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ing Direction of the Barrier-Fre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of School Facilities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기준 평가지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우수시설학교를 대상으로 -

  • 맹준호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김성중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이승민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Received : 2016.06.28
  • Accepted : 2016.08.26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is research as an obstacle -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mandatory school facilities based on studies of BF accreditation indicators of school facilities, BF Survey and Analysis amenities installation status of school facilities based on the certified assessment indicators and school facilities improvement of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BF was to explore. Excellent facilities via one of the surveyed schools selected as school facilities, the comparison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ndicators within the facility, the intermediate facility entry access, handicapped parking areas, main entrance item BF was to meet the minimum standards of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internal facilities BF accreditation indicators have applied the same criteria to all buildings less than that is not reflected in layout and space planning, environmental planning of school facilities was analyzed that showed the limits conflict with installation.

본 연구는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이 의무화됨에 따라 학교시설에 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에 대한 기초연구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학교시설의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여 학교시설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의 개선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수시설학교로 선정된 조사대상학교의 편의시설 중 매개시설, 내부시설의 현황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배점획득항목에 따라 학교시설에 기 반영되어진 항목과 중 하위 배점 기준으로 최소로 반영되어지는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기 반영되는 항목은 배점기준의 변별력이 다소 미흡하여 배점 기준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한 학교시설을 위해 중 하위 배점을 획득하는 항목에 대해 기준개선 및 배점 조정으로 질적 향상을 이끌어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서현자, 무장애 실현을 위한 학교시설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 이경성,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공공건축물 분석을 통한 B.F 인증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 이규일 외1명,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사례를 통한 매개시설 평가항목 분석,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vol.18 no.2, 2012
  4. 이삼이, 장애물 없는 학교시설환경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 박신원 외4명,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성과분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6. 장애인편의시설 매뉴얼-교육연구시설편(학교)
  7. 조현주 외1명,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제 분석을 통한 유니버셜 환경디자인 평가 속성의 체계화,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53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