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Nonprofit Organization works' Work-Life Balance on Turnover Intention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종수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6.04.01
  • Accepted : 2016.05.18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for Nonprofit organization(NPO) worker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s, to identify how work-life balance affects workers' turnover intention. From October 10 to November 10, 2013,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workers at NPOs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through interviews, emails, and mail, and 286 responses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PO workers' level of work-life balance was 3.12 for work-family life, 3.07 for work-leisure life, and 3.02 for work-personal life on a five-point scale; the median value was 3.0. Turnover intention was 2.71,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e median value of 3.0, again on a five-point scale, but it was relatively higher for younger workers, single workers, workers who indicated a lower level of work-personal life balance, and workers whose education included two-years or less of colle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factors that lower turnover intention among these workers and develop programs and support that enhances work-life balance, particularly work-personal life balance.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주(2015).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경력동기, 조직지원인식,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고용가능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공계순(2005).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9, 7-35.
  3. 국가인권위원회(2013). 사회복지사 인권상황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4. 김교정(2003). 사회복지실무자의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부산 사회복지기관의 실무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9(2), 65-93.
  5. 김영미(2008). 한국사회, 일.가정양립의 현주소. 지역사회연구, 59, 32-36.
  6. 김정운, 박정열(2004). 주40시간 근무제 실행 후 노동자의 생활양식 변화와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연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7. 김정운, 박정열(2008). '일과 삶의 균형'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5(3), 53-69.
  8. 김정운, 박정열, 손영미, 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9. 김주엽, 박종찬, 김찬중(2009). 일과 생활의 균형, 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인사관리연구, 33(4), 121-153.
  10. 김주엽, 박상언, 지혜정(2011). 일-생활균형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14(1), 1-29.
  11. 뉴시스(2016.01.13). 디지털 익숙한 청년 직장인... '일.생활균형'없어 단기이직 한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113_0013834291&cID=10201&pID=10200
  12. 문영주(2010).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다중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경규(2002). 인사관리. 서울: 홍문사
  14. 박주혜(2008).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전업주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지원(2007). 사회적 지원이 일-가정 상호관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현미(2009). 노동자들의 일과 생활균형의 현황-한국노총 산하 노동자 의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노동저널, 10, 38-95.
  17. 서종수(2010).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종수, 조희금(2015). 가족사업기관의 조직특성 및 종사자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4), 19-32. https://doi.org/10.7466/JKHMA.2015.33.4.19
  19. 손영미, 김정운, 박정열(2011).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변인의 영향력 검증연구. 여가학연구, 9(1), 101-131.
  20. 손영미, 박정열(2014). 남녀의 일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2), 161-190.
  21. 손영미, 박정열(2015).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조직, 지역사회 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국가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51-74.
  22. 심지양(2011). 근로자의 일생활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아시아경제(2014.02.18). 이력서에 '기혼'이라 쓰면... 면접관은 '감점'으로 읽는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21813564908196.
  24. 안관영(2008). 기혼 여교사의 직무특성, 직장-가정갈등 및 직업몰입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50, 163-180.
  25. 안병주, 차민석(2013). 소진과 이직의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13(11), 93-112.
  26. 양노열, 박지혁, 한대성, 이주현(2014).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4), 39-48. https://doi.org/10.14519/jksot.2014.22.4.04
  27. 오재동, 김경호(2013). 사회복지사의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83-104.
  28. 오지경, 김은규, 노용휘(2013). 객실승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기혼여성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5(7), 383-399.
  29. 이병재, 정태석(2013).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8), 75-9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8.075
  30. 이선경, 이춘후, 김상순(2014).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제 만족도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1(5), 245-262.
  31. 이수성(2008).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연순(2005).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윤경(2009). 일과 생활의 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은미(2008).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인재, 김성우(2012). 자활실무자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2), 1-25.
  36. 이혜정, 유규창(2013).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세대별 일의 가치를 통해 본 의미와 역할. 노동정책연구, 13(4), 1-31.
  37. 장윤정(2011). 공공.민간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비교 연구, 노인복지연구, 51, 361-382.
  38. 정우진, 김강식(2014). 근로시간과 일-가정갈등 및 이직의향. 질서경제저널, 17(2), 69-87.
  39. 추원준, 황호영, 최인태, 박정일(2014). 일과 생활의 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6(1), 53-78.
  40.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41. 한국고용정보원(2013). 2013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한국고용정보원.
  42.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12). 2012년 한국사회복지사 기초통계연감. 한국사회복지사협회.
  43. 한지일(2011). 직장에서의 세대 변인에 따른 일-가정, 일-여가, 일-성장 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Dalton, D. R. & Todor, W. D.(1993). Turnover, Transfer, Absenteeism: An interdependent Perspective. Journal of Management, 19(2), 193-219. https://doi.org/10.1177/014920639301900202
  45.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 510-531.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42-8
  46. Hian, C. C. & Einstein, W. O.(1990). Quality of Work Life: What can Unions do. Advanced Management Journal, 55(2), 17-22.
  47. Lawler, E. E.(1983).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J. R. Hackman, E. E. Lawler. & L. W. Porter(Eds.). Perspectives on behavior in organizations(pp. 78-87). NY : MaGraw-Hill Book Company.
  48. Marks, S. R. & MacDermid, S. M.(1996). Multiple roles and the self: A theory of role bala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417-432. https://doi.org/10.2307/353506
  49. Mobley, W. H.(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50. Steel. R. P. & Ovalle, N. K.(1984).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4), 673-686. https://doi.org/10.1037/0021-9010.69.4.673
  51. Vandenverg, R. & Nelson, J.(1999). Disaggregating the motives underlying turnover intentions: When do intentions predict turnover behaviour?. Journal of Human Relations, 52, 1313-1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