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Enhancing Efficiency in PUS Contents Development

일반인을 위한 과학대중화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 제고 방안

  • 손향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 Received : 2015.08.05
  • Accepted : 2015.09.23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e growing socio-economic effect caused by science and technology requires public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which makes government to boost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PUS). Government has also exerted to construct infra for PUS. However results are not so meaningful. The government-funded science museum has mainly provided the program for students. Besides, science broadcasting channel has recorded the worst viewing rate. Meanwhile, some of the private sector-manufactured contents have attracted public attention in recent years, which is realized by considering elements such as an interesting topic selection, use of outside experts, two-way communication system, level adjusting for public through flexible running system. This study analyze podcast based program, face to face lectures, display contents by private industry, fab lab etc. on the base of the reciprocal PUS model to sort out the reason they have successful results. Futhermore, it argues that government should intensify support for private sector and create synergy effect by cultivate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US and offers public policy to realize the plan.

과학기술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점차 증가하며 정책결정과정에 대중의 참여가 요구되고 이로 인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과학대중화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학 대중화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지만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정부지원기관인 과학관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만이 주로 제공되고 있으며 과학전문 채널의 시청률은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한편, 최근 들어 민간분야에서 저예산으로 제작된 일부 콘텐츠가 대중들로부터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는데, 이는 흥미 있는 주제 선별, 대중의 눈높이, 외부전문가활용, 양방향 소통방식 등의 요소를 적절히 고려하며, 대중의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한 것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모형에 근거한 PUS(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과학대중화이론)이론에 기초하여 팟캐스트 기반 프로그램, 현장강연 사례, 민간기업 전시행사와 팹랩 등의 민간분야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의 성공요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나아가 향후 우리 정부가 과학대중화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민간분야 콘텐츠 제작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양자 간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시너지효과를 창출해야한다는 사실을 환기시킨 후 이에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학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매스미디어의 역할과 과제," 과학문화연구센터 이해증진사업 정책토론회 발표문, 2003.
  2. 박진희, 과학문화 법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3. 강윤재, "국가 종합위험관리시스템 구축과 위험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 과학기술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65-171, 2010.
  4. 김동광, 과학대중화의 새로운 가능성 모색 : 기존의 일방향적 과학대중화론 비판과 '대중의 과학이 해(PUS)'의 상호작용 모형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5. 이영희, "과학기술 대중호의 새로운 모델: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제6권, 제1호, pp.204-229, 1997.
  6. 김희경, "과학전문 채널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60-16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60
  7. 미래창조과학부, 제3차 과학관육성기본계획: 세계가 주목하는 과학콘텐츠 강국(2014-2018), 2014.
  8. 신영준, 신명경, 전영석, 정광훈, 임두원, 문만용, 임지은, 이봉우, "국내 중소 과학관 현황 분석: 과학관의 조직, 운영,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3권, 제2호, pp.359-372,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59
  9. 이유정, 과학관의 사회적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소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과학커뮤니케이션 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pp.21-51, 2011.
  10. 권호영, 과학콘텐츠 프로덕션 설립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11. 송해룡, 김원제, 조항민, "국내 과학전문 채널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및 홍보전략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103-112, 2012.
  12. 고홍숙, "과학대중화를 위한 방송프로그램 제작의 활성화 방안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4호, pp.5-47, 2012.
  13. http://www.podbbang.com.
  14. 김명자, 영상매체를 이용한 과학 대중화 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보고서, 1998.
  15. http://cafe.naver.com/namus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