality.

한류열풍이후 연기예술 분야가 산업화하면서 콘텐츠 투자의 안정화를 위한 배우경영의 과학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제간 연구를 통해 융합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배우 평가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배우평가 요소들을 엄선해 분류하고 델파이기법을 적용하여 전문가들이 컨센서스를 이룬 결과, 배우의 평가요소는 자질적 요소인 연기 및 소통 능력, 신체 조건과 이미지, 연기와 작품에 대한 적극성과 열정, 작품 및 제작환경에 대한 이해도, 배우철학과 자기관리의 안정성, 성과적 요소인 시청자와 관객 동원 능력, 스타덤, 팬덤, 작품 경력, 네트워크 등 10가지로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오진호,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적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pp.234-24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234
  2. S. Kaplan and D. Norton, The Balanced Scorecard: Translating Strategy into Act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6.
  3. A. Hursman, "Measure what matters," Information Management, Vol.20, No.4, p.24, 2010.
  4. W. Eckerson,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ies," Business Intelligence Journal, Vol.14, No.1, pp.24-27, 2009.
  5. 박우성, "역량중심의 인적자원 관리", 한국노동연구원 워킹페이퍼, Vol.2002, No.3, pp.1-56, 2002.
  6. 김우룡 외,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나남, 2008.
  7. 한국언론학회, 융합과 통섭: 다중매체 환경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 나남, 2012.
  8. E. Wilson, The Theatre Experience(연극의 이해), 채윤미 옮김, 예니, 1998.
  9. R. Cohen and J. Calleri, Acting Professionally: Raw Facts About Careers in Acting, New York; McGraw-Hill, 2009.
  10. A. Villiers, L'art du comedien(배우의 예술),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1962.
  11. 유수열, PD를 위한 텔레비전 연출 강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2. 김준삼, 김학민, "배우의 자아 발견을 향한 여정과 인물 구축을 위한 도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pp.57-6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057
  13. 박 진, "한국 연극계를 장식한 여배우 군상", 여성계, Vol.5, No.7, pp.120-125, 1956.
  14. KBS, "KBS 연기자 등급표 및 배역료 산출식", 2012. 9. 1.
  15. 임준석, 이근석, "한국영화 산업에서 있어서 지식기반자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전략경영연구, Vol.6, No.1, pp.49-74, 2003.
  16. 김은미, "한국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47, No.2, pp.190-220, 2003.
  17. 이양환, 장병희, 박경우, "국가간 영화 흥행요인 비교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 미국 영화시장에서 미국 영화의 흥행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Vol.7, No.1, pp.185-222, 2007.
  18. 김휴종, "한국 영화스타의 스타파워 분석", 문화경제연구, Vol.1, No.1, pp.165-200, 1998.
  19. E. Penrose, The Theory of the Growth of the Firm, NY: Wiley, 1959.
  20. 문용린, "개인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중지능 하위요소의 재분석", 교육심리연구, Vol.21, No.2, pp.283-309, 2007.
  21. R. White,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Vol.66, pp.297-331, 1959. https://doi.org/10.1037/h0040934
  22. D. McClellan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28, pp.1-14, 1973. https://doi.org/10.1037/h0034092
  23. R. Boyatzis,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82.
  24. L. Spencer and S. Spencer, Competence at Work, New York: Wiley, 1993.
  25. W. Rothwell and J. E. Lindholm, "Competency Identification Modelling and Assessment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Vol.3, No.2, pp.90-105, 1999. https://doi.org/10.1111/1468-2419.00069
  26. J. Schippmann, Strategic Job Modeling, Mahwah, NJ: Erlbaum, 1999.
  27. 박기문, "융합인재 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2, pp.233-256, 2014.
  28.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 "인간 능력으로 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Vol.45, No.3, pp.233-26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