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DMZ 접경지역 인근 고령산·개명산(파주시, 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 Kim, Sang Ju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Shin, Hyun Tak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An, Jong Bi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Heo, Tae Im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Kwon, Yeong Ha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Yoon, Jung Wo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상준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신현탁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안종빈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허태임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권영한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윤정원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Received : 2016.01.27
  • Accepted : 2016.04.15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in the DMZ area of Korea.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eight times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4 and consisted a total of 450 taxa; 91 families, 279 genera, 391 species, 4 subspecies, 49 varieties and 6 forms. The observed rare plant species a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5 taxa including Tylophora floribunda Miq., Aristolochia contorta Bunge, Viola albida Palib., etc. Endemic plant species were 6 taxa containing Aconitum pseudolaeve Nakai, Clematis brachyura Maxim., Clematis trichotoma Nakai, etc. 33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 species based on phytogeographical in the investigated area. 35 taxa were recorded as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naturalized rate and urban index were noted as 7.7%, and 10.9%, respectively. Of the 450 taxa listed; 186 were edible plants, 173 pasture plants, 149 medicinal plants, 51 omamental plants, 20 timber plants, 13 stain plants, 4 fiber plants, 4 industrial plants and 92 unknown resource plants.

본 연구는 고령산·개명산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79속 391종 4아종 49변종 6품종으로 총 45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왜박주가리, 쥐방울덩굴, 태백제비꽃 등 총 5분류군, 특산식물은 진범,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등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3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7.7%, 10.9%로 나타났다. 조사된 45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86분류군(27%), 목초용 173분류군(25%), 약용 149분류군(22%), 관상용 51분류군(7%), 목재용 20분류군(3%), 염료용 13분류군(2%), 섬유용 4분류군(1%), 공업용 5분류군(1%)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92분류군(13%)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서 언

고령산(622 m)·개명산(565 m)은 행정구역상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양주시 장흥면·백석면, 고양시 벽제동에 걸쳐있으며, DMZ 접경지역 인근 지역으로 북위 37° 43′~46′ 동경 126° 55′~56′에 자리잡고 있다. 경기 북서지역에서 감악산(675 m)과 더불어 가장 높은 산이다. 고령산 앵무봉(622 m)을 중심으로 남쪽으로는 개명산 형제봉(546 m), 그리고 동쪽으로는 수리봉(520m)이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개명산 정상부에는 군사시설이 있어 접근이 어려우며 파주시, 양주시, 고양시 사이에 위치하여 인근 보광사, 장흥관광지, 장흥수목원, 송암천문대 등의 관광지와 앵무봉과 형제봉의 능선을 잇는 등산로의 활성화로 인하여 탐방객의 방문이 빈번한 지역으로 인근지역의 생태계에 지속적인 위협요소가 되고 있다.

조사 지역은 연교차가 큰 대륙성기후로 최근 5년(2009~2013)간 연평균 기온이 10.8℃, 연평균 강수량이 1,636.3 ㎜인 것으로 나타났다(Paju city, 2014).

경기도 서북부 지역의 관속식물상 연구로는 소요산(Park and Paik, 2014), 문수산(Kim et al., 2010), 가현산(Kim et al., 2011) 등이 이루어졌으며, 고령산·개명산 일대에 대한 식물상 연구로는 Chang et al. (2003)에 의해 경기도 북부에 소재한 개명산의 식물상이 수행되었으나 61과 124속 163분류군으로 비교적 적으며 조사시점이 2000년대 초반임을 감안하면 식물상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산·개명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주요 보전가치가 있는 식물의 자생지 분포와 생태계에 위협을 주는 식물 등의 분포를 파악하여 향후 주변 관광지 개발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일어날 경우 식물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8회 전수 조사하였으며, 조사 경로는 고령산 북쪽에 있는 마장저수지 인근부터 시작하여 탐방객의 방문이 빈번한 관광지 주변, 보광사 인근 등산로와 이를 중심으로 한 계곡부, 사면부, 능선부, 임도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으며, 개명산의 정상부의 경우 군부대의 주둔으로 접근이 힘들어 형제봉 능선을 따라 조사하였다(Fig. 1, Table 1).

