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Major Students' Perceptions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the Scratch Programming Language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비전공자의 인식 연구

  • 오미자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 Received : 2016.10.13
  • Accepted : 2017.01.26
  • Published : 2017.01.30

Abstract

As an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universities have opened software educational programs as required basic cours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non-major students' perceptions of programming before and after they had programing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performed programming education for 15 weeks using the Scratch programming language, and then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analyzed responses from 214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74 % of the non-major students had no previous experience with programming, 87% felt that programming was difficult, and 69.7% answered that they did not need programming education. To change these negative perceptions of programming,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professor should clearly convey the needs, purposes, and content of programming education to students prior to class. Second, programming should be designated as an optional course rather than required on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 integrated with majors, or educational programs or content connected to getting a job or starting a business.

컴퓨팅 사고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대학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 강좌로 오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학생들이 느끼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실제 수업 후 느끼는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주 동안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214명의 답변을 받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전공자 학생들의 74%가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전의 경험이 없었으며, 87%가 프로그래밍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69.7%가 프로그래밍 교육이 필요없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수는 수업 전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및 내용을 분명히 전달해야한다. 둘째, 필수보다는 선택교과목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셋째, 전공과의 통합 내용이나, 취 창업에 연계한 교육과정 및 내용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제영(2016). 지능정보사회 대비 미래 교육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교육학회.
  2. 이상우(2008). 아이를 바꾸는 학습 코칭론. Family&Relationships.
  3. 나정은(2015). 컴퓨팅적사고(Computational Thinking)교과과정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61-166.
  4.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http://ncic.re.kr
  5. 한국인터넷진흥원(2014). 글로벌 소프트웨어 교육 현황 및 교육 도구 동향.
  6. 남상현 외(2015). 초,중등정보 S/W교육: 미니컴퓨터 기반 과학실험에서 SW교육.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1), 51-55.
  7. 교육부 사이트, www.moe.go.kr/
  8. 미래창조과학부 사이트, www.msip.go.kr/
  9. 이태욱, 유인환, 이철현(2001). ICT교육론. 형설출판사.
  10. 박지영(2016). 학습자특성에 따른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1. 김종훈, 김태훈, 문현국(2011). 생각을 키우는 LOGO프로그래밍. 서울:학지사.
  12. 이데일리(2015. 10. 8). 컴퓨팅적 사고가 미래 인재들의 핵심 경쟁력. Retrieved from http://www.edaily.co.kr/news/realtime/realtime_NewsRead.asp?newsid=02702726609530952.
  13. Barr V., & Stephenson C.,(2011). Bring Computation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Magazine ACM Inroads. 2(1), 48-54. https://doi.org/10.1145/1929887.1929905
  14. Chris D., Punya M., & Joke V(2013), "Adv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21stcentury learning," International Summit on ICT Education. 2013.
  15. 미래창조과학부(2015). 주요국 초중고 SW 교육 현황 및 시사점.
  16. J. M. Wing(2011). Computational Thinking. OurCS Workshop, Carnegie Mellon University. 4 March.
  17. 박민우(2014). 국내 프로그래밍 교육 실태와 소프트웨어 산업의 미래, 디지에코 보고서.
  18. 김수환(2009).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Online Available http://blog.daum.net/cl_education/15.
  19. 신수범, 구진희(2014).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택 기준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17(4), 13-21.
  20. 이영주(2010). Scratch 프로그래밍 교육이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 논문, 14(2), 267-268.
  21. Resnick, M., Maloney, J., Monroy-Hernandez, A., Rusk, N., Eastmond, E., Brennan, K., et al. (2009). Scratch: Programming for all. Communications of the ACM, 52, 60-67.
  22. 조성환, 송정범, 김성식, 이경화(2008), CPS에 기반한 Scratch EPL이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2(1), 77-88.
  23. 송정범, 조성환, 이태욱(2008). Scratch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동기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 12(4), 323-332.
  24. 노희진(2015). 스크래치를 활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5(1), 53-64.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053
  25. 오정철, 이지휜, 김정아, 김종훈 (2012). 스크래치를 활용한 STEAM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초등학교 6학년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학회 논문지, 15(3), 11-23.
  26. 안형진, 마대성(2013).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Scratch 교육과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317-327. https://doi.org/10.14352/jkaie.2013.17.3.317
  27. 장희선(2013). Netlogo 프로그래밍 활용학습이 학습동기와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분석.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8. 박효선(2016).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문제 해결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 인지된 성취도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9. 유지은(2014). 스마트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자기조절학습능력, 협력지향성이 초등학생의 인지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 대학원.
  30. 안성진(2015). 소프트웨어교육의 방향과 전망 Online Available http://edzine.kedi.re.kr/2015/autumn/article/policy_01.jsp.
  31. 피수영(2016). IT융합교육을 위한 비전공자 코딩교육의 발전방향. 디지털융합학회, 14(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