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llecting and using maul records

마을기록물의 수집과 활용

  • Received : 2016.05.12
  • Accepted : 2016.07.22
  • Published : 2016.07.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types, and locations of maul records, and the methods for collecting, preserving, and using them. Maul records reveal the nature of the residents' ordinary lives, help to closely examin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maul, and serve as cultural resources that supplement oral records. Collecting materials from maul records requires understanding the types, locations, and states of the records. Maul records should include records created by the local organizations, personal records by individuals, and records that evidence the history of the maul. The collection methods of maul records are categorized into regular collection, irregular collection, passive collection, and active collection. These records need to be locally conserved in the maul. They can enhance the residents' lives, and can be used to help produce books, posters, calendars, commercial advertisements, symbols, academic education, exhibitions, digital contents, and historical records. They are also useful in helping to market the history.

이 글에서는 마을기록물의 중요성과 유형 및 소장처, 수집과 보존, 활용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을기록물은 주민의 일상 활동을 실증하며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규명하는 데 기여하며 구술의 불완전성을 보완하는 마을문화의 자원이다. 마을기록물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유형과 소장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마을기록물은 자치조직의 활동에서 생산된 기록물, 주민의 개인기록물, 마을 안팎에 존재하며 마을사를 증거해 줄 수 있는 기록물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마을기록물의 수집방법은 정기적 수집과 비정기적 수집 그리고 일반적 수집과 적극적 수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마을기록물은 마을기록관에 보존하는 것을 지향해야 한다. 마을기록물은 주민의 삶의 질과 정서함양에 도움을 주며 책 자, 포스터, 달력, 홍보물, 상징물, 학술 및 교육, 전시, 디지털콘텐츠, 마을사의 사료 및 히스토리마케팅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갈매동 도당굿 학술종합조사단, 구리시. 1996. 갈매동 도당굿: 경기도 구리시 갈매동 도당굿 학술종합조사보고서. 구리: 구리시.
  2. 경기문화재단. 2007. 평택 일기로 본 농촌생활사 I.
  3. 김덕묵. 2012. 마을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을기록관'을 제안한다, 기록학연구, 33, 39-84.
  4. 김상호. 2007. 민간기록물의 수탁 보존기구에 관한 연구, 書誌學硏究, 36, 197-216.
  5. 윤동환. 2014. 별신굿의 경제적 토대와 제비용 : 계원마을 동문서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60, 99-120.
  6.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2013. 마을공동체 기록관리 매뉴얼.
  7. 최윤진. 2012. 성미산 마을 아카이빙 체계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인간과기록연구단 (편), 일상 아카이브의 발견(119-163). 서울: 선인.
  8. 최효진, 임진희. 2015.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5월 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6, 92-152.
  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예천 맛질 朴氏家 日記3 : 日記篇.
  10. 함한희. 2008. 민속지식의 생산과 공공성의 문제 : 마을 민속아카이브 구축과 관련해서, 마을민속 아카이브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민속원.
  1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디지털광명문화대전. 검색일자: 2016.6.15. http://gwangmyeong.grandculture.net

Cited by

  1.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vol.5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119
  2. 모두를 위한 플랫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반 일상 아카이브 설계 vol.66,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20.66.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