Fig. 1.The map of the surveyed area in Mt. Goryeong and Gaemyeong.

Table 1.The investigated times and routes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관속식물은 고령산·개명산 일대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증거 표본을 수집하였다. 조사과정 중 식물표본을 채집하지 못한 종은 화상 자료를 확보하였고, 현지에서 동정이 어려운 식물은 채집하여 건조표본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분류 및 동정은 Lee (1980; 2003a, b), Lee (1996a; b), Lee (1996; 2006a, b), Park (2009) 등의 식물도감과 일부 양치류의 동정은 Korean Fern Society (2005) 등의 문헌을 활용하였으며, 채집한 식물표본의 보관은 국립수목원의 분원인 DMZ자생식물원에 소장하였다. 식물목록은 증거표본과 디지털 사진 등 동정된 종만을 대상으로 작성하였으며, 분류군의 배열은 Engler (Melchior, 1964)의 체계에 따라 작성하였다.

학명 및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http://www.nature.go.kr/kpni/)을 따랐으며, 각 과내의 속 이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조사된 소산식물 중 식재된 분류군은 국명뒤에 재배표시를 하였다. 목록의 간소화를 위해 분류군당 1장의 표본만을 기록하였다(Appendix 1).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에 따라 작성하였고, 특산식물은 Oh et al. (2005),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Kim (2000), 귀화식물은 Lee et al. (2011)에 따라 작성하였다. 특히 귀화식물은 Lee et al. (2011)에 따라 원산지, 귀화도, 이입시기를 구분하였고, 귀화도는 Kariyama and Kobatake (1988)의 문헌을 따랐다. 귀화율(NI: Naturalized Index)과 도시화지수(UI: Urbanized Index)는 각각 Numata (1975)와 Yim and Chun (1980)의 문헌을 따랐다. 자원식물의 유용도 분석은 Lee (1976)의 생활형에 따라 작성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고령산·개명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91과 279속 391종 4아종 49변종 6품종으로 총 450분류군으로 양치식물(Pteridophyta)은 6과 12속 20종 2변종 22분류군, 나자식물(Gymnospermae)은 2과 3속 6종 6분류군, 피자식물(Angiospermae)은 83과 264속 365종 4아종 47변종 6품종 4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조사된 식물중 가장 많이 분포하는 분류군은 국화과(Compositae) 48분류군(10.6%), 벼과(Gramineae) 35분류군(7.7%) 이며, 장미과(Rosaceae) 24분류군(5.5%), 콩과(Leguminosae) 22분류군(4.9%), 마디풀과(Polygonaceae)와 백합과(Liliaceae) 각각 18분류군(4.0%)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Summary on the floristics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개명산을 대상으로 보고된 기문헌을 국가표준식물목록을 토대로 이명, 통합명을 확인하여 분류군을 재확인 결과 Chang et al. (2003)이 보고한 관속식물상은 총 62과 125속 141종 3아종 17변종 3품종 164분류군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와 많은 차이가 있었다. 분류군수의 차이는 조사코스, 범위 및 조사 횟수의 차이가 큰 요인으로 판단된다. 연구 대상지 주변 대부분은 도심지와 인접하고 있으며, 둘레길 조성으로 인한 탐방객 증가, 유원지 등의 편의시설 출입으로 인한 식생의 지속적인 훼손이 일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희귀식물이란 일반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자생지의 식물 특히, 개체군의 크기가 작거나 감소하여 보전이 필요한 식물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은 취약종(VU)인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 Miq.) 1분류군, 약관심종(LC)인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태백제비꽃(Viola albida Palib.),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Blume) 4분류군 등 총 5과 5속 4종 1변종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왜박주가리는 기산리 안고령 계곡에서 약 20개체가 발견되었으며, 꽃창포는 고령산 북쪽사면에서 마장저수지 인근에서 소수의 개체가 발견되었다. 쥐방울덩굴은 석현리 돌고개에서 개명산 정상부 군부대로 이어지는 임도 부근에서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태백제비꽃과 두루미천남성은 보광사에서 앵무봉 정상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부근 계곡부에서 소수의 개체가 자생하고 있었다.

