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search records appraisal system based on records schedule : Focusing on the cases in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처분일정표를 바탕으로 한 연구기록 평가제도 연구 호주,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0.14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how the appraisal process of the research records of the cases of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can be planed and managed. As the records schedule includes the list of core records and the appropriate disposal instructions, as well as the fact that it is a critical records management tool, the records schedule was considered for the basis of the research records appraisal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cords have to be appraised by research project because research is carried out into project units, and records management is effective when combined with the business practice and basic structure of the operating system. Second, the research institutions have to plan and manage one general disposal schedule and plural disposal schedules in the different research division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tyle and the research record of each research institution should be recognized. Moreover, there is a need to link the research appraisal process of each research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because the research records of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are public goods. Although various cases were not analyzed,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the meaning and role of the research records schedule was reorganized. Also, a discriminatory records schedu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was suggested.

호주와 미국의 사례를 통해 연구기록 평가제도의 설계,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처분일정표는 주요 기록의 목록과 적절한 처분행위를 담은 핵심적인 기록관리 도구라는 점에서 이를 바탕으로 한 평가제도의 방향을 모색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관리는 업무행위 및 운영시스템의 기본 구조와 통합될 때 효과적임으로 연구과제 단위로 생산되는 연구기록은 연구과제에 따라 등록, 편철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조직 기능에 기반을 둔 지금의 등록 분류체계와 시스템 구조는 수정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기관에선 기관 공통 처분일정표와 연구분야별 복수의 처분일정표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처분일정표는 단위업무와 기록물철이 일렬로 정리된 하나의 표라는 지금의 개념적, 물리적 구조를 벗어나 제대로 '처분지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매뉴얼 기능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 연구기관의 연구방식과 생산기록의 특성은 인정하되, 공적 연구기관의 연구기록은 공공재임으로 국가기록관리체계와 연구기록의 평가 처분은 연결고리가 있어야 한다. 충분한 사례를 분석하진 못했지만 연구기록 처분일정표의 의미와 역할을 재정리하고 연구기록의 특성을 반영한 차별적인 구성과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설문원. 2006. 공공업무의 체계적 기록화를 위한 보유일정표 설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199-219.
  2. 설문원. 2013.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3. 여상아. 2007.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 관리 개선방안: K연구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4. 이미영. 2014. 과학기술분야 연구기록의 평가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1, 75-111.
  5.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6. Hass, Joan K., Samuels, Helen W., and Simmons, Barbara T. 1985. Appraising the records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Cambridg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7. NAA. 2016. General Records Authority No.37: Research & Development. Retrieved 2016.6.20. http://www.naa.gov.au/Images/2014-00675051_tcm16-89907.PDF
  8. NAA. 2002. Records Disposal Authority: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CSIRO). Retrieved 2016.6.25. http://www.naa.gov.au/naaresources/ra/2002-04926193.pdf
  9. NARA. 2007. Strategic Directions: Appraisal Policy. Retrieved 2016.6.25. http://www.archives.gov/records-mgmt/initiatives/appraisal.html
  10. USGS. 2007a. Water Resources Discipline Scientific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Retrieved 2016.6.20. http://www.usgs.gov/usgs-manual/schedule/432-1-s2/
  11. USGS. 2007b. Biological Resources Discipline Mission-Specific Records Schedule. Retrieved 2016.7.27. http://www.usgs.gov/usgs-manual/schedule/432-1-s3/brd.html
  12. USGS. 2007c. Special geologic studies group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Retrieved 2016.7.29. https://www2.usgs.gov/usgs-manual/schedule/432-1-s4/sgsg.html
  13. USGS. 2013. Geological Survey Records Disposition Schedules. Retrieved 2016.6.20. https://www2.usgs.gov/usgs-manual/schedule/

Cited by

  1.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록분류 현황과 개선과제 vol.53,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7.53.229
  2.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 평가 개선방안 연구 vol.66,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20.66.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