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oristic Study of Mt. Segeolsan in Korea

세걸산의 관속식물상

  • Kim, Yoon-Youn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Na, Nu-Re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Hye-In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ang, Changge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윤영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 나누리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 송혜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 장창기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Received : 2015.11.04
  • Accepted : 2016.02.15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is floristic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September, 2014 in 12 days. The investigated area was Mt. Segeolsan (1,261 m) which is the part of Chirisan National Park and its neighbor region, Goan-ri, Sandeuk-ri. Based on voucher specimens, flora of this area consisted of 108 families, 376 genera, 584 species, 5 subspecies, 73 varieties, and 16 forma, totally 679 taxa. 17 taxa were endemic to Korea such as Carex okamotoi Ohwi, Cimicifuga austrokoreana H.W. Lee & C.W. Park., 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H.Lév.) Nakai, Fallopia koreana B.U. Oh & J.G. Kim, Asarum patens (Yamaki) Yamaki ex Y.N. Lee, and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etc. Among these species, C. austrokoreana, T.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F. koreana, A. patens are considered having a southern boundary line of distribution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 region. And so Carex okamotoi has main distribution center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 region, this study region is assumed important in phytogeography. The useful plants were 633 taxa, ethonobotanic plants were 359 taxa in this area. Invasive alien species were 61 taxa, which were naturalized rate (9.0%) and urbanized index (17.4%).

지리산 국립공원에 포함되는 세걸산(1,261 m) 및 공안리, 산덕리 일대의 식물상을 2014년도 4월부터 9월까지 총 12일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108과 376속 584종 5아종 73변종 16품종으로 총 67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 노각나무 등 1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은 지리산 일대가 남방한계선인 것으로 추정되며, 지리대사초는 지리산 일대가 분포의 주요지역으로 파악됨에 따라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자원식물은 총 633분류군, 민속식물은 359 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확인되어 귀화율(9.0%) 및 도시화지수(17.4%)가 높게 산출되었다.

Keywords

서 언

세걸산(1,261 m)은 지리산 국립공원에 포함되고, 경위도상 북위 35°21´45˝~35°25´15˝, 동경 127°31´05˝~127°35´20˝ 사이에 위치하며,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산내면에 속한다. 세걸산은 지리산 국립공원의 서부지역에 해당하고, 해발 1,000 m 이상 능선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북으로는 바래봉(1,186 m)과 덕두산(1,150 m), 남으로 큰고리봉(1,304 m)과 만복대(1,438 m)가 가지런히 산줄기를 이룬다(Fig. 1). 산지는 다소 완만한 지형으로 북북동, 서남서, 동쪽 방향으로 주능선이 형성되어 있고, 동쪽으로 부운계곡이 만수천과 합류하며, 북서쪽으로는 공안계곡이 흘러 공안천을 이룬다. 세걸산 북쪽의 산덕리부터 서쪽의 주촌리까지 이어지는 산덕임도가 북서쪽 해발 900 m 지역까지 인접해 있다.

Fig. 1.Investigated area (Mt. Segeolsan) in this study.

본 지역의 지질은 한반도의 기저를 이루는 소백산 육괴의 남서부에 해당하고 층서적으로 세분되지 않은 상태의 선캄브리아계로서 변성암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리봉, 만복대, 세걸산, 반선 일대에는 화강암질 편마암이 비교적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Nam et al., 1991). 조사지역과 인접한 남원시의 최근 30년간 연평균 기온은 12.3℃이었고, 월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은 각각 25.2℃와 −1.4℃, 일별 극최고기온과 극최저기온은 각각 37.5℃와 −21.9℃로 나타났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1380.4 ㎜, 습도는 71.7%로 측정되었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식생학적으로 온대활엽수림대에 포함되고, 식물구계 구분에서 중일구계, 한국구에 속하며,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부아구에 속한다(Lee and Yim, 1978, 2002).

