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플립러닝의 학습효과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이희숙 (삼양초등학교) ;
  • 강신천 (공주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김창석 (공주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Received : 2015.09.30
  • Accepted : 2015.12.15
  • Published : 2016.01.30

Abstract

This study has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wo hundred thirty-six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through how much the flipped learning variables affect achievement, motivation affects achievement the most, and then interaction, participation come next. Second, looking through how much the flipped learning variables affect personality, interaction affect personality the most, and then teaching attitudes come nex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search model, the hypothetical model indicating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participation, teaching attitudes, interaction and achievement, personality is valid.

본 연구는 플립러닝 학습효과 변인과 학습효과 예측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을 통해 얻은 중 고등학생 236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으로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플립러닝 관련 변인들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습동기 변인이 가장 많은 기여를 하고 있고, 다음은 상호작용과 학습참여도 변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플립러닝 관련 변인들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상호작용 변인이 가장 많은 기여를 하고 있고, 다음은 교수태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인성형성에 무엇보다도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연구모형 검증 결과 학습동기, 학습참여도, 교수태도, 상호작용과 성취도, 인성 간의 구조적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방송공사 (2014). KBS 파노라마 21세기 교육혁명.
  2. Bergmann, J., & Sams A. (2013). 당신의 수업을 뒤집어라(임진혁, 이선경, 황윤미 공역). 서울: 시공미디어
  3. He, Y., Swenson, S., & Lents, N. (2012). Online video tutorials increase learning of difficult concepts in an undergraduate analytical chemistry course.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9, 1128-1132. https://doi.org/10.1021/ed200685p
  4. Ruddick, K. W. (2012). Improving chemical educa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using a more hands-on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emphis.
  5. Strayer, J. F. (2012). How learning in an inverted classroom influences cooperation, innovation and task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Research, 15, 171-193. (http://dx.doi.org/10.1007/s10984-012-9108-4)
  6. Bull, G., Ferster, B. & Kjellstrom, W. (2012). Inventing the Flipped Classroom. Learning and Leading with Technology, 40(1), 10-11.
  7. Mason, G., Shuman, T., & Cook, K. (2013).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verted classroom to a traditional classroom in an upper-division engineering course.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56(4), 430-435. doi: 10.1109/TE.2013.2249066
  8. 이민경 (2014).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효과와 의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41(1), 87-116.
  9. 김남익, 전보애, 최정임 (2014).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교육공학연구, 30(3), 467-492.
  10. 이희숙, 강신천, 김창석 (2015).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2), 47-57.
  11. Slavin, R. E. (1991). Cooperative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2), 315-342. https://doi.org/10.3102/00346543050002315
  12. 구광현, 가영희, 이규영 (2007). 교육심리학. 서울: 동문사
  13. Gottfried, A. E. (1990).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in you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25-538. https://doi.org/10.1037/0022-0663.82.3.525
  14. 윤미선, 김성일 (2004). 중.고생의 학업성취 결정요인으로서 사고양식, 학습동기, 교과흥미, 학습전략 간의 관계모형. 교육심리연구, 18(2), 161-180.
  15. 강민석, 김진일, 박인우 (2009).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0(5), 135-143.
  16. 전달영, 권주형, 안광진 (2005). 사이버대학의 e-Learning 서비스 품질과 참여요인이 학생만족과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8(4), 185-208.
  17. 유평준 (2003).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교육정보방송연구, 9(4), 229-267.
  18. 임연욱, 이옥화 (2008). 사이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연구. 열린교육연구, 16(2), 177-200.
  19. 정혜영 (2008).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 요인과 참여도가 학습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0. 임재호 (2000). 인성특성과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원대학교.
  21. 유재화 (1992).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2. 최선용 (2008). 이러닝 환경에서 허용적 학습 분위기가 교수실재감과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3. Wentzel, K. R. (1997). Student Motivation in Middle School: The Role of Perceived Pedagogical Car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3), 411-419. https://doi.org/10.1037/0022-0663.89.3.411
  24. 이형섭 (1996).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교사 아동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학습태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5. 최은주 (2001).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6. 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임정훈 (2000). 평생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16(1), 223-246.
  27. 최경애 (2008). 이러닝의 대인 상호작용 유형과 성인학습자의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간의 관계 연구. 교육공학연구, 24(4), 167-191.
  28. 고일상, 최수정, 정경호 (2006).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몰입의 영향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6(1). 83-108.
  29. 김규동, 고유정, 최고은, 박인우 (2012).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8(1), 169-188.
  30. Swan, K. (2002).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in online course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Education. Communication & Information, 2(1), 23-49. https://doi.org/10.1080/1463631022000005016
  31. 민보영 (2012). 부모의 학습관여에 따른 학습동기와 창의적 인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32. 이윤희 (2013). 학생의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교육 요인 : 도덕성, 사회성,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3. 김양분, 강상진, 류한구 (2003).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4. 진윤정 (2009). 중학생의 인성특성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35. 조수정 (2003).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3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10), 271-285.
  37. Bagozzi, R. P. (1988). On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Experimental Desig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6(3).
  38. 김석우 (2007). SPSS WIN 12.0 활용의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9.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NY: McGraw-Hi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