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ccomplishment and Evaluation of the Policy of Scheduling Outsourcing Broadcasting Programs

외주제작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책의 성과와 평가

  • 주정민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한진만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유종원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7.10.17
  • Accepted : 2017.11.10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ccomplishment of the outsourcing production policy which forces broadcasting companies to schedule and broadcast more than a certain proportion of outsourcing produc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exa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policy increased the diversity of broadcasting programs, it is positive that a rise in the number of production companie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outsourcing production policy increased the diversity of broadcasting program makers, but programs supplied were limited to certain genres, failing to be diverse.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exa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competitiveness of broadcasting and video contents increased, production conditions had not improved du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ownership of the right of production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and outsourcing production companies. In addition, though there was the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export of broadcasting programs, the exports were limited to certain genres.

본고는 방송사가 일정비율 이상의 외주제작물을 편성하여 방송하도록 규제하고 있는 외주제작 정책의 성과를 분석했다. 외주제작 정책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제고되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외주제작 정책시행으로 제작사가 증가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원이 다양해졌으나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특정 장르에 집중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방송영상 콘텐츠의 경쟁력이 증가했는지를 살펴본 결과, 방송 프로그램의 해외 시장 진출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드라마 중심의 한정된 장르에 머물렀고, 지상파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에 제작비와 저작권 논란 등으로 제작여건이 개선되지 못했다. 따라서 방송사에 대한 외주 편성 비율을 최저로 설정하여 방송사와 외주제작사의 제작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고, 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의 갈등의 원인인 제작비와 저작권의 문제를 표준제작비와 같은 기준을 만들어 활용함으로써 공정한 거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성철, "외주제작 정책 20년의 성과 평가: 프로그램 제작시장의 변동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2권, 제3호, pp.154-206, 2011.
  2. 윤석민, 장하용, "외주정책을 둘러싼 논쟁의 특성과 그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2호, pp.242-274, 2002.
  3. 최세경, "방송외주제도 20년의 평가와 개선방안," 인문콘텐츠, 제17권, pp.67-97, 2010.
  4. 권호영, "외주정책의 새로운 지평탐색," 코가포커스, 2013-04호(통권 70호), 2013.
  5. 박소라, "지상파방송사의 외주제작 프로그램의 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2호, pp.341-379, 2002.
  6. 김관규, 정길용, "지상파방송사 외주정책 성과 평가: 독립제작사 육성과 프로그램편성 평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5-37, 2009.
  7. 김재영, "국내 외주제작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반성," 방송문화연구, 제15권, 제2호, pp.161-184, 2003.
  8.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방송영상산업백서,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pp.163-203, 2017.
  9. 박소라, 양현모, "외주정책이 제작시장과 외주제작 공급 및 프로그램 다양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1호, pp.50-95, 2006.
  10. 김대호, "외주정책과 콘텐츠산업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제20권, 제2호, pp.7-30, 2008.
  11. 김재영, 이재호, "외주정책과 방송산업 육성: 독립제작사 활성화와 시청자 복지 증진을 중심으로," 외주정책 10년의 평가와 전망 세미나 발표논문, 한국언론학회, 2002.
  12. 송경희, 외주제작 의무편성 정책의 효과 및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1999.
  13. 권장원, "방송정책과 방송사 조직 내부 관행간의 상호작용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8권, pp.245-275, 2007.
  14. 김경환, 방송환경 변화와 외주정책의 재정립방안, 문화연대 주최 '지상파 방송 3사 외주제작 프로그램 편성실태보고 및 개선방안을 위한 토론회' 발표문, 2007.
  15. 김동준, "외주전문채널 설립 (반대): 새로운 독점 구조 탄생은 자명," 신문과 방송, 제409호, pp.147-151, 2005.
  16. 김인경, 조미애, "국내 외주제작 현황에 따른 성화 방안 모색," 동서언론, 제11권, pp.273-29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