본 조사지역이 포함된 지리산 일대의 식물상 연구는 Nakai (1915)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으며, Hatusima (1934), Okamoto (1961), Chung (1976), Rho (1985), Hong (1987), Lee et al. (1988), Kim et al. (1989), Yim et al. (1990), Lee & Chung (1993), Shin et al. (1995), Chun & Seok (1997), Cho et al. (1998), Kil et al. (1998), Lim (2000), Kim & Ahn (2002), Paik & Kang (2002), Sun & Seol (2002), Kim & Yoon (2003), Jang et al. (2007) 등 다수의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이어졌다. 이들 문헌을 종합하면 지리산 일대에는 약 1,82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Jang et al., 2007). 그러나 Jang et al. (2007)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는 증거표본이 제시되지 않고 단지 목록만 수록되어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 제시된 증거표본 또한 오동정으로 추정되는 식물이 몇몇 포함되어 있다. 현재까지의 조사는 광범위한 지리산 전체 지역에 대한 식물목록이며, 세걸산에 제한된 조사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세걸산에 대한 보다 정밀한 현지조사를 통하여 증거표본을 수집하고, 이에 기초한 목록을 바탕으로 명확한 식물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산식물,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등 주요 분류군의 분포를 파악하여 해당지역의 종다양성 보존, 식물지리학적 특이성 및 중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은 산지뿐만 아니라 저지대 및 습지 지역의 식물상을 포함하기 위해 공안리, 산덕리 일대의 농경지 및 저수지를 포함하여 선정하여 2014년도 4월부터 9월까지 총 12일에 걸쳐 조사하였다(Table 1). 동정의 정확성을 위해 꽃, 열매, 포자 등의 생식기관을 포함한 개체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개체는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여 공주대학교 표본실(KNH)에 보관하였다. 각각의 표본은 Lee (1980), Lee (1996), Park (2009)을 기초로 동정하였으며,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고, 목록의 배열은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과(family) 내에서는 속명과 종명의 라틴어순으로 정리하였다. 학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http://www.nature.go.kr/)을 따랐으나, 목록에 누락된 식물은 Plant List (http://www.theplantlist.org/)를 참조하여 기록하였다. 한국특산식물(Oh et al., 2005),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멸종 위기 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5)을 각각 파악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시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Ministry of Environment, 2012)에 의해 분류하였으며, 주요 자원식물과 귀화식물의 분포는 Korea Forest Service (2014)와 Lee et al. (2011)을 참고하였다.

Table 1.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of the Mt. Segeolsan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의 종조성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된 세걸산과 그 일대의 소산 관속식물은 108과 376속 584종 5아종 73변종 16품종으로 총 67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양치식물은 19분류군(2.8%), 나자식물은 7분류군(1.0%)이었으며,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은 481분류군(70.4%), 단자엽식물은 177분류군(25.8%)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881 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13.91%에 해당되었고, 지리산 전체 소산식물(Jang et al., 2007)의 37.21%가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Summary on the floristics of the Mt. Segeolsan

조사지역의 산림 식생은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였고, 일부 구간에는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되어 있었으며, 관목층은 대부분 조릿대가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 겨우살이와 물박달나무는 증거표본을 확보하지 못하여 목록의 끝에 별도로 표시하였으며, 사진자료를 첨부하였다(Fig. 2).

Fig. 2.Photographs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wi (A) and Betula davurica Pall. (B) in Mt. Segeolsan A. Prov. Jeonbuk: Gongan-ri, Unbong-eup, Namwon-si, 19 Apr. 2014, 35°24'10.2"N, 127°33'29.7"E, 878 m; B. Jeonbuk: Sandeok-ri, Unbong-eup, Namwon-si, 15 Aug. 2014, 35°25'8.3"N, 127°33'3.6"E, 579 m.

증거표본이 제시된 기존의 연구(Jang et al., 2007)와 비교한 결과, 본 조사를 통하여 총 298분류군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면적은 대략 28 ㎢로 약 472 ㎢인 지리산 국립공원 전지역의 6%에도 미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분류군이 신규로 기록된 이유는, 좁은 면적을 정밀 조사하였고, 저지대의 구릉, 습지, 하천, 농경지, 주거지 등 다양한 환경을 지닌 곳이 조사 대상지역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Jang et al. (2007)의 조사가 수행되었던 2004년도 이후에, 학명 및 국명의 오류가 대거 수정되었고, 신종의 발견뿐만 아니라 새로운 귀화식물의 유입 등으로 인한 미기록 식물이 다수 발표된 것 등에 기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한국특산식물

한반도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노각나무 등 17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중 개나리, 섬초롱꽃, 오동나무, 은사시나무 등 4분류군은 식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13분류군이 본 조사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본 조사지역에서는 출현한 특산식물은 지리산 국립공원 내에서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던 31분류군들 중 일반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이 주로 나타났다.

