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ing of the Smart Home for Wheelchair Users - Focus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t Home -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홈 구축 및 사용성평가 - 주거 환경 내 일상생활활동을 중심으로 -

  • 임명준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
  • 표경선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재활보조기술연구과) ;
  • 이금주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
  • 박지영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
  • 최현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
  • 권효순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재활보조기술연구과)
  • Received : 2015.03.02
  • Accepted : 2016.04.12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Wheelchair users found difficulties in living independently in their houses due to the lack of accessibility. The state of the art smart home technology may enable wheelchair users to live independently. In this study, we built a smart home, and tested its usability with three community dwelling wheelchair users. Three evaluation methods such as scenario-based test, K-IADL(Korea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test,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All three users responded positively for using the smart home. Through this study, we also found several necessary amendments in building smart homes for wheelchair users.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주거 환경에서 접근성이 부족하여 일상생활활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홈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있어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스마트홈을 구축하였고, 구축된 스마트홈에 대한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평가는 시나리오기반사용경험평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평가, 그리고 심층설문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휠체어 사용 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홈 사용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기존 거주지에 비해 구축된 스마트홈의 사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층설문 결과, 스마트홈 내부의 부분적인 개선 요구사항 또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홈 구축 시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주거환경 구축에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이연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 134-142. 2014. 14
  2. 한태륜, 방문석, 강윤규, 고영진, 고현윤, 권범선, & 김돈규.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8.
  3. Aplin, T., de Jonge, D. and Gustafsson, L.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home that impact on home modification decision making.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60(2). pp. 101-109. 2013. https://doi.org/10.1111/1440-1630.12022
  4. 국민임대주택 업무편람. http://www.molit.go.kr/. 국토교통부. March 04. 2016.
  5. Chan, M., Campo, E., Esteve, D. and Fourniols, J.-Y. Smart homes - current features and future perspectives. Maturitas. 64(2). pp. 90-97. 2009.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09.07.014
  6. Copolillo, A. and Ivanoff, S. D. Assistive technology and home modification for people with neurovisual deficits. Neurorehabilitation. 28(3). pp. 211-220. 2011.
  7. Demiris, G. and Hensel, B. K. Technologies for an aging society: a systematic review of "smart home" applications. Yearbook Of Medical Informatics. pp. 33-40. 2008.
  8. Demiris, G., Oliver, D. P., Dickey, G., Skubic, M. and Rantz, M. Findings from a participatory evaluation of a smart home application for older adults. Technology and Health Care. 16(2). pp. 111-118. 2008.
  9. Jokela, T., Iivari, N., Matero, J. and Karukka, M. The standard of user-centered design and the standard definition of usability: analyzing ISO 13407 against ISO 9241-11. in Proceedings of the Latin American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pp. 53-60. ACM. 2003.
  10. Arthanat, S. et al. Development of the usability scale for assistive technology-wheeled mobility: A preliminary psychometric evaluation. Technology and Disability. 21(3). pp. 79-95. 2009.
  11. Bloswick, D. et al. Maneuverability and usability analysis of three knee-extension propelled wheelchair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5(4-5). pp. 197-206. 2003. https://doi.org/10.1080/0963828021000030882
  12. Fange, A. and Iwarsson, S. Accessibility and usability in housing: Construct validity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5(23). pp. 1316-1325. 2003. https://doi.org/10.1080/09638280310001616286
  13. Ma, M. Y., Wu. F. G. and Chang, R. H. A new design approach of user-centered design on a personal assistive bathing device for hemiplegia.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9(14). pp. 1077-1089. 2007. https://doi.org/10.1080/09638280600949712
  14. 손량희, 임명준, 임신영, 김정현, 김종배. 중증지체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홈 구축 및 사용성 평가.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 HCI 학회. pp. 767-769. 2012.
  15. 김정현, 임신영, 김종배, 이희숙, 임명준. 지체 장애인을 위한 QoLT 테스트베드 설계 및 적용.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 HCI 학회. pp. 931-933. 2013.
  16. 이기호, 이인성, 전석원, 양승화, 최지웅, 김진우, 한명희.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제품을 평가하는 방법.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 HCI 학회. pp. 851-856. 2008.
  17. 박경수, 임치환. 사용성 평가 방법들의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 학술대회논문집 제2권, pp. 153-159. 1996.
  18.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특징. 대한노인병학회지. 6(1). pp. 1-10.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