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Yeongnyeon-euisaeng under Japanese Occupation

일제강점기 영년의생 연구

  • Park, Hun-Pyeng (Korean Medicine Sixth Department, Hwasun Maru Gariatric Hospital)
  • 박훈평 (화순마루요양병원 한방 6과)
  • Received : 2016.05.04
  • Accepted : 2016.05.25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Yeongnyeon-euisaeng (永年醫生) was a licensed Euisaeng (醫生) without time limit. Yeongnyeon-euisaeng was a member of bridging the gap between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hanuigye (韓醫界). This study aims at better understanding the Yeongnyeon-euisang. In methods, several statistics have been served about Yeongnyeon-euisaeng on the basis of the Official gazette. The following facts have been found through the Official gazette. First, the time limitted licenses have been issued mixed with a permanent license. Secondly, Yeongnyeon-euisaeng lived longer than other people. Third, the residence of Yeongnyeon-euisaeng was a very high proportion in South Hamgyong Province. Fourth, Yeongnyeon-euisae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medical doctor (韓醫師) system after the libera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of multilateral for Yeongnyeon-euisaeng and Confucian doctor were examined. Area of the Confucian doctor decreased since the 17th century. Confucian doctor's region and position declim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ut Confucian doctors were also culled as status of Korean medicine and Neo-Confucianism declimed.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수. 조선시대 유의의 형성과 변화. 한국의사학회지. 2015;28(2):118-119.
  2. 김윤상. 여과대요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185.
  3. 박지현. 유교지식인 해악 김광진의 의생 활동과 그 의미. 역사학보. 2016;229:157-185.
  4. 신동원.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 - 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의사학. 2003;12(2):110-128.
  5. 신동원. 1910년대 일제의 보건의료정책 - 한의학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2002;30:333-370.
  6. 오재근. 부양학파, 한국 전통 의학 학술유파의 탄생과 전승. 醫史學. 2014;23(1): 66.
  7. 오준호. 해남의 유의 조택승 조병후 부자 연구. 호남문화연구. 2012;52:137-163.
  8. 윤보현, 방성식. 동의사상신편의 저자인 원지상의 연구. 사상체질학회지. 2000;12(2):8-16.
  9. 윤애란. 한국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89.
  10. 권대섭. 비전신방. 대구:대창약방. 1933:판권지.
  11.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外. 한의학통사. 고양:대성의학사. 2006:472-474.
  12.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인물실록. 파주:들녘. 2011:24-490.
  13. 김남일.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 파주:들녘. 2011:10.
  14. 김홍제. 일금방. 경성:趙鼎久方. 1928:판권지.
  15. 남재철. 양무신편. 울진:춘화당인쇄소. 1931:판권지.
  16. 민태윤. 한방의학소아전과. 경성:금벽사. 1928:판권지.
  17. 박훈평. 조선의인지. 파주:한국학술정보. 2012:1-578.
  18. 이재건. 여과대요. 경성:京城府笠町42番地. 1922:서문.
  19. 정순중. 홍진신방. 함양:매헌서실. 1927:서문, 판권지.
  20. 정원희. 소헌 정원희유고집. 서울:현범사. 1988:25-26.
  21. 청주한씨대동족보편찬위원회. 육교 정묘 청주한씨대동 족보. 대전:회상사. 1993:6권 4271, 44권 3605, 3606, 3607, 4719.
  22. 한경택. 치진지남. 경성:韓敬澤家. 1936:서문.
  23. 안상우. "고의서 산책 200 - 일금방". 민족의학신문. 2004.4.30.
  24. 황상익. "일제시대 북쪽에 의사가 많았던 까닭은?". 프레시안. 2011.6.30
  25. 국가기록원. 전자관보(http://www.moi.go.k)
  26.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
  2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2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http://www.koreanhistory.or.kr/)
  29. 대한민국정부. 조선총독부관보 활용시스템(http://gb.nl.go.kr)
  3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Cited by

  1. 일제강점기 달성의생 전석희의 진료기록 연구 vol.32, pp.2, 2016, https://doi.org/10.15521/jkmh.2019.32.2.071
  2. 서병효(徐丙孝) 연구에 대한 예비적 고찰 vol.33, pp.3, 2016, https://doi.org/10.14369/jkmc.2020.33.3.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