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16.08.10
  • Accepted : 2016.09.2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study tried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69 specialty subject teachers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job performance competency were divided into 5 categories(curriculum guidance, school life guidance, class management, extraordinary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duties) and 34 sub-categories. Second, higher importance values were curriculum guidance, extraordinary activities and school life guidance. Higher educational needs values were curriculum guidance, extraordinary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duties in categories. Third, higher importance values wer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NCS learning modules, organization and manage of NC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guide of the new laws and employment, student records manage, research activities of NCS, hands-on-background training, NCS projects in sub-categories. Fourth, the results show that the NCS experienced teachers more highly evaluated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han the NCS inexperienced teachers did.

이 연구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 지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10개교를 선정하여 전문교과 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으로 교과 지도 영역, 생활 지도 영역, 학급 경영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등 5개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수행능력 영역별 중요도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생활 지도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요구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NCS 학습모듈의 교수 학습 자료 제작 및 교재 재구성, NCS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노동법과 신자격법 등의 법규 지도 및 취업 지도, 생활 기록부 관리, NCS 관련 교사 연구 활동, NCS 관련 현장 실무 능력 향상 연수, NCS 연계 사업 업무 등의 중요도나 교육적 요구가 높았다. 넷째, NCS 관련 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라 교과 지도 영역과 생활 지도 영역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NCS 관련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하여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은주(2009). 중등 과학 초임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 김선희, 권영심, 신지숙(2012).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9(2), 57-77.
  3. 김용익, 이무근(1997). 공업고등학교 공업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2(2), 1-12.
  4. 김점동(2006). 고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진수, 김선태, 옥준필(2015). 2015 직업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특성화고의 NCS교육 및 역량교육. 학습자중심교과교육 학술대회, 15(1), 55-64.
  6. 박만구, 안희진, 남미선(2005). 초등학교 초임 교사들이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2), 291-314.
  7. 송소현(2016). 발달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담당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타당화 연구. 지적장애연구, 18(1), 15-34.
  8. 안광식(2006a). 공업계 고등학교 공업교사 직무수행능력 측정도구개발 및 수준 개선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37-58.
  9. 안광식(2006b). 공업계 고등학교 공업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 및 수준. 직업교육연구, 25(3), 21-38.
  10. 안광식(2007). 공업계 고등학교 공업교사의 직무수행능력 및 교육 요구. 실과교육연구, 13(1), 99-117.
  11. 이명훈, 나승일(2006a). 기술교사의 직무 수행에 대한 교육 요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6(2), 95-114.
  12. 이명훈, 나승일(2006b). 기술과 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111-136.
  13. 이병욱, 안재영, 강철민(2015).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11-129.
  14. 이상철, 원효헌(2015). 수해운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7(4), 1202-1210.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4.1202
  15. 이영민, 임유화(2016).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22-43.
  16. 장명희, 변숙영(2012). 마이스터고 산학겸임교사의 직무 수행 및 직무 만족에 대한 인식. 직업교육연구, 31(3), 251-275.
  17. 장명희 외(2015a).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시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장명희 외(2015b).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장명희 외(2015c).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장명희 외(2015d). NCS 기반 학습모듈 체제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조한진, 김민웅, 김태훈(2015).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교과 초임 교사의 직무 수행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직업교육연구, 34(1), 73-98.
  22. 전용조(2006). 기술교사의 교과교육 관련 직무수행능력과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6(1), 121-155.
  23. 한유경 외(2008). 교사 직무 수행 실태 분석. 열린교육연구, 16(3), 183-206.
  24. 홍아정, 조윤성, 박치경(2015). 대학생 NCS 직업기초능력 특성 및 유형 탐색. 교육학연구, 53(2), 389-417.
  25. 황규호(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의 방향과 주요 사항.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주요사항 공청회 자료, 한국교원대학교.
  26.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