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s Discriminatory Experience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류한수 (우송대학교 사회복지.아동학부)
  • Received : 2016.06.08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ion that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experience and various self-reported health indicators. The participants included 545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o responded to a self-questionnaire that was handed out to them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y attended in the C area. We designed this causal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ion that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feel they experience and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t indices were found to be $x^2$(df)=236.403(76), CFI=.945, RMSEA=.077. These were statistically acceptable levels. In addition, perceived discrimination produces significantly heightened stress and negative effects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among immigrant women. Therefore, discrimination may constitute a risk factor for the health of immigrant women and could be the fact that explains health inequalities among immigrant populations in Korean societ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find ways to reduce discrimination within Korean society as it becomes a multicultural society rapidly.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그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결혼이주여성으로 C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545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자료는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 빈도 및 스트레스 강도,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한국어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자루스 외(Lazarus et al., 1984)의 스트레스인지이론을 바탕으로 차별경험, 스트레스,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의 관련성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모형의 적합도는 $x^2$(df)=236.403(76), CFI=.945, RMSEA=.077이었고, 통계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었다. 둘째, 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차별경험 빈도가 스트레스 강도를 경유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결혼이주여성이 차별을 빈번하게 경험할수록 스트레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우리사회에서의 이주민에 대한 차별 감소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휘원,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요인과 통합 정책," 국가정책연구, 제20권, 제2호, pp.5-34, 2006.
  2. 박수미, 정기선, 김혜숙, 박건,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성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4.
  3. 박정현, 이은복, "글로벌 5개국 20대의 가치관 비교," LG비즈니스 인사이트, pp.28-38, 2015.
  4. N. Krieger, "Embodying inequality: a review of concepts, measures, and methods for studying health consequences of discri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Vol.29, No.2, pp.295-352, 1999. https://doi.org/10.2190/M11W-VWXE-KQM9-G97Q
  5. 손인서, 김승섭, "한국의 차별경험과 건강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1호, pp.26-57, 2015.
  6. 민무숙, 김이선, 주유선, 이정연,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통합의 과제," 여성연구, 제85권, 제2호, pp.5-43, 2013.
  7. 김유균, 손인서, 김승섭,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연관성,"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421-452, 2015.
  8. 전기택, 정해숙, 김이선, 김영란, 주재선, 김혜영, 손창균, 이재분, 정기선, 황정미, 강민정, 선보영, 최윤정, 주유선, 박건표, 동제연,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2013.
  9. http://www.sisabreak.com/news/articleView.html?idxno=29833
  10.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02/0200000000AKR20150702139400004.HTML?input=1179m
  11. 이현승,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2. 권구영, 박근우,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연구, 제14권, 제2호, pp.187-219, 2007.
  13. 조인주, 현안나,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177-206, 2012.
  14. D. R. Williams and S. A. Mohammed, "Discrimination and racial disparities in health: evidence and needed research,"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32, No.1, pp.20-47, 2009. https://doi.org/10.1007/s10865-008-9185-0
  15. 전지혜, "장애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우울감의 관계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5, pp.51-80, 2010.
  16. 김귀분, 최연주, "노인의 사회적 요인 (노인차별경험, 가족지지) 및 심리 정서적 요인 (고독, 무력감) 과 죽음불안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Vol.26, No.5, pp.584-591, 2014. https://doi.org/10.7475/kjan.2014.26.5.584
  17. 서한나, 아시아권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 수준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 민족적 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8. 조영아,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2권, 제1호, pp.1-19, 2011.
  19. 김혜미, 원서진, 최선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차별경험과 심리적 적응: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1호, pp.117-149, 2011.
  20. 박지선, 류한수, "다문화가족 남편의 아내에 대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학대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722-73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722
  21.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22. 박지선, 정영조, 류한수,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결혼생활 커미트먼트와 배우자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민족연구, 제61권, pp.168-189, 2015.
  23. E. A. Pascoe and L. Smart Richma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135, No.4, pp.531, 2009. https://doi.org/10.1037/a0016059
  24. 리사 F. 버크먼, 이치로 가와치 저 신영전, 김명희, 전희진, 김석현 역, 사회역학,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3.
  25. D. R. Williams, Y. Yu, J. S. Jackson, and N. B. Anderson, "Racial differenc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o-economic status, stress and discriminatio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 No.3, pp.335-351, 1997. https://doi.org/10.1177/135910539700200305
  26. 류준범, 분노의 다차원적 특성과 신체 건강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7. 강혜자, 박남숙, "사회비교, 자의식, 자아존중감, 주관안녕, 및 신체증상 간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Vol.34, No.1, pp.237-256, 2010.
  28. R. C. Kessler, G. Andrews, L. J. Colpe, E. Hiripi, D. K. Mroczek, S. L. Normand, and A. M. Zaslavsky,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Vol.32, No.6, pp.959-976, 2002. https://doi.org/10.1017/S0033291702006074
  29. 김용석, "한국어판 정신건강 선별도구 (K10, K6)의 타당화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pp.65-88, 2011.
  30. 노지혜,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1.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32. 山本嘉日郞, 小野寺孝義, Amosによる共分散構 造分析と解析事例, 京都: ナカニシヤ出版, 1999.
  33. M. K. Pee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habilitation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9, No.3, pp.301-309, 2000. https://doi.org/10.1097/00002060-200005000-00014
  34. S. S. Kim and D. R. Williams,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PloS one, Vol.7, No.1, e30501, 201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30501
  35. 권복순,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2, pp.5-32, 2009.
  36. 한국염, 다문화가족에 대한 친밀성 재구성을 위한 과제, 국회도서관보, 2007.
  37. A. A. Agudelo-Suarez, E. Ronda-Perez, D. Gil-Gonzalez, C. Vives-Cases, A. M. Garcia, C. Ruiz-Frutos, and F. G. Benavides, "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the health of immigrant workers in Spain," BMC public Health, Vol.11, No.1, p.652, 2011. https://doi.org/10.1186/1471-2458-11-652

Cited by

  1.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Discrimination, Subjective Health, and Personal Satisfaction of Immigrants vol.28, pp.4, 201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4.375
  2.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and it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 literature review vol.64, pp.1, 2018, https://doi.org/10.1177/0020764017744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