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Analysis of Programming Education to Freshmen's Major Choice

프로그래밍 교육이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김경미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
  • 김헌주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 Received : 2016.01.28
  • Accepted : 2016.03.05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is study has two major purposes. One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 on deciding major for freshmen who enter the university without specific major and decide their majors from sophomore. Another is to compare between 2015 group without specific major at freshmen and 2013 group who were not required to take program language courses. Our study has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the program language education on deciding major. Secondly, one can predict the effects and importance of software education which is going to imply to all highschool students starting from 2018. Thirdly, software education may help to alleviate science and engineering aversion.

본 연구에서는 전공을 정하지 않고 2학년 때부터 전공수업을 시작하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2015년 1학기에 프로그래밍 교육을 진행하여 그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을 필수로 수강하지 않은 2013년 신입생 대상 설문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실효성을 검증한 후 2018년부터 고교과정에서 정규교과목화 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영향을 예측하는데 있다. 설문분석 결과 프로그래밍 수업이 전공분야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고교 재학 시 문과계열 학생들이 이과계열 전공분야 선택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취득한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이동한 비중이 높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프로그래밍 교육이 전공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는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되어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용성을 알게 한다는 점이다. 둘째, 2018년부터 고교 정규교육과정으로 시행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영향과 효과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래밍 교육 확산은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정책에 부합하며, 장기적으로 이공계 기피현상을 완화하는 데 일조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진성희.신수봉 (2013). 공과대학 융합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요구분석. 공학교육연구, 16(6), 29-37.
  2. 이희원.민혜리.이경우 (2008).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안 탐구: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1(3), 24-32.
  3. 정해용 (2014). IT 유창성과 컴퓨팅적 사고개념을 이용한 대학 정보교양 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9(2), 263-274. https://doi.org/10.9708/jksci.2014.19.2.263
  4. 류충규.이철현 (2012).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1), 149-169.
  5. 김병조.전용주.김지현.홍창의.김태영 (2014). Computational Thinking에 기반한 IT융합형 인재상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동계학술발표논문지, 18(1), 27-33.
  6. 김수환 (2015).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에서 나타난 컴퓨터 비전공 학습자들의 어려움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3), 49-57.
  7. 오경선.안성진 (2015).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이유와 컴퓨팅사고력간의 관계성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5), 55-62.
  8. 김병호 (2013). 안드로이드 앱 인벤터를 활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7(2), 467-472.
  9. 김태희.강문설 (2010). 레고 마인드스톰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입문 교육의 효과 측정.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1(4), 159-173.
  10. 성정숙.김수환.김현철 (2015). 인문계열 학생을 위한 SW교육에서의 초보 학습자 특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3), 25-35.
  11. 피수영.박혜정.류경현 (2011). 커널머신을 이용한 대학의 컴퓨터교육 만족도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5), 921-929.
  12. Rubio, M. A., Romero-Zaliz, R., Manoso, C., & Angel, P. (2015). Closing the gender gap in an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 Computers & Education, 82, 409-420. https://doi.org/10.1016/j.compedu.2014.12.003
  13. Wang, K. (2015). Enhancing the teaching of CS 1 by programming mobile apps in MIT App. age, 26(1), 26.671.1-26.671.9.
  14. 유병건.김자미.이원규 (2014). 학습자 특성이 프로그래밍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5), 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