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 Method to Use Activation and Awareness on Archives of University Student

대학생의 기록관 인식현황 및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이정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강주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김은실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김용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17.12.27
  • Accepted : 2017.01.17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The records and archives center provide a variet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an effort to get closer to the public.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archiv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sers of archives. Given th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i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otential users of archives as well as to suggest methods to activate the use of records and archiv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s such, this study surveyed 182 university students at J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items referred to 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 (MORI) (2003) as a part of the projects conducted by the Museums Libraries Archives Council (MLA) and Cho's study (2008). The questionnaire items consisted of four major areas: awareness of records and archives, experience with records and archives or reasons of not using them, requirements for the use of archives by potential users, and efficient method of promoting archiv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re indifferent to records.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it is highly important to manage records that are related to historical values and archives that are relevant to information values. In addition, they showed a positive intention to use the archives in the future; thus, it is highly likely for them to be converted into active users through appropriat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activating the use of the archives to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ed methods to activate the archives in terms of us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user segmentation.

기록관은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으로 견학, 전시, 교육 등 다양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록물과 기록관의 인식 부족 문제가 늘 제기되고 있다. 기록관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록관의 이용자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록관의 잠재 이용자 중 대학생을 한 범주로 설정하고 기록물 및 기록관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대학생 집단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집단은 대학도서관과 대학기록관 등의 연구에서 특정한 이용자로 연구대상이 되어 왔는데, 물리적으로도 대학 기록관과 가장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향후 기록관의 적극적 이용자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집단의 기록물 및 기록관의 인식 특징을 도출하여 기록관의 이용 활성화 방안 개발에 따른 특징을 반영한 고려사항 및 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전북지역 J 대학교 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2003년도에 영국 MLA(Museums Libraries Archives Council)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일부로 MORI(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2003)에 의해 진행된 설문조사 보고서와 조윤희(2008)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 문항을 참고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기록물 및 기록관에 대한 인식, 기록물 및 기록관 이용경험과 비이용 요인, 기록관 이용 요구사항, 기록관의 효율적인 홍보 방법 등 크게 4분야로 구성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생 집단은 대부분 기록물에 대하여 무관심하며, 기록관의 인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록물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록물은 역사적 가치에, 기록관은 정보적 가치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또한, 향후 기록관의 이용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의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 서비스를 통하여 적극적인 이용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집단의 기록관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알아보았고, 이용자교육 측면, 프로그램개발 측면, 이용자 세분화 측면에서 기록관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연, 김태영, 최정원, 오효정. 2016. 국내외 국립기록관의 트위터 운용 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3(3), 263-285.
  2. 강혜영. 1999. 교수들의 도서관 이용과 서지교육 인식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59-86.
  3. 국가기록원. 2013. 2013 국가기록백서. 대전: 국가기록원.
  4. 국가기록원. 2015. 2015 국가기록백서. 대전: 국가기록원.
  5. 김건, 김수정, 윤은하, 한희정. 2013. 국내 기록정보서비스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99-229.
  6. 김명희. 2010. 대학도서관 홍보프로그램이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언론홍보학과 석사학위논문.
  7. 김옥선. 2007. 대학기록관의 홍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8. 김은실. 2008. 이용자 유형별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의 사료관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정보기술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9. 김재훈, 이경훈. 2006. 대한불교조계종 중앙기록관 역사기록전시-기록으로 보는 한국불교와 조계종. 기록학연구 (13), 287-320.
  10. 김지현. 2013. 대통령기록관의 검색, 열람 및 연구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201-225.
  11. 김태영, 김건, 심갑용, 김용. 2014. 대통령기록관의 연구지원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2), 83-115.
  12. 김하야나, 김기영. 2014.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이용자, 이용 중단자, 비이용자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3), 201-226.
  13. 남영준, 최성은. 2011.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287-310.
  14. 서은경, 정경희, 최상희. 2006.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65-92.
  15. 오선경, 이지연. 2011. 시각장애인의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141-162.
  16. 윤 철. 2013. 빅데이터에 기반한 기록정보서비스의 방향. 한신대학교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7. 윤희윤. 2012.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취약계층 서비스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53-75.
  18. 이란주, 장은비. 2012.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187-207.
  19. 이은숙. 2014. 글로벌 시대 교양강좌개발 방향 모색-계명대학교 균형교양과목<서양문학으로 소통하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6), 727-754.
  20. 이해영, 김영은, 김은영, 김현지, 남경희, 이미라. 2007.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25-42.
  21. 이해영. 2012. 기록관의 정보서비스 현황 조사 및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3), 178-200.
  22. 이혜원. 2007. 기록관 전시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3. 이혜원, 이해영. 2015. 기록관의 견학프로그램.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3), 219-245.
  24. 원채원. 2015. 대학 기록관의 이용자 교육 서비스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 한성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5. 장덕현, 강은영. 2012. 부산시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인문학논총, 30, 201-223.
  26. 전수진. 2008.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127-152.
  27. 정경희. 2007.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 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377-396.
  28. 조윤희. 2008. 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기록 관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9. 한희정, 육혜인, 오유진, 김용. 2014. 문화유산기관의 협업을 통한 교육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2), 31-60.
  30. 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서울: 아세아문화사.
  31. Madden, M. 1979. Marketing survey spinoff: Library user/nonuser lifestyle. American Libraries, 10(2), 78-81.
  32. Market &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 2003. Listening to the Past, Speaking to the Future Annex D : Non-Archives Users Suvey : Omnibus Study.
  33. Xiaomu Zhou. 2008. Student archival research activity : an exploratory study. The American Archivist, 71(2), 476-498. https://doi.org/10.17723/aarc.71.2.n426270367qk311l
  34. GIPHY. 2013. national archives of Giphy. Retrieved 2016.11.17. http://giphy.com/search/national-archives
  35. San Diego State University. 2016. SDSU Library & Information Access. Retrieved 2016.11.3. http://library.sdsu.edu/guides/sub2.php?id=336&pg=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