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olicy Improvement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National Geospatial Standards

체계적인 공간정보표준 관리를 위한 정책개선 방안 연구

  • Hwang, Byungju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wang, Jungrae (Strategy Planning Team,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Institute) ;
  • Kim, Byeongsun (Smart Urban Space Institute, Anyang University)
  • 황병주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황정래 (공간정보산업진흥원) ;
  • 김병선 (안양대학교 스마트도시공간연구소)
  • Received : 2016.10.06
  • Accepted : 2016.12.07
  • Published : 2016.12.10

Abstract

Recently, policy trends related to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have changed to openness and sha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geospatial standards to ensure a high level interoperability across heterogeneous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These geospatial standards are essential to advancing data access, query, management, processing and interoperability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However, geospatial information companies which provide GIS software and service or construct geospatial data have been many difficulties to implement and adopt geospatial standards, because the geospatial standards of Korea were not systematically managed. So this study analyzed the various problems such as redundancy, version-mismatch and similarity of domestic geospatial standards through reviewing the present status of domestic geospatial standard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geospatial standards. Moreover, it is judg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efficiently contribute to the domestic policy on geospatial standards for management, organization and laws i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최근 들어 공간정보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와 관련된 정책 동향은 개방과 공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동향에 맞춰서 개별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공유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표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공간정보표준을 준수할 경우,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가독성, 정보처리 및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준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공간정보표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간정보사업자들은 표준 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표준 제정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공간정보표준이 갖는 표준의 중복성, 버전 간 불일치, 유사 표준 제정 등의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공간정보체계에서 공간정보표준의 관리 운영, 조직 구성, 법제도 개선 등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간정보산업진흥원. 국가공간정보표준화연구. 2014.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Institute. 2014. Research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tandardization.
  2. 국토교통부. 2010.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 (KOPSS) 구축(4차) 최종보고서.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0. Research of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Construction(4th).
  3. 국토연구원. 국가공간정보정책 지원연구. 200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9. The Research of Supporting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4. 국토연구원. 국가공간정보표준화연구. 2011.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1. Research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tandardization.
  5. 김병선, 안종욱, 신동빈. 2014.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2(2):11-18. Kim B, Ahn J, Shin D.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ervice-Oriented Connection Model among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2(2):11-18.
  6. 김태훈, 김성수, 홍창희, 황정래. 2013. OGC기반 도시 공간정보 데이터 연동서비스를 위한 상호연계기술 개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1(1): 15-22. Kim TH, Kim SS, Hong CH, Hwang JR. 2013. Development of Interconnection Technology for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on OGC Standard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1(1):15-22.
  7. 박종택, 최병남, 서기환, 이영주, 사공호상. 2009. 한국형 공간정보인프라 모델정립 및 글로벌화 전략 연구. 국토연구원. 국토연 2009-54. p. 20-35. Park, J.T., Choi, B.N., Seo, K., Lee, Y. and Sakong H.S. 2009. Establishment of Korea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Model and Study of Globalization Strateg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2009-54. p.20-35.
  8. 이기원, 강혜경. 2010. 공간영상정보 관련 ISO와 OGC 표준현황과 활용을 위한 제언.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6(4):451-464. Lee KW, Kang HK. 2010. ISO and OGC Standards for Geo-spatial Imag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for Their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4):451-464. https://doi.org/10.7780/kjrs.2010.26.4.451
  9. 이상훈, 이우식. 2012. 공간정보 분야 국제표준화 현황 및 그 대응방안. 대한토목학회지. 60(1):31-35. Lee SH, Lee WS. 2012.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Geospatial Standards and Corresponding Measures for It.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0(1):31-35.
  10. 이재호, 박명진, 백경호, 허민. 2011. 공간정보 표준과 기술규정 간의 내용 불일치 연구.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 309-313. Lee JH, Park MJ, Bae KH, Heo M. 2011. A Study on Inconsistency between Geospatial Spatial Standards or Technical Regulations.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309-313.

Cited by

  1.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vol.17, pp.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152
  2. 디지털 트윈 국토 참조 모델 및 데이터 모델 표준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vol.51, pp.1, 2021, https://doi.org/10.22640/lxsiri.2021.5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