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Young Children's Free Choice Activities and a Play Rule Restricting the Number of Players

유아의 자유선택활동과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

  • Received : 2015.12.11
  • Accepted : 2016.02.04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eature of children's play according to a player number restriction rule in the free choice activitie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management of free choice activ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homeroom teacher, professor as a co-researcher and 25 4-year-old children of a private kindergart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 children interview and reflective journal of the teacher from July to October in 2014.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ildren were stressed out with using name cards for presenting center selection, showed overcompetitive behaviors, and frequently violated the rules.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 restriction rule had some dysfunctions, which were interferences of moral development, social-emotional development, self-regulation development, preventing safety-accident and free choice behavior. The researcher as a teacher abandoned the player number restriction rule, and observed the children's play. As a result,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ies on physical space, play and conflicts improved and the teacher changed her strategy when managing free choic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s of various restriction rules and appropriate methods for applying the rules in free choice activities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에 따른 유아의 놀이를 알아보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가 자유선택활동 운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참여자는 사립유치원 4세 학급 유아 25명과 담임교사와 공동연구자인 도움교수였다. 2014년 7월부터 10월까지 유아 관찰, 유아 인터뷰, 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영역 선택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표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서로 간의 과도한 경쟁을 하고 있었으며 규칙을 위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인원수 제한규칙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 제한, 사회정서발달 저해와 안전사고 위험, 자유선택 행동 저해 등의 역기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규칙의 역기능을 인식한 연구자는 인원수 제한규칙을 해제함으로써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공간 놀이 갈등 조절에서 유아의 자율성이 증진되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과 운영방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제한규칙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규칙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향림(2012). 구성주의 교실에서 진정한 자유선택활동을 위한 유아들의 노력. 유아교육학논집, 16(1), 401-424.
  2. 권미나, 엄정애(2011). 실내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놀이집단 가입행동과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2(2), 137-156.
  3. 김경철, 이병비(2001).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5세아의 혼잣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3), 123-141.
  4. 김미선(2012).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연(2009). 토의를 통한 규칙 조정하기 활동이 유아의 규칙 준수와 교사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정, 홍용희(2004).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 및 역할수행의 갈등. 교육인류학연구, 7(2), 139-171.
  7. 나은숙(2005). 유아에게 자유선택활동이 지니는 의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나은숙, 양옥승(2007).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유아교육연구, 27(1), 281-304.
  9. 나은숙, 한수정(2011).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1), 61-78.
  10. 민혜원(2001). 규칙 위반 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혜경(2013). 흥미 영역의 놀이 규칙에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전략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반채익(2005).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 교육발전 연구, 22(1), 5-24.
  13. 배경화(2011). 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시간 운영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민희, 안선희(2001).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5(1), 71-77.
  15. 서현아, 권말순(2007).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놀이개입 유형 분석. 열린유아 교육연구, 12(2), 227-248.
  16. 양옥승(2003).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의 선택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23(3), 131-152.
  17. 양옥승, 이정란, 나은숙(2002). 유아의 관점에서 본 자유놀이. 열린유아교육연구, 7(1), 143-165.
  18. 엄나은, 서동미(2015).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01-128.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1
  19. 엄정애(2009). 영유아 놀이와 교육. 경기도: 교문사.
  20. 원계선, 박서연, 장수지, 정유나, 윤미영, 이지연, 이하나, 한아녕(2013). 어린이집 자유놀이의 제한 규칙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7(2), 46-62.
  21. 위수경(2007). 유아의 놀이규칙 준수를 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의 전략과 상호작용 패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유지현(2004). 실내․외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은영, 이정수(2008).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대한아동복지학회, 6(2), 19-41.
  24. 윤향미, 장영희(2013). 자유선택활동 운영에서의 유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 탐구. 유아교육연구, 33(4), 267-289.
  25. 이소윤(2015).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일어나는 놀이규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숙재(2004).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7. 이혜원(2015).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인식 탐색.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1), 90-112.
  28. 추수진(2008).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의 자유 : 자유의 제한과 자유의 실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한미라, 이연선(2006). 생태유아교육기관과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자유놀이: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5(1), 1-23.
  30. Butler, C.(2012). Child rights : the movement, international law, and opposition. Purdue University Press.
  31. Creswell, J. W.(2010).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2nd Ed), 질적 연구방법론(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 학지사(원판 2007).
  32. Elkind, D.(2011). The power of play, 놀이의 힘(이주혜 옮김). 서울: 한스미디어(원판 2007).
  33. Landreth, G. L.(1991). Play Therapy: The art of relationship. Muncie, IN: Accelarated Development Press.
  34. Lester, S., & Russell, W.(2010). Children's right to play : an examination of the importance of play in the lives of children worldwide. The Hague, the Netherlands: Bernard van Leer Foundation.

Cited by

  1. A Critical Analysis on Free-Choice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Play vol.12, pp.3, 2016, https://doi.org/10.16978/ecec.2017.12.3.001
  2.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and tensions in children’s play vol.12, pp.4, 2016, https://doi.org/10.16978/ecec.2017.12.4.009
  3.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classroom rules vol.38, pp.2, 2016,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