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e Press on the Theme and the Tone of the Press Related with New Media Policy

언론의 정치적 성향이 뉴미디어 정책 관련 사설의 의제 및 보도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홍주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 김경희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6.11.23
  • Accepted : 2016.12.29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how the media covered the new media agenda in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of new media and what the press's attitude about new media policy i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based on the political tendency.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network analysis. The agreement of political tendency between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is important variable to decide the attitude of the press about the new media policy. Under the conservative government, the conservative press supported the new media policy, however the opposite opposed it Even if opinion page can take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public opinion, the tone pf editorial page on the new media policy differs from its political tendency. It costs tremendous investment in introducing new media, journalists have judge.

한국사회에서 뉴미디어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언론이 뉴미디어 의제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분석하고, 언론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뉴미디어 정책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사설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언론과 정부의 정치적 성향 일치 여부가 정부의 뉴미디어 정책에 대한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정권이 집권한 시기에 보수 언론은 뉴미디어 정책을 지지한 반면, 진보 언론은 정부의 정책을 반대했다. 이용자 관점, 사회적 관점, 정책적 관점에서 뉴미디어 의제를 분석한 결과, 신문사들은 뉴미디어 도입에 대한 찬반 입장, 정책에 대한 설명 등 정책적 관점에서 주로 접근했다. 사설이 뉴미디어 정책 효과에 대한 언론사의 의견을 밝히고 여론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뉴미디어 정책에 사설대한 언론의 태도가 정부의 정치적 성향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뉴미디어의 도입과 확산에 정부의 투자와 인력 등 많은 자본이 투입되는 만큼 언론의 비판적인 시각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Y. Pick and Y. Carl, "Mobile Strategies in Political Communication,"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in Public Communication, 2010. Available at: www.american.edu/soc/communication/upload
  2. P. Shoemaker and S. Reese, Mediating the messages: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Longman publication, 2014.
  3. K. F. Kahn and P. J. Kenney, "The Slant of the News: How Editorial Endorsements Influence Campaign Coverage and Citizens' Views of Candidate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96, No.2, pp.381-394, 2002. https://doi.org/10.1017/S0003055402000230
  4. 박동숙, 조연하, 홍주현, "공적 업무 수행을 위한 사적 친분 고리 : 출입처에서의 취재원과 기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언론학보, 제45-특별호, pp.367-397, 2001.
  5. M. Gentzkow, N. Petek and J. M. Shapiro, "Do Newspapers Serve the State? Incumbent Party Influence on the US Press 1869-1928," 2014.
  6. 최현주, "한국 신문 보도의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54호, 제3권, pp.314-348, 2010.
  7. 김세은,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유사성과 차별성: 1면 구성과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 신문 저널리즘의 성찰 및 미래 전략 세미나 발표문, 2010.
  8. Washington Post, "Talk of the Town," Inside Journalism, Vol.1, Vol.4, pp.1-15, 2008.
  9. G. Tuchmann,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New York: The Free Press, 1978.
  10. 김경희, 노기영,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1호, pp.361-387, 2011.
  11. 김세은,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유사성과 차별성: 1면 구성과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 신문 저널리즘의 성찰 및 미래 전략 세미나 발표문, 2010.
  12. 최현주, "한국 신문 보도의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54호, 제3권, pp.314-348, 2010.
  13. 이원섭,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5호, pp.329-411, 2006.
  14. 이미나, 홍주현,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124-13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124
  15. 이병엽, 임종태, 유재수, "빅데이터를 활용한 소셜 미디어 분석 기법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216-21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