Table 3.The list of rare plants in Mt. Goryeong and Gaemyeong

발견된 희귀식물 대부분의 자생지는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한 등산로 및 임도 부근에 있어 인위적인 피해가 우려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hang et al. (2003)의 연구에서 발견된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은 본 연구에서 개체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는 조사 시기 및 구간의 차이로 생각된다.

특산식물

연구 대상지에서 확인된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속리기린초(Sedum zokuriense Nakai),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로 4과 5속 6종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은사시나무, 진범, 할미밀망, 속리기린초는 Chang et al. (2003)의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으며 본 연구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Table 4.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Mt. Goryeong and Gaemyeong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조사된 453분류군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Kim, 2000)은 연구대상지에서 28과 31속 31종 1아종 1변종 33분류군을 확인하였다. V등급에 속하는 분류군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IV등급은 고로쇠나무(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1분류군, III등급은 긴잎여로(Veratrum maackii Regel), 토현삼(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긴병꽃풀(Glechoma grandis (A.Gray) Kuprian.), 털둥근갈퀴(Galium kamtschaticum Steller ex (Roem. & Schult.)), 꼬리조팝나무(Spiraea salicifolia L.) 등 7분류군, II등급은 소영도리나무(Weigela praecox (Lemoine) L.H.Bailey), 붉은병꽃나무(Weigela florida (Bunge) A.DC.), 큰참나물(Cymopterus melanotilingia (H.Boissieu) C.Y.Yoon), 노랑제비꽃(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돌양지꽃(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등 8분류군, I등급은 타래사초(Carex maackii Maxim.), 껍질용수염(Diarrhena mandshurica Maxim.), 큰엉겅퀴(Cirsium pendulum Fisch. ex DC.), 올괴불나무(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등 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5).

Table 5.The list of floristic characteristics plants in Mt. Goryeong and Gaemyeong

귀화식물

연구 대상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닭의덩굴(Fallopia dumetorum (L.) Holub),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L.), 다닥냉이(Lepidium apetalum Willd.) 등 총 3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출현한 귀화식물 중 국화과가 11분류군으로 가장 많았다. 귀화식물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가 14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귀화도 등급(Lee et al., 2011)에서 1등급은 조사되지 않았고, 2등급 좀소시랑개비(Potentilla amurensis Maxim.) 등 7분류군, 3등급 취명아주(Chenopodium glaucum L.) 등 9분류군, 4등급 서양등골나물(Eupatorium rugosum Houtt.)등 2분류군, 5등급 오리새(Dactylis glomerata L.)등 17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였다. 이입 시기는 1기 20분류군, 2기 3분류군, 3기 12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6). 연구 대상지의 귀화율은 7.7%, 도시화지수는 10.9%로 나타나 우리나라 산지의 평균 귀화율 10.3%(Koh et al., 1995; Shin et al., 2014; Shin et al., 2015)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확인된 대부분의 귀화식물들은 둘레길, 마장저수지 인근, 사찰 및 관광단지 인근에서 발견됨에 따라 물자이동, 등산객 및 천문대 방문객의 증가가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Table 6.zOrig: Origin, yN.D.: Naturalized degree, xInt.-p.: Introduced period, wEu: Europe, vnA: north America, uEu-As: Europe-Asia, ttA: tropical America, sEu-Af: Europe-Africa, rAs: Asia, qAf: Africa.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서양등골나물은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 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5)로 특히 확산속도가 빠르고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여 인체에 피해를 주는 단풍잎돼지풀과 돼지풀은 분포지 파악 후 물리적인 제거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용식물

연구 대상지에서 확인된 450분류군을 Lee (1976)의 식물의 경제적 가치기준에 따라 구분한 결과 식용이 186분류군(2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목초용 173분류군(25%), 약용 149분류군(22%), 관상용 51분류군(7%), 목재용 20분류군(3%), 염료용 13분류군(2%), 섬유용 4분류군(1%), 공업용 4분류군(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용도를 알지 못하는 식물이 92분류군(13%)으로 나타났다(Table 7).

