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udent Activity-centere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Model: Focused on Earth Science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6.27
  • Accepted : 2016.07.29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student activity-centered science textbook model in high school and explore the field application possibility. For development of student activity-centered science textbook model,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about foreign science textbook and science curriculum and we developed the textbook development framework based on 7E learning model. Based on framework, we developed student activity-centered science textbook model about achievement standards 'systems and interaction - earth systems'. A development model is the total amount of five class periods and the various objectives were reflected in pursuit systems thinking & STEAM. 1~4 class periods, learning content composed of student activity-centered exploration activities that organically associated to make final products. Fifth class period was presented to explore job and career. A development model was applied to high school class for one time study. Applying the result of field study, students were responded positively in interested about science class, textbook contents, made final product. Through this study, if science textbook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revised student activity-centered science textbook model, students were lead to positive change in science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한 모델을 현장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 및 국외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7E 순환 학습 모델에 기반한 교과서 개발 Framework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Framework를 토대로 '시스템과 상호작용 - 지구시스템'의 성취 기준에 대한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은 총 5차시 분량이며 시스템 사고, 융합인재교육에서 추구하는 여러 가지 목표를 반영하였다. 1~4차시까지는 최종산출물을 도출하기 위한 유기적은 연결되어 학생활동 중심의 탐구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5차시는 직업과 진로에 대하여 탐색할 수 있는 단원으로 제시하였다. 개발한 모형을 학교 현장에 투입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수업에 대한 흥미, 교과서 내용, 산출물의 도출 등에서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발한 모델을 학교 교육과정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교과서가 만들어진다면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치순, 조한수(2011). 한국과 핀란드 초등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비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34-141.
  2. 강인애(2003).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3. 교육부(1998). 제7차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4.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5. 구슬기, 박일우(2012). 한국과 미국의 초등과학 교과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초등과학교육학회지, 31(4), 463-480.
  6. 김미영, 김경희(2010). 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의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98-518.
  7. 김지혜, 민병미, 이유미, 손연아, 김동렬, 김태훈 (2013).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2), 619-644.
  8. 김효남, 박도영(2009).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과학교육연구지, 33(2), 258-270.
  9. 박윤배, 권성기, 윤은정(2015). 수업 변화 유도를 위한 과학 교과서 개선 연구(물리). 한국과학창의 재단 연구보고.
  10. 배현경, 정공수(2008).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탐구 활동의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7), 626-639.
  11. 백성혜, 원정애, 최정인, 최정임, 유정웅, 박철용, 송그론(2014). 수업 변화 유도를 위한 과학교과서개선 연구(화학).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12. 서예원(2007).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3학년 물질 영역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 과정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6(5), 509-524.
  13. 이봉우, 박종석, 손정우, 심규철, 이기영, 이세연 (2016). 학생주도 실험 및 과제연구를 위한 과학탐구실험 교과서 모형 연구. 2016년 한국과학교육학회 국제동계학술발표대회, 159-160.
  14. 이효녕(201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798-808.
  15. 이효녕, 권혁수, 박경숙, 이현동(2013).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995-1006.
  16. 정진수, 김동원, 임재근, 이윤정, 김은애, 임성만 (2012). 고교 융합형 '과학'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189-196.
  17. 채동현, 임성만, 이효녕, 한제준, 이상균, 김은정 (2016).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5-26.
  18. 최도성(2013).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4(2), 151-166.
  19. 최변각, 이해신, 추병수, 문병권, 소영무, 이지은, 이정은, 조명아(2013). 고등학교 지구과학. 서울: (주)천재교육.
  20. 한유화, 전은선, 백성혜(2014). 중학교 과학교과서, 교사의 인식 및 실험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과학적 탐구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49-357.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4.0349
  21. 竹内敬人, 山極隆, 森一夫 (2005). 未来へひろがる Science 第2分野(下). 大阪市: 啓林館.
  22. Benbow, A., Carpenter, M., Hoover, M., Smith, M. J., & Southard, J. B. (2011). Florida edition of EarthComm: Project-based space and earth system science. New York, NY: It's About Time(R).
  23.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4.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