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ggestion on the New Service Research Framework

서비스연구의 프레임워크 제안

  • Kim, Hyunsoo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okmin University)
  • 김현수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5.08.07
  • Accepted : 2015.09.23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a new service research framework for servic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 comprehensive and streamlined research framework is essential for rapid growth of service industry with support of academic researches. An in-depth analysis on relevant service research fremeworks and major research issues on service sector and service nature has been performed. Past and present research frameworks on service sector have been reviewed based on the nature of service and the desirability for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 new research framework has been derived and a five-section model has been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finding useful research topics in service sector.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service research as a solid and major academic field in the new economy.

서비스의 역사는 오래지만, 서비스연구의 역사는 길지 않다. 서비스기업이 증가하면서 1970년대부터 서비스마케팅 등의 학문이 활성화되었고, 21세기 들어 서비스경제가 본격 도래하면서 서비스사이언스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는 본질적인 차원에서 서비스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리뷰하고 서비스연구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새로운 학제적인 융합학문으로서 서비스학이 정립되고, 이를 통해 서비스산업이 발전되고, 그리고 서비스학이 활성화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그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먼저 서비스연구의 발전 과정을 시간축으로 분석하고, 기존의 서비스 관련 연구 프레임워크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서비스연구의 주요 주제들을 프레임워크의 세부 구성 요소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 주제들 및 초안 프레임워크들이 각 시대의 필요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서비스학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은 부족하였으므로, 서비스학의 본질에 중심을 둔 서비스연구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즉, 서비스본질 연구, 서비스기능 및 시스템연구, 서비스인 연구, 서비스기업 및 경영연구, 서비스산업 및 경제연구 등 다섯 개의 연구부문으로 구성되는 서비스연구 프레임워크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제적인 신학문으로서 서비스학의 프레임워크를 정립하고,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학계가 기여해야할 주요 분야를 발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향후 보다 본질에 충실하면서도, 실용 학문으로서의 서비스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재 외 9인 (2009), "서비스 혁신 연구: 프레임워크와 연구 이슈", 대한산업공학회지, 35(4), 226-247.
  2. 김현수 외 9인 (2011), 지식경제시대의 서비스사이언스, 생능출판.
  3. 김현수 외 5인 (2010), 국가연구개발서비스 선진화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보고서.
  4. 램브레히트 저 (1963), 김태길 외 2인 역,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5. 이기동 역해 (2010), 주역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6. 이유재, 이청림 (2014), "최근 서비스마케팅 연구에 관한 종합적 고찰 및 향후 연구제언", 마케팅연구, 29, 121-166.
  7. 이유재, 이청림 (2014), "서비스품질 연구에 관한 종합적 고찰: 최근 10년(2004-2013)의 연구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9(2), 1-43.
  8. 한국IT서비스학회 서비스사이언스연구회 (2006), 서비스사이언스, 매경출판.
  9. Baron, S., Warnaby, G., and Hunter-Hones, P. (2014), "Service(s) Marketing Research: Developments and Dir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16, 150-171. https://doi.org/10.1111/ijmr.12014
  10. Fynes, B. and Lally, A. M. (2008), Innovation in Services: From Service Concepts to Service Experiences, in Service Science, Management and Engineering( SSME), Bill Hefley and Wendy Murphy(Eds.), Springer, 329-333.
  11. Ivanovic, A. and Fuxman, L. (2012), Productivity and Innovation in Services: The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Offered by Service Science, in N. Delener Eds., Service Science Research, Strategy and Innovation: Dynamic Knowledge Management Methods, Business Science Reference, PA., USA.
  12. Kunz, W. H. and Hogreve, J. (2011), Toward a deeper understanding of service marketing: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28, Elsevier, 231-247. https://doi.org/10.1016/j.ijresmar.2011.03.002
  13. Lusch, R. F., Vargo, S. L., and Wessels, G. (2008), Toward a conceptual foundation for service science: Contribution from service-dominant logic, IBM Systems Journal, 47(1), 5-14. https://doi.org/10.1147/sj.471.0005
  14. Moussa, S. and Touzani, M. (2010), "A Literature Review of Service Research Since 1993", Journal of Service Science Research, 2(2), 173-212. https://doi.org/10.1007/s12927-010-0008-9
  15. Ostrom, A. L., Bitner, M. J., Brown, S. W., Burkhard, K. A., Goul, M., and Smith-Daniels, V. (2010), "Moving forward and Making a difference: Research priorities for the Science of service", Journal of Service Research, 13(1), 4-36. https://doi.org/10.1177/1094670509357611
  16. Rhodes, D. H. and Nightingale, D. J. (2008), Educating Services Science Leaders to Think Holistically about Enterprises, in Service Science, Management and Engineering(SSME), Bill Hefley and Wendy Murphy (Eds.), Springer, 163-168.
  17. Salminen, V. and Kalliokoski, P. (2008), Challenges of Industrial Service Business Development, in Service Science, Management and Engineering (SSME), Bill Hefley and Wendy Murphy (Eds.), Springer, 41-48.
  18. Siegel, J., Evenson, S., Hefley, B., and Slaughter, S. (2008), Legitimizing SSME in Academia: Critical Considerations and Essential Actions, in Service Science, Management and Engineering (SSME), Bill Hefley and Wendy Murphy (Eds.), Springer, 3-9.

Cited by

  1. An analysis of manufacturing-service industry co-evolution: A spiral growth model vol.8, pp.1, 2016, https://doi.org/10.1007/s12927-016-0003-x
  2.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Medical and Nursing Service Marketing vol.24, pp.4, 2018,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4.352
  3. 서비스본질 기반의 서비스산업 정책방안 vol.7, pp.1, 2015, https://doi.org/10.18807/jsrs.2017.7.1.015
  4. 서비스 연구 프레임워크 관점에서의 향후 연구과제 vol.7, pp.1, 2015, https://doi.org/10.18807/jsrs.2017.7.1.083
  5. 서비스 개념의 진화에 따른 신(新) 서비스 시스템 모델 vol.7, pp.2, 2017, https://doi.org/10.18807/jsrs.2017.7.2.001
  6. 산업간 경계해체 시대의 서비스R&D 전략 vol.7, pp.2, 2015, https://doi.org/10.18807/jsrs.2017.7.2.079
  7. 서비스경제철학으로서의 한국고유사상 정합성연구 vol.7, pp.3, 2017, https://doi.org/10.18807/jsrs.2017.7.3.105
  8. 시뮬레이션활용 경영 교육의 품질요인과 성과에 대한 학습유형의 조절효과 vol.7, pp.4, 2015, https://doi.org/10.18807/jsrs.2017.7.4.151
  9. 서비스본질기반의 지혜자산화 서비스디자인 제안 vol.8, pp.1, 2015, https://doi.org/10.18807/jsrs.2018.8.1.001
  10. 서비스 본질 특성과 동태적 역량이 중소제조기업의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 vol.8, pp.1, 2018, https://doi.org/10.18807/jsrs.2018.8.1.027
  11. 서비스시대 교육서비스 신모델 연구 vol.8, pp.2, 2018, https://doi.org/10.18807/jsrs.2018.8.2.025
  12. 서비스학 학위과정 프로그램개발 연구 vol.8, pp.3, 2015, https://doi.org/10.18807/jsrs.2018.8.3.037
  13. Service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vol.11, pp.2, 2015, https://doi.org/10.1007/s12927-019-00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