Table 3.List of the endemic plants in Mt. Segeolsan

지리대사초는 본 조사지역의 산지 사면 곳곳에서 대규모의 군락이 관찰되었다. 숙은촛대승마는 민주지산에서 최초 발견된 식물로서 백두대간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민주지산, 경북 황 악산, 덕유산, 지리산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ee and Park, 2004), 본 조사를 통하여 세걸산 북서쪽 계곡부의 해발 1,100 m 지역에 소수 개체가 자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꿩의다리는 최초 Léveillé (1902)에 의해 종으로 발표되었으나, Nakai (1914)에 의해 변종으로 격하되었다. 주로 한반도 중부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문헌상으로는 지리산 만복대에 분포한다는 기록은 있으나 증거표본이 제시되지 않았다(Jeon and Seok, 1997). 그러나 본 조사를 통해 산덕임도 초입의 숲 가장자리에 소수 개체가 자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도하수오는 충북 민주지산에서 최초로 발견된 식물로서(Oh and Kim, 1996) 백두대간을 따라 속리산, 민주지산, 경북 황악산, 전북 대덕산, 경남 괘관산, 지리산, 광양 백운산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조사구역에는 세걸산 정상부 능선의 해발 1,150 m 지역에 소수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오족도리풀은 경기도 평택 일대부터 경남 대금산 및 전남 지리산 일대까지 분포하는 종으로서(Oh, 2008) 본 지역에서는 북동 또는 북서쪽으로 향한 계곡부의 사면 곳곳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병꽃나무는 세걸산의 곳곳에서 매우 흔하게 관찰할 수 있었고, 노각나무, 갈퀴아재비, 은꿩의다리는 학생수련원에서 세동치로 이어진 등산로 주변에서 소수 개체가 확인되었다. 또한 키버들은 산덕임도 주변을 따라 곳곳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고, 청떡갈나무, 벌개미취, 외대으아리는 공안저수지 부근에서 소수 개체가 관찰되었다.

이들 중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은 지리산 일대가 남방한계선인 것으로 추정되며, 지리대 사초는 지리산 일대가 분포의 주요지역으로 파악됨에 따라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분류군들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추후 지속적으로 해당 식물의 정확한 생육지를 파악하고 주변국에 분포하는 근연분류군에 대한 비교 연구를 보다 면밀하게 수행할 필요가 있다.

희귀식물

산림청에서 제시한 희귀식물목록집(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에 의거한 멸종위기종(CR)에 해당하는 식물은 식재에 의한 왕벚나무 1종이 조사되었다(Table 4). 취약종(VU)은 백작약, 왜박주가리, 가시오갈피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4). 백작약은 숙은촛대승마가 발견된 위치에서 수 개체가 함께 발견되었으며, 조사지역 내 깊은 계곡의 곳곳에서 드물게 산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왜박주가리는 공안저수지 부근의 낮은 숲에서 1개체가 확인되었으며, 가시오갈피는 공안리의 경작지뿐만 아니라 공안천 곳곳의 제방에서 재배되고 있었다. 약관심종(LC)에는 태백제비꽃, 나도개감채, 뻐꾹나리, 꽃창포, 측백나무(식), 섬초롱꽃(식) 등 6종이 조사되었다(Table 4). 태백제비꽃은 세걸산의 해발 600-1,000 m 지역의 임도 및 등산로 주변에서 군락형태로 흔하게 발견되었다. 나도개감채는 해발 1,000 m 이상의 계곡부 주변의 습한 곳에서 소수 개체가 관찰되었으며, 뻐꾹나리는 전북학생수련원 주변의 습한 곳에 큰 군락이 형성되어 있었다. 꽃창포는 산내면의 부운마을 부근과 공안리의 습지 부근에서 소수 개체가 확인되었다. Jang et al. (2007)의 66분류군과 비교해 볼 때, 희귀식물의 분류군 수는 많지 않지만, 생육이 확인된 지역은 대부분 인적이 드문 곳으로, 등산로와 임도 등을 제외한 인간의 간섭이 적은 곳에 잔존하는 형태로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List of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Mt. Segeolsan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환경부에서 지정한 특정식물종에 해당하는 식물로는 5등급 3분류군, 4등급에서 2등급까지 각 10분류군, 1등급 26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Table 5). 5등급 식물인 인삼은 공안저수지 인근의 낮은 숲속의 그늘진 곳에서 야생하였으며, 1개체만 발견되었다. 공안리 및 덕산리 일대에 인삼재배단지 지역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동물들에 의해 인삼 종자가 산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왕벚나무와 가시오갈피는 각각 식재 또는 재배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등급 식물에 해당하는 애기장대는 공안천 주변의 도로변이나 공터에서 수백 개체가 발견되었다.

