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Use of Social Curation Service Using the FGI Analysis

FGI분석을 통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오미자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
  • 김미량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6.07.26
  • Accepted : 2016.09.03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use of social curation service, which is the third-generation social networking service called the "matters of interest type." To this end, the study selected nine college students, then have them use social curation service for about 50 days,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by perform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curation service was found to have strong points, including collection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lassification and summary through creation of my own category, possibility of constant updating of matters of interest, and reduction of relative deprivation compared to exis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To solve these issues, constant promotion was needed. From the aspect of educational use, it was found that social curation service had possibilities for individuals and teams: For individuals, the service enabled voluntary search and use of information, configuration of my own data, and facili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teams, it enabl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ctivities through sharing.

본 연구는 관심사형이라고 불리우는 3세대 SNS인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해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여 약 50일간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를 사용하게 한 후 Focus Group Interview(이하 FGI)를 실시하여 그 답변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NVivo 1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다양한 정보 수집, 나만의 카테고리 생성을 통한 분류 및 정리, 관심사에 대한 지속적 업데이트 가능, 기존 SNS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 감소가 장점으로 도출되었다. 보완 및 개선 사항으로는 한국어 콘텐츠 부족, 서비스의 단조로움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속적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는 개인, 팀별로 구분하여 개인은 자발적 정보 검색 및 활용, 나만의 자료 구성 가능,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이 가능하며, 팀별로는 공유를 통한 토론 활동, 발표 활동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Data Industry White Paper, 2015.
  2. 대학내일 20대연구소, 20대를 읽어야 트렌드가 보인다, HadA, 2012.
  3. 조병호, 디지털 큐레이션 서비스 동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3.
  4. 최홍규, 콘텐츠 큐레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5. http://news.mk.co.kr/newsRead.php?no=405846 &year=2015
  6. G. Cundill, "Monitoring social learning processes in adaptive comanagement: Three case studies from south africa," Ecology and Society, Vol.15, No.3, p.28, 2010. https://doi.org/10.5751/ES-03349-150228
  7. 김월선, 소셜 러닝을 활용한 웹프로그래밍 수업 운영 방법의 설계 및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2.
  8. C. M. Cheung, P. Chiu, and M. K. Lee, "Online social networks: Why do students use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4, pp.1337-1343, 2011. https://doi.org/10.1016/j.chb.2010.07.028
  9. 스티브 로젠바움, 큐레이션, 명진출판, 2011.
  10. 사사키 도시나오, 큐레이션의 시대, 민음사, 2012.
  11. 지순정,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12. B. Kanter and K. D. Paine, Measuring the networked nonprofit: Using data to change the world, John Wiley & Sons, 2012.
  13. 오미자, 김미량, 맞춤형 학습을 위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통합적 인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4. http://contentmarketinginstitute.com/2012/07/balanced-formula-for-effective-content/
  15. http://myndset.com/2012/01/25/what-is-socialcuration- 3-key-success-factors-for-excellent/
  16. 이동균, 권준희, "AskMyFriend : 소셜 컨텐츠 채널을 이용한 소셜 정보공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 pp.32-37,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8.032
  17. J. Cho, "Credibility enhancement of social curation using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ments in Computing Technology, Vol.5, No.13, pp.409-414, 2013.
  18. 진보래, 노현주, "페이스북 친구들의 반응과 관계적 유용성-자기노출 성향의 영향력과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449-45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449
  19. V. Sacco, Digital activism on social media platforms: Story breaks the newswires, Media Trend 2012 Conference, 2012.
  20.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321100945.
  2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세종시 스마트교육 모델 연구학교 교원연수 프로그램(II), 교육자료 TM 2012-36, 2012.
  22. file:///C:/Users/skyomj/Downloads/educlipper.pdf
  23. 오미자, 김미량,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이해와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16.
  24. G. Robin, "Content curation for education and learning: Live workshop + Q&A - e/merge 2012 flexibility enables learning. E/merge 2012 Conference," 2012.
  25. A. Antonio, N. Martin, and A. Stagg, "Engaging higher education students via digital curation," Australasian Society for Computers in Learning in Tertiary Education Conference, pp.1-5, 2012.
  26. D. L. Morgan,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2th ed.), London: Sage, 1997.
  27. C. A. Richardson and F. Rabiee, "A question of access: An explor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of young males aged 15 to 19 living in corby and their use of health care services," Health Education Journal, Vol.60, No.1, pp.3-16, 2001. https://doi.org/10.1177/001789690106000102
  28. M. V. Seggern and N. J. Young, "The focus group method in libraries: issues relating to process and data analysis," Reference Services Review, Vol.31, No.3, pp.272-284, 2003. https://doi.org/10.1108/00907320310486872
  29. http://www.quirks.com/articles/article.asp?arg _ArticleId=1125. 20 July 2011.
  30. 김성재,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현문사, 2000.
  31. R. Krueger and M. Casey, Focus Groups, Sage Publications, London, 2000.
  32. 박종원, 질적 자료 분석: Nvivo 10응용, 부경대학교 출판부, 2012
  33. 강인애, 정은실,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활동 만족도: 질적 자료 분석에 의한 사례연구," 교육방법연구논문지, 제22권, 제3호, pp.67-95, 2010.
  34. 조진숙, 오미자, 김미량, "교육정보공유체제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요구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97-11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