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about the Storytelling of Documentary on Virtual Reality Platform

가상현실 플랫폼에서의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이영수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11.23
  • Accepted : 2017.01.16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study how the narrative to allow the audience to emotionally immerse in documentary using virtual reality platform has shown. For this purpose, it defined the VR documentary as contents what make creative approach and rebuild reality using VR media platform, and analyzed it by comparison with narrative of existing documentary. First, the contents like succeeding journey documentary use mainly virtual realty as experience of accessibility. However the contents that have purpose to experience other people's reality show from self-narrative of first person documentary to interactive storytelling of web interactive documentary. The case of interactive VR documentary is taking a step forward from web documentary and shows easy way to reach internal purpose of documentary as making experience with virtual self. The VR documentary has a lot of possibility as virtual space experience to give accessibility and virtual self.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플랫폼을 사용하는 다큐멘터리에서 관객이 감정적으로 몰입하게 하기 위한 서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현실 다큐멘터리를 가상현실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현실에 창조적으로 접근, 재구성한 다큐멘터리로 정의하고, 그를 대상으로 삼아 기존의 다큐멘터리와 비교하여 어떻게 상호작용을 통해 서사가 매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우선 기행 다큐멘터리에서 가상현실 공간 경험으로 매개된 콘텐츠들의 경우, 이동권의 체험을 위주로 한 이동 체험 서사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타자의 현실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의 경우 가상현실로 매개되면서 1인칭 다큐멘터리의 자기서사부터 웹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서사구조까지 보여주고 있었다. 가상현실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경우, 가상자아를 가지고 타자의 현실을 체험하게 한다는 면에서 체험 모듈을 가진 웹 다큐멘터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볼 수 있다. 이동권을 주는 가상공간의 경험 및 동질감을 주는 가상자아의 경험을 줄 수 있다는 면에서 가상현실 다큐멘터리는 다큐멘터리의 내적 진실에 도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많은 가능성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news.mk.co.kr/newsRead.php?no=567332&year=2016
  2. 문원립, "VR과 영화," 씨네포럼, 제22호, pp.351-375, 2015.
  3. 정헌, 영화 역사와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Ellis, The documentary idea: A critical history of english-language documentary film and video,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1989.
  5. 박미선, 이재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Vol.53, pp.63-87, 2013.
  6. 이영수, "인터랙티브 기술을 활용한 탈북여성 다큐멘터리의 체험적 서사구조 연구-<디펙터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pp.211-238, 2015.
  7. 번트 슈미트, 박성연 역, 체험마케팅, 세종서적, 2002.
  8. 박미선, 이재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Vol.53, p.76, 2013.
  9. Jason Ohler,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lassroom New Media Pathways to Literacy, Learning, and Creativity, Corwin Press, 2013.
  10. 변찬복, "TV 기행다큐멘터리 샹그리라의 서사구조 분석- 관광객의 진정성 경험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7권, 제5호, pp.253-273, 2012.
  11. 이진경, "노마디즘과 이동의 문제," 진보평론, pp.269-285, 2007.
  12. http://www.vrn.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5
  13. 박진호, 김상헌, "가상현실(假想現實)을 이용한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 궁전벽화 디지털 복원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pp.77-82, 2016.
  14. 홍지아, "1인칭 다큐멘터리에 드러난 결혼이주 여성들의 자기재현과 정체성의 자리매김,"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8호, pp.141-187, 2011.
  15. 박명진, 이범준, "가상현실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그 체험의 양상: 몰입과정과 몰입 조건에 대한 수용자 연구," 언론정보연구, 제41호, pp.29-60, 2001.
  16. http://www.notesonblindness.co.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