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n Question's Patter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 of 5, 6th Grade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초등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발문 유형 분석

  • Received : 2015.10.29
  • Accepted : 2016.01.11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estion's patter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books of 5, 6th grade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 modified analysis framework based on Blosser's classified system was used to analyze 1,982 questions extracted from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books by grade, by domain, and by teaching and learning st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1,982 questions, the most prominent type of question was the propositional question and the following was the reproductive question. And, in comparing the question's patterns between 5, 6th grade, it was found that 6th grade had higher rate of close typed question, while 5th grade had higher rate of open typed question in its curriculum. Secondly, a comparative study about two domains, material and energy science domain and earth and life science domain, showed that the number of questions of each domain was not much differ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propositional questions and applicable questions showed a higher rate in material and energy science domain, and anticipated questions and open typed questions including divergent and evaluative question showed higher rate in earth and life science domain. Moreover,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from integration and my fun research domain's contents was small, the rate of open typed questions was higher than any other domains.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question's pattern in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the rate of reproductive question and anticipated questions was high at the stage of introduction. At the stage of development, the rate of propositional and reproductive questions was high. At the stage of conclusion, the rate of synthetic and applicable questions was high.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숙(2003). 발문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2014).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실험본 5-2, 6-2. 교육부.
  3. 교육부(2015).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5-1, 6-1. 교육부.
  4. 구순란(2000). 우리 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발문 분석.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치순(2010).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한국초등교육, 21(2), 247-260.
  6. 김가람(2013). 2007개정 5, 6학년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민정, 유병길, 이형철(2011). 초등 과학교과서 지문의 발문 유형 분석과 학생들의 선호 발문 유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1), 64-74.
  8. 김효문(1998). 교사의 발문 유형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효문(1998). 교사의 발문 유형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남화경(2000). 교사의 발문 유형이 아동의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정민(2010). 제7차와 개정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발문 유형 비교 분석 - 초등 3-4학년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 공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주현, 권혁순(2007). 제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영역에 제세된 발문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51-557.
  13. 우재경(2007).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사의 발문 행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경학(2005). 제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발문 분석 - 에너지 영역을 대상으로 -.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윤미, 이형철(2012).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1), 120-129.
  16. 최취임, 조민정, 여상인 (2012). 초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분석. 초등과학교육, 31(1), 57-70.
  17. 추명자(2002). 교사의 발문 유형이 아동의 사고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하소정(2010). 사회문화 교과서 발문 연구와 학습자 발문 흥미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하유미(2013). 초등 사회 수업에서 교사들의 발문 유형에 대한 연구 - 4학년 사회 경제 단원을 중심으로 -.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Blosser, P. E. (1973). Handbook of Effective Questioning Techniques, Worthington, Ohio: Education Associates, Inc., 송용의 역 (1987). 효율적인 교사의 발문기법 서울: 배영출판사.
  21. Carin, A. A. (1997).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 (8th Ed.). Upper Saddle River: Merill Publishing Company.
  22. Turner, T. N. (1989). Using textbook question intelligently. Social Education, 53(1), 58-60.

Cited by

  1. The Analysis on Types of Questionings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vol.1, pp.114, 2016, https://doi.org/10.15801/je.1.114.201706.307
  2. The analysis on questioning of science activities included in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for 3 to 5 years old children vol.23, pp.6, 2016, https://doi.org/10.24159/joec.2017.23.6.557
  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 분석 vol.62, pp.5, 2018, https://doi.org/10.5012/jkcs.2018.62.5.386
  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참고자료 분석 - 3~6학년 물리영역을 중심으로 - vol.39, pp.2, 2016, https://doi.org/10.15267/keses.2020.39.2.155
  5. 북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내용지식(PCK) 요소 분석 vol.40, pp.4, 2020,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4.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