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ulti-modal Transport Logistics Network Buildup of Harbors in Gangwon in the North Pole Route Era

북극해 항로시대와 강원권 항만의 복합운송 물류네트워크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10.27
  • Accepted : 2016.12.2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itiatives of Gangwon sea routes based on precedent studies on the North Pole route to suggest a multi-modal buildup of transport logistics network of Gangwon harbors for the strengthening of logistics efficienc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findings were: First,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railway infrastructure in Gangwon. Second, harbors in Gangwon should each have one speciality to strengthen connection with other harbors by using railway oriented background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industries of EFEZ(East coast Free Economic Zone) in the East Sea Coast in Gangwon to connect resources from the North Pole Sea.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invite the base of Araon Ho's polar research vessel to play the role of the North Pole Sea route in the near future. Fifth,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role of the Samcheock LNG base under construction. SIxth,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ation technology should be introduced to reduce carbon emission as much as possible. Lastly, an optimum North Pole logistics route should be developed to connect the Metropolitan area(Metropolitan Economic Zone), Gangwon roads and railway, Gangwon habor, Trans-Siberian Railway and thw North Pole route, and Europe, to strengthen national foreign trade power in the near future.

본 연구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북극해 항로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강원권 항만의 이니셔티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극해 항로시대에 유라시아에서 한반도 전체의 물류효율화를 위한 강원권 항만의 복합운송 물류네트워크 구축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권 지역의 철도 중심의 교통인프라 확충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강원도 항만들의 기능을 1항 1특화 기능으로 분담하고 철도중심의 배후 교통망을 이용하여 항만들 간의 연계성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셋째, 강원도 동해안에 지정된 EFEZ의 산업개발과 북한 극동러시아, 북극해의 자원을 연결하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국내 극지 탐사선인'아라온 호'의 출항 기지를 유치하여 강원도 항만들이 북극해 항로에 대한 선제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현재 건설 중인 삼척 LNG 기지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여섯째, 탄소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친환경 수송기술 도입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되어 진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도권(광역 경제권) ${\leftrightarrow}$ 강원권 도로, 철도 ${\leftrightarrow}$ 강원권 항만 ${\leftrightarrow}$ TSR, 북극해 항로 ${\leftrightarrow}$ 유럽을 연결하는 최적의 북방 물류 루트를 개척하는 것이 가까운 장래 국가 무역경쟁력을 강화 시키는 지름길이라 생각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발전연구원(2014), "북극항로의 지름길, 내륙물류의 고도화", '정책메모', 제327호 .
  2. 강원발전연구원(2013), "SRX와 북방물류 전진기지 강원도", '정책메모', 제308호.
  3. 강원발전연구원(2013), "떠오르는 크루즈 산업 그리고 강원도", '정책메모', 제266호.
  4. 강원발전연구원(2012),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그리고 향방", '정책메모', 제191호.
  5. 강원발전연구원(2011), "북방루트: 강원도의 이니셔티브", '정책메모', 제71호.
  6. 국토해양부(2011),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화물처리실적 통계'.
  7.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
  8. 권영태.채병근.김종관(2015), "북극해항로 선박운용 특성에 대한 연구: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승선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15권 제2호, 124-126.
  9. 김경(2012), "일본의 북극 정책 방향: OPRF 북극 제언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12권 60-62.
  10. 김선래(2015), "북극해 개발과 북극항로: 러시아의 전략적 이익과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한국시베리아연구', 제19권 제1호, 35-64.
  11. 김원배(2009), "환동해권과 동해안 도시들", '환동해리뷰', 제1호, 환동해경제문화연구소.
  12. 김원욱.윤대근.박외철(2015), "선박 및 선원의 인명 안전을 고려한 북극해 항로 운항 연구", '海洋環境安全學會誌', 제21권 제1호, 40-46.
  13. 김은주.박지문( 2015),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극해 항로개설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30호, 1-31.
  14. 김재진(2013), '강원도 국제훼리 항로 타당성 분석 및 활성화', 강원발전연구원.
  15. 김재진(2014), '강원도 동해선 철도의 추진방향', 강원발전연구원.
