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red tide and water-bloo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반의 해양 적·녹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 김남호 (호남대학교 인터넷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6.02.23
  • Accepted : 2016.03.24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In this paper, the 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the abnormal state of marine algae does not detect the plankton which may directly cause the red tide or the water bloom. But checks both oxygen reduction and nitrogen reduction in water, which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respectively, and this system makes a module that monitors in real time the temperature and the illumination of the water, which are indirect factors, with sensors placed in and outside the water, and this module transmits signals periodically at specific intervals to a sever that builds up data base, and the data collected in these ways will b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data from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n these data will be made the adequate form of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s as visual information, thus, this system intends to make a red tide and water bloom monitoring system tailored for individual fish farm businesses that has local characteristics and can quickly operate outside working hours, which differs from the existing wide area detecting and monitoring systems.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실시간 해양 이상조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직접적으로 적 녹조의 주원인인 플랑크톤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적조의 동물성 플랑크톤 특성인 수중 내의 산소 감소를 체크하고, 녹조의 식물성 플랑크톤 특성인 수중 내의 질소 감소를 측정한다. 각각의 특성 체크 및 간접적 요소인 수중 내외의 온도,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 감시하는 모듈을 만들고 모듈은 특정 주기에 맞게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해양수산청 적 녹조 기준 데이터와 비교 하여 분석하여 알맞은 형태의 정보로 가공한 뒤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화 하여 제공한다. 기존의 광역적 감지 및 감시 시스템이 아닌 지역적 특성을 갖게 되는, 어업을 하지 않는 시간에도 빠르게 대처 가능한 개인사업 맞춤형 양식장 적 녹조 감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영, 김성훈, 하민근, 김태홍, 이요한, "Internet of Things 기술 및 발전 방향",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28권 제9호, p.49-57. 2011
  2. Atzori, L., Iera, A., & Morabito, G. "The internet of things: A survey. Computer Networks", 54(15), 2787-2805, 2010 https://doi.org/10.1016/j.comnet.2010.05.010
  3. Gubbi, J., Buyya, R., Marusic, S., & Palaniswami, M. "Internet of Things (IoT): A vision, architectural elements, and future directions", 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2013
  4. 이창규, 이옥희, 이삼근, "한국연안에서 분리한 적조형성 미세조류 10종의 성장에 미치는 온도, 염분, 광도의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제10권 제1호, p.70, 2005
  5. 김학균, 적조피해대책연구, 적조피해대책연구과제 최종보고서, pp.3-4, 1999
  6. 안유환, 해양환경 관측 및 개선을 위한 기반기술연구(III), 최종보고서, p.3, 2003.
  7. 정종철, "적조정보시스템의 GIS데이터베이스화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12권 제3호, pp.36-48, 2004
  8. 윤홍주, "적조기상정보:기상인자를 활용한 연안 적조예측기술개발", 제9권, 제4호, pp.844-853, 2005
  9. 김학규 외, "1999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국립수산진흥원, p.206, 2000
  10. 국립수산과학원,http://www.nfrda.re.kr
  11. 고철환, '해양생물학', 서울대학교출판부, pp. 83-120, 1997
  12. 서영상 외, "NOAA 위성자료에 의한 해수표면 수온분포와 적조발생의 상관성", 한국환경과학회지, 제9권, 제3호, pp.215-221,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