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Study on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for Suggesting Adaptation Program

적응프로그램 제언을 위한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관련 문헌분석

  • Received : 2016.07.07
  • Accepted : 2016.08.16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rticles and theses on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from domestic researches conducted during the past 11 years, to identify overall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college freshman's adjustment. The final 24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ree databases, RISS, KISS, and NAL (National assembly library) using specific inclusion criteria. Twenty were correlation studies and four were experimental studies. In 2009, the first study on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was published. Since then several mo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ate. This means that people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Twenty three studies that are reviewed used Baker and Siryk's college adjustment tool. From reviewed correlation studies, mean score of college students' adjustment was 3.25. The related variables with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revealed 20 items, especially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tress showed important related concep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adjustment of freshmen were outgoing character, living with family, aged students, satisfied with the area of study, and satisfied with school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olleges when planning for the freshmen orientation program should focus on improving self-efficacy of students, stress management, mentor program, and freshmen adjustment program for each department of the school and college.

본 문헌분석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 11년간 발표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 관련 문헌을 분석한 연구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학교적응 방안과 대학 교육 프로그램 개선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문헌분석은 3개의 데이터베이스 국회도서관 자료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를 통하여 문헌 탐색기준에 의해 선택하였으며, 최종 24개의 연구가 선택되었다. 이 중 20편은 상관관계연구, 4편은 실험연구이었다.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연구는 2009년부터 매년 1편씩 연구되다가 2012년부터 매년 5-6편으로 증가되어 대학 신입생의 적응에 대해 관심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이 24개 문헌들에서 이용한 학교적응 조사도구는 Baker와 Siryk(1984)가 만든 도구를 23편에서 이용되었다. 분석된 상관관계 연구에서의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평균은 3.25점으로 나타났다.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변수는 20개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자기존중감,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중 외향적 성격, 가족과 사는 경우, 나이가 많은 경우, 학과에 만족한 경우, 학교생활에 만족한 경우 학교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자기효능감 증진방안, 스트레스 관리, 대학신입생을 위한 멘토-멘티 프로그램,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 등을 학교와 학과에 맞게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지숙,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27-137, 2000.
  2. 최정윤, 이병식,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pp.199-222, 2009.
  3. R. Dyson and K. Renk, "Freshm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Depressive symptoms, stress, and copi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10, pp.1231-1244, 2006. https://doi.org/10.1002/jclp.20295
  4. L. T. David and G. L. Nita, "Adjustment to first year of college-relations among self-perception, trust, mastery and alienation.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27, pp.139-143, 2014. https://doi.org/10.1016/j.sbspro.2014.03.228
  5. 박미정, 함영림, 오두남,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 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27-3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327
  6. 전은화, "대학 신입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반 연구: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03-122, 2013.
  7. R. C, Feldt, M. Graham, and D. Dew,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Construct validity of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44, No.2, pp.92-104, 2011. https://doi.org/10.1177/0748175611400291
  8. 박진아, 이은경,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67-276, 2011.
  9. 홍계옥, 강혜원, "대학생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제13권, pp.133-144, 2010.
  10. 금명자, 남향자, "전국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기대 및 정신건강," 인간이해, 제31권, 제1호, pp.105-127, 2010.
  11. M. R. Clark, "Negotiating the freshman year: Challenges and strategies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6, No.3, pp.296-316, 2005. https://doi.org/10.1353/csd.2005.0022
  12. A. I. Clinciu and A. M. Cazan, "Academic Adjustment Questionnaire for the university student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27, pp.655-660, 2014. https://doi.org/10.1016/j.sbspro.2014.03.330