Table 7.zE: Edible, yP: Pasture, xM: Medicinal, wO: Omamental, vT: Timber, uS: Stain, tF: Fiber, sI: Industrial, rU: Unknown use.

References

  1. Chang, C.S., H. Kim, G.S. Chang and J.Y. Kim. 2003. Flora of Mt. Gae-myeong of Gyeonggi Province. Bulletin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rboretum. 23:45-61 (in Korean).
  2.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3.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4. Kim, J.H., J.R. Park, S.H. Kim and C.Y. Yoon. 2011. The Vascular Plants in Mt. Gahyeon (Gyeonggi-do, Gimpo). Korean J. Plant Res. 24(5):521-539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1.24.5.521
  5. Kim, J.H., K.H. Nam, C.Y. Yoon and B.Y. Lee. 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 (Gyeonggi-do).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4):459-481 (in Korean). https://doi.org/10.5322/JES.2010.19.4.459
  6.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 (I)-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74 (in Korean).
  7.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332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0.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 1:1-137 (in Korean).
  11.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12.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13.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0 (in Korean).
  14. Lee, W.T. 1996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Korea. p. 1567 (in Korean).
  15. Lee, W.T.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mdemy Press, Seoul, Korea. p. 1688 (in Korean).
  16.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17. Lee, Y.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Korea. p. 1247 (in Korean).
  18.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I). Gyohaksa, Seoul, Korea. p. 975 (in Korean).
  19.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II). Gyohaksa, Seoul, Korea. p. 885 (in Korean).
  20.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http://www.me.go.kr/
  22.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pp. 1-160.
  23.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aesin Pulishing Co., Seoul, Korea. pp. 1-205 (in Korean).
  24. Paju City. 2014. Paju City Hompage (http://paju.go.kr).
  25. Park, H.J. and W.K. Paik. 2014. A study on the change of vascular plants flora in Mt. Soyo (Gyeonggi Province).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8(2):113-148 (in Korean). https://doi.org/10.11624/KJNC.2014.8.2.113
  26.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559 (in Korean).
  27. Shin, H.T., J.B. An, S.J. Kim, T.I. Heo, Y.H. Kwon, Y.Y. Lee and J.W.Yoon. 2015. Vascular plants of Hak Reservoir valley in Korea DMZ Area. Korean J. Plant Res. 28(4):475-486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5.28.4.475
  28. Shin, H.T., M.H. Yi, C.H. Lee, J.W. Sung, K.S. Kim, Y.H. Kwon, S.J. Kim, J.B. An, T.I. Heo and J.W. Yoon. 2014. The flora of vascular plant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Korean J. Plant Res. 27(4):293-308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4.27.4.293
  29. Yim, Y.J. and E.S. Chu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Botany 23(3-4): 69-83 (in Korean).

Cited by

  1. 한남정맥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 - 문수산, 계양산, 수리산, 광교산을 중심으로 - vol.26, pp.2, 2016, https://doi.org/10.14249/eia.2017.26.2.140
  2. DMZ 접경지역 인근 사명산(양구군, 강원도) 일대의 식물상 vol.30, pp.2, 2017, https://doi.org/10.7732/kjpr.2017.30.2.191
  3. 서부 DMZ 인근접경 지역의 파평산(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vol.32, pp.4,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9.32.4.355
  4.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의 관속식물상 vol.32, pp.5,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9.32.5.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