Table 5.List of the 5th to 3rd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 in Mt. Segeolsan

유용식물

산림청에서 분류한 용도에 따른 자원식물의 구분에 따르면(Korea Forest Service, 2014), 식용 434분류군, 약용 505분류군, 향료용 24분류군, 산업용 258분류군, 관상용 331분류군, 생태복원용 230분류군, 사료 및 퇴비용 296분류군으로 각각 파악되었으며, 중복된 항목을 제외한 총 633분류군이 자원식물로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1976)의 구분에 따른 유용식물로는 식용 490분류군, 섬유용 4분류군, 약용 96분류군, 관상용 35분류군, 목초용 146분류군, 공업용 3분류군, 잡용 13분류군, 용재용 17분류군으로 각각 파악되었으며, 중복된 항목을 제외한 총 490분류군이 유용식물로 집계되었다. 한편, 민속식물로 이용 가능한 식물은 총 359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ung et al., 2013).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Lee et al. (2011)에 따른 조사지역의 귀화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귀화율[Naturalization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의 종수(61) / 출현식물의 총 종수(679) × 100]은 9.0%로 산출되었고,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의 종수(61) / 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321) × 100]는 17.4%로 산출되어 우리나라 산림형 및 도시형 국립공원의 평균 도시화지수(6.84%)보다 크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Yu, 2013). 또한 Park (2009)이 제시한 지리산의 귀화율(5.7%)과 도시화지수(8.7%)에 비해 본 조사지역의 수치가 매우 높게 산출되었으며, 최근에 보고된 국내 다른 지역(Jang et al., 2015; Nam et al., 2015; Park et al., 2015)의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에 비해서도 매우 높은 값을 나타냈다.

최근 도로 및 제방 건설, 주거단지의 개발 등에 의한 인공절개지의 토사유출방지 목적으로 다양한 녹화공법이 이용되고 있으며(Ministry of Environment, 2001; Kang et al., 2012), 이에 사용되는 종자에는 초기 생육이 빠른 벼과식물과 비료자원으로 사용되는 콩과식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조사지역에서는 공안천의 하천 및 제방공사, 유평교-산덕마을-동천리로 이어지는 도로공사로 인해 생성된 법면과 유평교와 운봉향교 중간에 위치한 구릉(520 m)의 사면, 산덕임도 곳곳의 절개지에 녹화공법이 시공된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절개지의 녹화지역에 큰김의털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된 것과 같이(Kang et al., 2012) 본 녹화지역 또한 큰김의털이 매우 빈번하게 출현하였고, 구주개밀, 능수참새그령, 큰묵새, 들묵새, 호밀풀, 왕포아풀 등의 벼과식물 및 흰전동싸리, 큰낭아초 등의 콩과식물의 피도(coverage)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흔히 원예종으로 취급하고 있는 개양귀비, 수레국화, 불란서국화, 큰금계국, 코스모스, 원추천인국 등도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었다.

한편, 생태계교란식물로는 애기수영,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양미역취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애기수영과 돼지풀은 조사지역 내에서 비점상으로 매우 흔하게 관찰되어 제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단풍잎돼지풀 및 양미역취는 소수 개체가 점상으로 분포하므로 꾸준한 방제 조치가 수반된다면 확산억제 또는 제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 및 재배식물