  16. 김재진.김경남(2012), '북극항로시대 강원도 전략', 강원발전연구원.
  17.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18. 남청도(2013), "지구온난화와 북극해항로 여건변화의 추이",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13권, 88-90.
  19. 동해안경제자유구역청(http://www.efez.go.kr).
  20. 류동근.남청도.남형식(2013), "북극해 시대 부산의 기회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13권, 8-10.
  21. 박병주.옥광수(2013), "북극항로 개설에 대응한 경남항만의 발전방향", '정책포커스', 제11호, 1-64.
  22. 박영민(2015), "한, 중, 일의 북극 전략과 협력 거버넌스의 구축 필요성", '중소연구', 제39권 제1호, 205-230.
  23. 박영준(2013), "일본의 북극해 진출 정책과 한국의 시사점", '日本硏究論叢', 제38권 제1호, 5-28.
  24. 박홍균.최용석.김선구.강대련(2014), "광양항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북극항로 화물선택과제", '해운물류연구', 제81권 제2호, 135-154.
  25. 양찬수.김선화.홍성철.김철호.허기영.김영호(2013), "북극항로 안전운항지원 시스템 설계: 위성기반 개념 설계",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69-70.
  26. 윤승국(2014), "북극해항로에서의 선박안전항행 규칙에 관한 연구", '무역보험연구', 제15권 제1호, 153-175.
  27. 윤영미.이동현(2013), "글로벌 시대 한국의 북극정책과 국제협력: 제약점과 과제 글로벌 시대 한국의 북극정책과 국제협력: 제약점과 과제", '한국시베리아연구', 제17권 제2호, 189-226.
  28. 이성우.송주미.오연선(2011), "북극항로 개설에 따른 해운항만 여건 변화 및 물동량 전망", '연구보고서', 제2011권, 제22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62.
  29. 이성우.손보라.이홍원(2015), "북방물류시장과 연계한 울산항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87권 제2호, 621-642.
  30. 이영형(2009), "러시아의 북극해 확보전략: 정책방향과 내재적 의미", '중소연구', 제33권 제4호, 103-132.
  31. 정태권(2015), "국내외 북극해항로 연구현황 및 전망" 한국항해항만경제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21-123.
  32. 조성철(2002), "북극해 항로(Northern Sea Route) 진출 및 쇄빙상선 투자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국제해양문제연구', 제13권 제1호, 125-153.
  33. 최경식(2012), "지구온난화와 북극해 항로",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12권 제5호, 129-129.
  34. 최한별.최석범.리신강(2014), "한국의 북극항로 이용에 따른 국제물류네트워크의 재편성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81권 제1호, 105-134.
  35. 코레일, 철도통계연보 및 내부자료.
  36. 코레일연구원(2012), "동해항권 항만연계수송사업 진출방안 연구".
  37.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1), "북극항로 물동량 전망 및 비용분석".
  38. 한능호.허윤석(2014), "북극해항로의 활성화에 따른 강원도 물류허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27호, 137-158.
  39. 한종만(2014), "러시아 북극권 지역에서의 자원/물류 전쟁: 현황과 이슈", '한국시베리아연구', 제18권 제1호, 1-33.
  40. 한종만(2011), "러시아 북극권의 잠재력: 가능성과 문제점", '한국과 국제정치', 제27권 제2호, 183-215.
  41. 한철환(2011), "북극해 항로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제71권 제3호, 583-605.
  42. 홍성원(2012), "북극해항로와 북극해 자원개발: 한러 협력과 한국의 전략 북극해항로와 북극해 자원개발: 한러 협력과 한국의 전략", '국제지역연구', 제15권 제4호, 95-124.
  43. 홍성원(2010), "북극항로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4호, 557-584.
  44. 홍성원(2010), "북극항로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에 관한연구",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4호, 557-584.
  45. 홍성철.김선화.양찬수(2014),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능적 요구 조건 도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2권 제5호, 19-26.
  46. KIEP 지역경제포커스(2014.9.1.), "중국의 신 실크로드 경 제권 추진동향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