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emiotic Analysis of JTBC : Focusing on Significance of Ideology

드라마 <송곳>의 기호학적 분석 :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중심으로

  • 태보라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
  • 최믿음 (KBS 방송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6.01.27
  • Accepted : 2016.03.16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semiotic analysis of drama . Based on Paradigm, Syntagm concept, I apprehended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ve structure of drama, characters and contemplated on ideology reflected in the drama. As a result, it has approaching method of Critical Pluralism which strongly exposes resistance ideology. The drama intensified Classical Ideology such as gender role, hero, and family ideology, also it consists of Humane Introspection Ideology such as self-understanding, mutual-understanding, and self-serving bias.

이 연구는 사회적 갑을관계, 비정규직, 노동조합, 파업, 임금 등 시의성 있는 사회 이슈를 다룬 웹툰 <송곳>을 원작으로 제작된 드라마 <송곳>의 스토리텔링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소쉬르가 제시한 계열체, 통합체 개념을 바탕으로 드라마의 서사적 구조와 인물 및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드라마가 사회적 이슈를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는지, 어떠한 담론 요소를 구성하는지 알아보고자 작품 속에 투영된 이데올로기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비판적 다원주의(Critical Pluralism) 접근방식으로서 기존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저항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드러났다. 둘째, 성역할, 영웅, 가족 이데올로기와 같은 고전적 이데올로기를 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이해와 상호이해, 이기적 편향 등의 인간 성찰적 이데올로기가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철, 강정수,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 언론정보연구, 제50권, 제1호, pp.84-120, 2013.
  2. 유제상, "트랜스미디어와 사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1권, pp.185-209, 2015.
  3. 임종수, "방송콘텐츠의 OSMU 활용방안 연구,"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pp.35-64, 2007.
  4. 남정은,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0권, pp.23-49, 2015.
  5. 서성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미생>의 가능성과 한계," 語文學, 제128권, pp.277-308, 2015.
  6. 신동희,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스토리텔링과 개념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180-189,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180
  7. 정일형, "<미생>을 통해 본 비주얼 구성요소의 공간에 관한 연구," 언론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81-307, 2015.
  8. H. Jenkins,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Media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 London: New York Univ. Press, 2006.
  9. 백선기, 김승희, "텔레비전 드라마의 갈등 표출과 이데올로기적 의미: 드라마 아줌마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10권, pp.157-195.
  10. 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846995
  11. 허진, "시각기호의 의미작용에 대한 이해와 해석범주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94-10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094
  12. 권경민, "만화분석에 관한 방법론적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7호, pp.68-76,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7.068
  13. 오장근, "소쉬르의 기호학적 전통과 뮤직비디오:뮤직비디오 '불면증'을 대상으로 한 기호학적 분석 가능성," 기호학연구, 제21권, pp.311-331.
  14. 조창연, "디지털 시대의 제품 의미 생성 작용에 대한 광고 기호학적 접근: 소쉬르와 퍼스의 기호학과 그 관점을 넘어서," 기호학연구, 제12권, pp.244-285, 2002.
  15. R. Danielle and M. Pieter, "Media, pluralism and democracy: what's in a name?," Media, Culture & Society, Vol.37, No.7, pp.1042-1059, 2015. https://doi.org/10.1177/0163443715591670
  16. 주창윤, 영상이미지의 구조, 나남,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