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dictors of Reemployment on Career Interrupted Women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예측요인

  • Received : 2016.04.01
  • Accepted : 2016.05.26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which predict and discriminate women' reemployment. 288 married women whose careers had been interrupted for more than 1 year and 287 married women who re-entered into the labor market within 5 years were survey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personal factor(reemployment need), proximal context factors(career barriers, family support and expectation for reemployment) and background context factors(SES, family life cycle), background context factors were revealed not to predict significantly women's reemployment. Secondly, in the case of proximal context factors, it was found that 'expectation of family members for reemployment' and 'sharing family care' had strong effects on reemployment. And compared with interrupted women, reemployed women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career barriers. Specifically, they showed lower expectation to their job and status which they would achieve, less perceived gender/age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and had more confidence that they could find a job. Finally, with regard to the personal factor (reemployment need), the lower women had self-actualization need, the higher economic need, and the higher social need, it was highly likely to classify into reemployed women. We discussed the way to improve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based on above mentioned findings.

Keywords

References

  1. 구명숙, 홍상욱(2005).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전업주부 재취업훈련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53-167.
  2. 권영란(2010). 의사결정나무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중학생 자살생각 예측요인 비교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2(6), 3103-3115.
  3. 권희경(2010).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재취업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87-98.
  4. 김경년, 김현수, 김안나(2015). 환경의 취약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현재지향성의 매개효과와 교육복지 정책의 상쇄효과. 교육학연구, 53(3), 266-285.
  5. 김선화(2010). 부산지역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문집, 21, 95-131.
  6. 김성진, 박정열(2015). 경력단절여성 관련 연구동향: 경력회복요인을 중심으로. SSK- Networking 지원사업 제3차 심포지엄 자료집.
  7. 김영옥(2002).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취업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5(2), 5-40.
  8. 김지경(2003).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단절 및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혜연(2010). 중, 고령자의 고용형태별 퇴직과정 유형과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17(1), 291-319.
  10. 문란영(2013).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문지연(2013). 기혼여성의 육아와 취업에 대한 갈등과 해결방안 탐구: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비교. 미래교육연구, 29-55.
  12. 박수정(2015). '다시 일처로 돌아온 여성'을 통해 살펴본 여성의 삶과 학습의 일상성. 아시아여성연구, 54(1), 111-140.
  13. 박정열, 손영미(2016).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및 재취업 이득/손실의 지각이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9(1), 101-121.
  14. 박정열, 손영미, 오세숙(2014). 시간제 여성임금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에 따른 시간사용과 심리적 특성. 여가학연구, 12(1), 79-105.
  15. 박재신, 방성완(2015). 불균형 자료의 분류분석에서 샘플링 기법을 이용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7(4), 1877-1888.
  16. 서경희, 곽원준, 심지현(2015).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취업진로연구, 5(4), 57-88.
  17. 서은국, 구재선(2011).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96-114.
  18. 손영미, 박정열(2014).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2), 161-190.
  19. 손영미, 박정열(2015).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조직, 지역사회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국가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51-74.
  20. 손영미, 박정열, 전은선(2015).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과 가정 양립관련가 치관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53-277.
  21. 손은령(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손은령(2004). 진로선택과정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의 역할. 상담학연구, 5(3), 623-635.
  23. 송성이(2009): 준고령자의 직업복귀유형별 재취업욕구와 미래시간전망 비교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유희정(2015).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결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사고개발, 11(1), 155-178.
  25. 윤혜경(2007).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진로 탐색경험분석: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중장년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은혜경(2013). 직업상담자가 인식한 진로유연성 탐색: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 과정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9(1), 81-104.
  27. 은혜경, 김창대(2011).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진로유연성 탐색: 재취업 성공 기혼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2), 651-671.