본 조사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식재종은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로서 지리산지역의 대표적 식재수종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1). 일본잎갈나무는 저지대뿐만 아니라 세동치-세걸산 구간의 능선의 일부에도 식재되어 있었고, 잣나무는 산덕임도의 주변과 전라북도 학생교육원-세동치 구간의 등산로 주변에도 넓게 식재되어 있었으며, 리기다소나무는 저지대의 구릉에서 흔하게 나타났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식물로는 가우라, 개양귀비, 당아욱, 리아트리스, 분홍달맞이, 섬초롱꽃, 애플민트, 일본병꽃나무, 초코민트, 카밀레, 해바라기 등이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운봉체육소공원-전라북도 학생교육원 및 유평교-운봉향교-산덕마을에 이르는 구간의 노견에는 다수의 원예종이 식재되어 있던 흔적이 있으나, 현재는 대부분 관리소홀로 인하여 나지, 노견, 경작지 주변 등 곳곳에 산재하여 있었으며, 녹화지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약용으로 재배되는 식물로는 가시오갈피, 헛개나무 등이 있었다. 가시오갈피는 공안천의 제방, 경작지의 가장자리, 숲가장자리 등 곳곳에서 확인되었으며, 헛개나무는 산덕리 마을 주변과 산덕임도 초입의 숲가장자리에서 소수 개체가 확인되었다. 그 밖의 식재종과 재배종으로 판단되는 식물들은 목록에 별도로 표기하였다(Appendix).

