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Directive leadership, Self-efficacy and Cohesion - Focused on the Marine Corps Soldiers -

코칭 및 지시적 리더십, 자기 효능감과 응집력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해병대 소대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5.03
  • Accepted : 2016.05.27
  • Published : 2016.05.30

Abstract

This study a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Directive leadership, Self-Efficacy and Cohesion, On the focus of Marine Corps Soldi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70 Soldiers located at Pohang, January 18 to 25, 2016.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2.0 program. In Cohesiveness, there were significants differences in Age, Branch of Service and Rank. As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style, Self-efficacy and Cohesion were positive significa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effective leradership of Platoon Leader and future research on develop leradership program and curriculum were then discussed.

본 연구는 해병대 소대장의 코칭 및 지시적 리더십과 자기 효능감 및 응집력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증적 연구이다. 포항 해병부대의 소대원 488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1월 18일에서 1월 25일까지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requency, t-test, ANOVA와 scheffe's test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응집력 정도는 연령, 병과, 계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코칭 리더십 정도와 응집력 정도와의 관계는 중등도 정도의 순 상관관계(r=.492,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시적 리더십 정도와 응집력 정도와의 관계는 약한 순 상관관계(r=.213, p<.001), 자기 효능감 정도와 응집력 정도와의 관계는 강한 순 상관관계(r=.84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코칭 리더십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 응집력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군 환경과 신세대 장병에 적합한 소대장의 리더십 개발에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병순(2011), 軍리더십, 서울:북 코리아.
  2. 송하성(2014), 진성 및 변혁적 리더십이 소대성과와 병사의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Bandura,A.(1997),Self-efficacy: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4. Bandura,A.(2001).Social cognitive theory .An agentic perspective.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2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1
  5. 현복희(2005), 여행사관리자 리더십과 종사자 조직협력, 직무성과의 관계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05.
  6. 정병천(2009), 군 리더의 감성역량이 집단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McLean, G. N., Yang, B., Kuo, MH. C., Tolbert, A. S., & Larkin, C. (2005).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n instrument measuring managerial coaching skil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6(2), 157-178. https://doi.org/10.1002/hrdq.1131
  8. House ,R.J ,& Mitchell,T.R Path-goal theory of leadership, Journal of Contemporary Business, Fall.
  9. Carron, A. V.(1982), "Cohesiveness in Sports Group : Interpretations and Consideratio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4, 123-138. https://doi.org/10.1123/jsp.4.2.123
  10. 이학직, 임지훈(2015), SPSS 22 매뉴얼, 서울, 집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