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among Human Rights Awareness, Social Support and Social Integration in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장애인서비스 제공자의 인권 인식, 사회적 지지, 사회통합과의 관계

  • 김진연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영춘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8.05
  • Accepted : 2015.09.02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human rights awareness and social support on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to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hen human rights awareness are recognized impact on social integration and verifi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ocial integration. In result, First, human rights awareness is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Second, on human rights awareness also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integration. Third, social support has been identified a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ppeared to affect human rights awareness recognized indirectly in social integration. This the human rights awareness affects directly social integration,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as mediators in the process of human rights awareness and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If a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made the correct recognition for human rights and social support can be seen that social integration can be achieved.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제공자의 인권 인식,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인권 인식이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사회통합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권 인식은 사회적 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둘째, 인권 인식 또한 사회통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인권 인식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권 인식은 사회통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인권 인식과 사회통합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애인서비스 제공자가 인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사회적 지지가 이루어진다면 사회통합이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우진, 장애인 사회통합에 관한 요인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 구정화, 설규주, 송현정,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국가인권위원회, 2004.
  3. 김녕,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인권교육 교사 워크숍자료집, 2000.
  4. 김진, 도덕과 교육에서 인권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5. 김명숙, 사회적 지지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김병학, 교회의 노인교육과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 김선오, 재가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내무부 지방행정연수원, 1999.
  8. 김숙자, 김현정, 변선주,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제12권, 제4호, pp.299-323, 2008.
  9. 김승한, 의식개혁과 평생교육, 현대사회, 1981.
  10. 김정유, 최유석, "사회적 지지가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208-219, 2015.
  11. 김지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2. 김혜정, 고등학생의 인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3. 노정숙,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4. 류수정, 아동권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아동권리 보장 실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문형표, "사회통합의 의의 및 정책적 과제," 사회복지 94겨울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4.
  16. 박봉규, 부모의 양육태도와 고등학생 인권의식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박수경, 산업재해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8. 박연순,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과 인권 수행정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9. 박형원, "클라이언트 권리옹호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365-37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365
  20. 방대혁, 대학생의 인권인식과 사회적 책임성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1. 변소현, 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2. 서유림, 영유아권리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3. 선수경,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4. 심성보, 교사의 인권의식 조사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25. 심응섭, 초등교원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6. 오성희,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7. 유성남, 청소년의 인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당진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8. 윤진희,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동권리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9. 이미래, 보육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 인권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0. 이미숙,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 인식 분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1. 이소라, 아동의 권리에 대한 아동, 부모, 교사의 인식, 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32. 이은복,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작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3. 이은혜,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4. 이지영, 영아의 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5. 이지훈, 일반가정 자녀와 맞벌이 가정 자녀의 도덕성 발달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6. 이철수, 사회복지학사전, 혜민북스, 2009.
  37. 전원희, 조명주, 나현주,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 방식,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219-228, 2015.
  38. 전준현, 사회적 지지와 학교환경이 청소년의 인권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9. 현영렬, 아동.청소년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0. 홍선우, 김지수, 현혜진, "간호대학생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260-269, 2011.
  41. S. Hart and M. Zeidner,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Vol.1, pp.165-188, 1993. https://doi.org/10.1163/157181893X00043
  42. S. Segal and U. Aviram,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Based Sheltered Care: A Study of Community Care and Social Integration," New York: Wiley,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