References

  1. Cho, H.S., H.C. An and G.C. Choo. 1998. Studies on the woody plants of Chirisan recreation forest. J. Agric. Tech. Res. Inst (Chinju Nat. Univ.) 11:95-103 (in Korean).
  2. Chun, S.H. and D.I. Seok. 1997. Flora of the Manbokdae (Chunbuk, Namwon) in Mt. Chirisan.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3. Chung, J.M., K.W. Park, H.R. Jeong, S. So, H.J. Kim, K. Choi, C.H. Lee, C.H. Shin and S.S. Kim. 2013. Ethnobotany in Korea: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Use of Indigenous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4. Chung, M.H. 1976. The investigation of the herb medicine in Mt. Chirisan. Bull. Chosen Univ. pp. 387-441 (in Korean).
  5. Hatusima, S. 1934. Perliminary Report on the Flowering Plants and Ferns collected on the Nansen Experimental Forest of Kyushu Imperial University. Kyushu Imperial University, Japan. pp. 5-241.
  6. Hong, K.H. 1987. Study of the Herbaceous Flora in Sunduryu Area of Mt. Chirisan. M.S. Thesis, Korea Univ., Korea (in Korean).
  7. Jang, C.G., Y.Y. Kim, S.J. Ji, E.M. Ko, J.C. Yang, C.S. Jang, J.A. Eom, C.Y. Yoon, C.S. Chang, C.H. Lee, K.S. Kim and B.U. Oh. 2007. The Floristic Study of Chiri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37:155-196. https://doi.org/10.11110/kjpt.2007.37.2.155
  8. Jang, C.S., S.G. Yang, H.D. Jang, R.Y. Lee, M.S. Park, K.H. Kim and B.U. Oh. 2015. Floristic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8:35-63. https://doi.org/10.7732/kjpr.2015.28.1.035
  9. Jeon, S.H. and D.I. Seok. 1997. Flora of the Mt. Jirisan Manbokdae (Jeonbuk Namwon).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10. Kang, H.K., H.S. Song, Y.H. Cho, B.J. Park, W.T. Kim, K.J. Shin, Y.J. Eo, T.S. Yoon, K.E. Jang and M.Y. Kwak. 2012. Comparison of Vegetation between Cutting Slope Revegetation Area and Adjacent Nature Area in Korea. J. Korean Env. Res. Tech. 15:79-89 (in Korean).
  11. Kil, B.S., I.T. Kim, C.H. Kim, Y.S. Kim and C.S. Kim. 1998. National Survey of Natural Ecosystem (II-2).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12. Kim, C.H. and J.K. Ahn. 2002. Flora of the Mt. Banyabong (1,547 m) and Neighboring Area in Mt. Chirisan. Report of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13. Kim, K.S., B.S. Lim, Y.C. Chung, Y.H. Chung and J.S. Lee. 1989. National Survey of Natural Ecosystem (I-2).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14. Kim, Y.S. and C.Y. Yoon. 2003. Investig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pp. 84-201, 739-771 (in Korean).
  15.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in Korean).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page, (http://www.kma.go.kr).
  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8.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1. Natural resources reaserch of Jiri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Korea (in Korean).
  19. Lee, E.B. and K.Y. Chung. 1993. A floristic study of the northern part of Mt. Chiri. The report of KACN 31:37-79 (in Korean).
  20. Lee, H.B., G.S. Kim, B.Y. Sun, J.S. Lee, K.S. Kim, M.Y. Kim and S.I. Kim. 1988. National Survey of Natural Ecosystem (I-2).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21. Lee, H.W., C.W. Park. 2004. New Taxa of Cimicifuga (Ranunculaceae) from Korea and the United States. Novon 14: 180-184.
  22.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of the Seoul Natl. Univ. Arbor. 1:1-131.
  23.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24.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in Korean).
  25.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Appendix):1-33 (in Korean). https://doi.org/10.11110/kjpt.1978.8.1.001
  26.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27.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https://doi.org/10.11110/kjpt.2011.41.1.087
  28. Léveillé H. 1902. Renonculacées de corée. Bull. Acad. Int. Geogr. Bot. 297-301.
  29. Lim, D.O. 2000. Plant resources of Jeonnam province. Bull. Honam Univ. 21: 561-570 (in Korean).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A study of activation plants for cutting slope revegetation measures on ecological considration. Gwacheon, Korea (in Korean).
  31.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Guidelin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32.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Retrieved 16 Feb. 2015 from http://www.me.go.kr/.
  33. Nakai, T. 1914. Tyosen Syokubutsu. Seibido Publishig Co., Tokyo, Japan (in Japanese).
  34. Nakai, T. 1915. Report on the Vegetation of Mt. Chiisan. Government-General of Korea. Govt. of Chosen. Seoul, Korea (in Japanese).
  35. Nam, B.M., J.Y. Kim, S. Jeong, J.H. Lee, M.J. Nam, B.U. Oh and G.Y. Chung. 2015.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gnyangsan (Bonghwa-gun, Andong-si). Korean J. Plant Res. 28:616-634. https://doi.org/10.7732/kjpr.2015.28.5.616
  36. Nam, K.S., Y.M. Song and K.S. Cho. 1991. Trace elements of the gneisses distributed in the western region of Mt. Chirisan. J. Korean Earth Sci. Soc. 12:123-131 (in Korean).
  37. Oh, B.U. 2008.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sarum (Aristolochiaceae). Korean J. Pl. Taxon. 38:251-270 (in Korean). https://doi.org/10.11110/kjpt.2008.38.3.251
  38. Oh, B.U. and J.G. Kim. 1996. Fallopia koreana (Polygon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26: 257-262. https://doi.org/10.11110/kjpt.1996.26.4.257
  39.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40. Okamoto, S. 1961. The plants list of Mt. Chirisan in Chosen. Bull. Kyoto Univ. Forest. 31:13-161.
  41. Paik, W.K. and D.S. Kang. 2002. The Flora of the Mt. Chunwangbong (1,915m) and Its Neighboring Area.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42. Park, K.T., K.S. Choi, O. Son, E.M. Lee, H.S. Kim, D.U. Boo and S.J. Park. 2015. The Vascular Plants in Mt. Bohyeon, Gyeongbuk, Korea. Korean J. Plant Res. 28:193-216. https://doi.org/10.7732/kjpr.2015.28.2.193
  43.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44. Rho, Y.G. 1985.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All Over Sang-kye-sa in Mt. Chi-Ri, Korea. M.S. Thesis, Busan Univ. Korea (in Korean).
  45. Shin, J.S., Y.C. Chung and J.H. Kim. 1995. The flora of the southwest region in Mt. Chiri. Journal of Basic Science 6:1-16 (in Korean).
  46. Sun, B.Y. and M.R. Seol. 2002. The Flora of the Mt. Chodaebong (Sancheong·Gurye 2) and Its Neighboring Area.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47. Yim, Y.J., B.S. Kil, I.S. Lee and Y.S. Kim, 1990. National Survey of Natural Ecosystem (II-2).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48. Yu, J.S. 2013. Cultural exclusion and negative perception related to naturalized plants derived from academic discussion. J. Korean Env. Res. Tech. 16:63-74 (in Korean).

Cited by

  1. Floristic Study of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in Korea vol.29, pp.4,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6.29.4.419
  2. Vascular Plants in the Small Nonregistered Forest Wetlands of Gyeongju National Park vol.52, pp.4, 2018, https://doi.org/10.14397/jals.2018.52.4.47
  3. 가야산국립공원 기후변화취약종의 분포 및 보전방안 vol.30, pp.2,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7.30.2.167
  4. 설악산 대청봉일대 산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유형 및 관속 식물상 특성 vol.106, pp.2, 2016, https://doi.org/10.14578/jkfs.2017.106.2.130
  5. 전라도 귀화식물의 현황 vol.30, pp.4,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7.30.4.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