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 Illustrations Based on the Change of Occupations from a Perspective of Digital World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직업의 변화에 기초한 초등학교 교과서 삽화 분석

  • 장미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정보전공)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김현철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5.12.30
  • Accepted : 2016.02.05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occupations that are presented through the illustra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pecifically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from a perspective of a digital world.. Types of occupations were analyzed from a perspective of digital world by analyzing the illustrations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ethic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year 3~6. Occupations that would disappear in fu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a point of view of a report,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ccupa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not reflecting the change of society and occupations, and there was absolutely no reflection of the times at all that highlights SW.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proposing directivity regarding writing of new textbooks at a current situation of new textbook work being processed, based on the 2015 amended curriculum.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삽화에 제시되어 있는 직업의 종류를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6학년 국어, 사회, 도덕 교과서에서 제시된 삽화를 분석하여 직업의 종류를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고용의 미래: 우리의 직업은 컴퓨터화에 얼마나 민감한가?'라는 보고서에서 제시된 미래에 사라질 직업에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 교과서는 미래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이 52.1%로, 가능성이 낮은 직업보다 더 높은 비율이었다. 둘째, 직업이 편향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사라질 가능성이 낮은 직업 중에서 50% 정도는 농부, 교사, 경찰, 의사와 같은 직업이었다. 즉, 교과서에서 제시된 직업이 사회와 직업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SW가 강조되는 시대적 반영이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새로운 교과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교과서의 집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대용, 류동희, 김인환, 고태용 (2011). 한국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1(2), 41-68.
  2. 한미희 (2011). 대학생을 위한 지로교육 교과목의 개발 및 효과. 진로교육연구, 24(2), 95-113.
  3. Teideman, D. V., & O'Hara, R. P.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New York: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4. 장주희 (2013). 직업생활의 미래 예측: 진로교육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6(2), 1-19.
  5. EBS (2014.11.25.). 코딩, 소프트웨어 시대-직업의 미래.
  6. Reich, R. (1991). The works of Nations. Knopf.
  7. 김승보, 진미석, 한상근, 이지연, 이윤진 (2013).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Timothy, R. H., Terence, J. G. T., Laura, N., & Salvatore, S. (2009). The structure of the career beliefs inventory on the sample of Itali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7, 232-243. https://doi.org/10.1177/1069072708329034
  9. Krumboltz, J. D. (1999). Career Belief Inventory: Applications and Technical Guid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0. 정치후, 이상희 (2014). 진로정체감 6개 단계에 따른 정체감 스타일, 진로신념, 우연기술의 차이. 진로교육연구, 27(1), 151-170.
  11. Krumboltz, J. D. (2009). The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7, 135-154. https://doi.org/10.1177/1069072708328861
  12. 교육부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
  13. Frey, C. B. & Osborne, M. A. (2013).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Oxford University.
  14. 노경란, 고재성, 김선호, 김한준, 정명진, 정시원, 최동선 (2008). 직업진로지도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15. 고재성, 김선호, 노경란, 변정현, 김은영 (2008). 진로교육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16. 최인화, 임경희, 박미진 (2012).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진로포부 및 직업포부유형 간의 관계. 초등상담연구, 11(2), 261-278.
  17. 김복환, 김지현 (2013).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진로대안의 관계에서 성격특성의 역할. 진로교육연구, 26(1), 141-158.
  18. 장현진 (2015). 진로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이인열. (2013.08.01.). [SW혁명의 외딴 섬, 한국] [1] 소프트웨어로 달리는 자동차. 조선비즈. Retrieved December 5, 2015.
  20. 정철영, 정진철, 이종범, 정동열, 임효신, 이서정, 임정훈 (2015).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진로교육연구, 28(3), 155-171.
  21. 10년 후 '미래에 살아남을 직업', '새로운 생겨날 직업'은?. (2015.01.07.). 중앙일보. Retrieved December 5, 2015.
  22. 이경남 (2014). SW인력의 고용 구조 분석 및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3. 교육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24. 박제윤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SW교육의 방향과 전망. 교육개발, 42(3), 8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