  28. 이미정(2002). 젊은 세대 고학력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한국인구학, 25(2), 139-161.
  29. 이병호(2013). 중고령 실업자의 재취업욕구가 진로경로 개척의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성식(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수분, 이정희(2010).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9(3), 187-208.
  32. 이수분, 이정희(2014).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선택에 관한 질적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1(5), 165-185.
  33. 이정희(2014).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여성연구, 86(1), 281-324.
  34. 이진경, 옥선화(2009). 첫 자녀 출산 여부와 가족친화제도에 따른 유배우 기혼 여성의 취업중단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10(3), 59-83.
  35. 이희정, 김금미(2010). 경력단절여성의 진로 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623-640.
  36. 장서영(2008).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74(1), 79-104.
  37. 장지연(2010).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돌봄노동 사회화정책의 방향성. 여성 경력단절 실태를 통해 본 일.가정 양립과 저출산 대안 모색 토론회 자료집.
  38. 장지연, 김민영(2010). 경력단절여성의 구직경로가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78, 31-76.
  39. 정성미(2006). 이슈분석: 여성 재취업 고용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노동리뷰, 15, 39-50.
  40. 정혜원(2009). 괜찮은 여성일자리에 관한 판별기준 탐색: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선호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수정(2007). 중등단계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사회경제적 수준 및 학업성적과 진로성숙변화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변화모형. 한국청소년연구, 18(3), 31-57.
  42. 최영숙(2004). 진로장벽에 직면한 직업복귀 여성의 진로타협유형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용석, 강창완, 김경덕(2005). 명목형 다항 반응 로지스틱회귀분석 모형의 행렬도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7(3), 839-849.
  44. 최웅용, 윤현희, 이정애(2009). 장애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19(2), 5-28.
  45. 최윤정, 김계현(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발달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진로지속여성과 중단여성 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46. 통계청(2012).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47. 홍아정, 조윤성(2012). 경력단절여성의 감성지능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연결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5(3), 35-61.
  48. Andersson, K.(2015). Predictors of re-employment: A question of attitude, behavior or gender?.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6(4), 438-446. https://doi.org/10.1111/sjop.12218
  49. Betz, N. E. & Fitzgerald, L. F.(1987).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Orlando, FL: Academic Press.
  50. Brown, S. D. & Lent, R. W.(1996). A social cognitive framework for career choice counseling.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4, 354-366.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6.tb00451.x
  51. Brown, S. D. & Rector, C. C.(2008). Concept ualizing and diagnosing problems in vocational decision making. In S. D. Brown & R. W. Lent(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4th ed., pp. 392-407). Hoboken, NJ: Basic Books.
  52. Ferrari, L., Nota, L. & Soresi, S.(2010). Time perspective and indecision in young and older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38(1), 61-82. https://doi.org/10.1080/03069880903408612
  53. Ford, M. T., Heinen, B. A. & Langkarmer, K. L.(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57-80. https://doi.org/10.1037/0021-9010.92.1.57
  54. Howard, K. A. S., Carlstrom, A. H., Katz, A. D., Chew, A. Y., Ray, G. C., Laine, L. & Caulum, D.(2011). Career aspirations of youth: Untangling race/ethnicity, SES, and gende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9(1), 98-109. https://doi.org/10.1016/j.jvb.2010.12.002
  55. Kline, R. B.(2005).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56.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
  57. Lindley, L. D.(2005). Perceived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3), 271-287. https://doi.org/10.1177/1069072705274953
  58. McMahon, M., Watson, M. & Bimrose, J.(2012). Career adaptability: A qualitative understanding from the stories of older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3), 762-768. https://doi.org/10.1016/j.jvb.2012.01.016
  59. Stier, H. & Yaish, M.(2008). The determinants of women's employment dynamics: The case of Israeli wome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4(3), 363-377. https://doi.org/10.1093/esr/jcn010
  60. Super, D. E.(1990). A life-span, life-space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 & other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San Francisco: Jossey-Bass.
  61. Swanson, J. L. & Woitke, M. B.(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4), 443-462.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405
  62. Wanberg, C. R., Kanfer, R., Hamann, D. J. & Zhang, Z.(2015). Age and reemployment success after job loss: An integrative model and meta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42(2), 40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