  13. 윤향숙, 황윤미, 김덕범, 장성화,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제10권, 제2호, pp.1-25, 2011.
  14. 김진희, 도재우,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플래너활용 사례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18권, 제1호, pp.111-131, 2012.
  15. 이경아, 신혜린, 유나현, 이기학, "학교상담: 간편대학생활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제9권, 제2호, pp.739-754, 2008.
  16. 권해수, "전공기반의 신입생세미나 운영 효과 검증-상담심리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013.
  17. 김수미, 정경은,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제4호, pp.201-210, 2013.
  18. 김영희,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간호전문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8948-8956,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948
  19. 서혜정, 임진형, 원계선, "유아교육과 신입생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31권, 제1호, pp.177-205, 2012.
  20. 정효주, 정향인,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pp.188-196, 2012.
  21. 차선정,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 양식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연구, 제2권, 제1호, pp.60-68, 2013.
  22. 강희영, 최은영, "간호대학 신입생의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89-297, 201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3.289
  23. 박현태,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576-1583, 2014.
  24. 정영숙, 김수빈, "대학신입생의 자기존중감, 자기자비와 대처전략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제27권 제4호, pp.117-138, 2014.
  25. Cochrance,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Retrieved 2016.06.20.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26. 이경현, 인지정서행동치료(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7. R. W. Baker and B. Siryk, "Measuring academic motivation of matriculating college freshmen,"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Vol.25, No.5, pp.459-464, 1984.
  28. 박복남, 박종선, 이정란,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4권, 제2호, pp.153-164, 2009.
  29. 양경희, 이정란, 박복남,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5-13,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05
  30. 김경욱, 조윤희,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97-218, 2011.
  31. 최효진, 이은주,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61-268, 2012. https://doi.org/10.7739/jkafn.2012.19.2.261
  32. 한수정, 문화예술 기숙프로그램의 교수행동이 대학신입생의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논문, 2013.
  33. 조인영,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 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937-2945, 2014.
  34. 강현임, 이정란, "일 간호대학 신입생의 MBTI 성격유형과 스트레스, 극복력, 적응,"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12, 2012.
  35. 김근면, 차선경, "간호대학 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22-332, 2013.
  36. 김은아, 박경임, "간호대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34-243,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234
  37. 배선임, 교류분석이론에 따른 자아상태 및 인생태도가 대학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2011.
  38. 김진영, "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쉽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연구," 직업교육연구, 제32권, 제6호, pp.43-56, 2013.
  39. 최혜정, 이명선,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연관성," 대한보건연구, 제39권, 제2호, pp.129-138, 2013.
  40. 심태은, 이송이, "부모애착 및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19권, 제3호, pp.471-487, 2014.
  41. 조화진, 서영석,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385-411, 2010.
  42. 공윤정, 곽소영, "2011학년도 경인교육대학교 신입생의 대학적응 실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제32권, 제1호, pp.53-76, 2012.
  43. 홍성연, "대학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교육종합연구, 제14권, pp.1271-1295, 2016.
  44. D. W. Wei, M. Russell, and R. A. Zakalik, "Adult attachment, social self-efficacy, self-disclosure, loneliness, and subsequent depression for freshman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No.4, p.602, 2005. https://doi.org/10.1037/0022-0167.52.4.602
  45. D. L. Coffman and T. D. Gilligan, "Social support, stress, and self-efficacy: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Vol.4, No.1, pp.53-66, 2002. https://doi.org/10.2190/BV7X-F87X-2MXL-2B3L
  46.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2호, pp.215-237, 2003.
  47. R. Dyson and K. Renk, "Freshm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Depressive symptoms, stress, and cop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10, pp.1231-1244, 2006. https://doi.org/10.1002/jclp.20295
  48. S. Fei, "Freshman's Adaptation Through Educational Intervention," Journal of Northeastern University (Social Science), Vol.2, No.015, 2007.
  49. C. Jun, "Relation between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Wuh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Vol.4, No.016, 2004.
  50. L. Zheng, "Teaching Adaptation, Teaching Approach Preference and Learning Interest: Based on a Survey on Freshmen," Renmin University of China Education Journal, Vol.1, No.00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