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n Open Government Data: Focusing on ODB and OUR Index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실증연구: ODB와 OUR Index를 중심으로

  • 서형준 (인하대학교 글로벌e거버넌스학과)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16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In this study, to reveal determinant factors for degree of open data it conduct empirical analysis for ODB(Open Data Barometer) and OUR Index(Open, Useful, Reusable Government Data Index) that are global open data index among 26 countrie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focus is on ODB. In the Model 1 with independent variables, e-Government, SW Market size and government efficacy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DB. In the Model 2 with independent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 e-Government, SW market size and social capital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DB. In the Model 3 with independent variables, moderating variable and interaction term, e-Government and social capital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DB. Second focus is on OUR Index. In the Model 1 and the Model 2 e-Government i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UR Index. In the Model, e-Government and SW market size ${\times}$ social capital(interaction term)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UR Index. And in path analysis, only ODB alternative model show Government efficacy with social capital has full mediation effect. In OUR Index alternative model there is no mediation effect with social capital.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개방수준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은 물론 사회자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총 26개국을 대상으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인 ODB와 OUR Index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 ODB를 기준으로 할 때 독립변수만을 투입한 모델 1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 정부효과성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를 투입한 모델 2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 사회자본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항이 투입된 모델 3에서는 전자정부, 사회자본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종속변수 OUR Index를 기준으로 할 때 모델 1, 모델2에서 전자정부만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항이 투입된 모델 3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times}$사회자본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경로분석에서는 종속변수 ODB의 대안모형에 대해서 정부효과성만이 사회자본과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성 (2014). 재정회계정보의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2. 김구 (2012). 자치단체장의 개인적 특성과 지역특성이 지방정부의 정보화인력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16(4): 79-98.
  3. 김구 (2014).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글로벌 정보격차 수준 변화에 관한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4(2): 47-72.
  4. 김구 (2015). "국가의 정보화 수준과 투명성의 영향 관계."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8(3): 1-33.
  5. 김대기.주원균.김은진.이용호 (2014). "공공데이터 유형화를 위한 분류체계 설계에 관한 사례 연구 :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의 공공데이터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2(4): 51-68. https://doi.org/10.14400/JDC.2014.12.4.51
  6. 김선호.이창수.정승호.김학철.이창수 (2015). "공공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조직 성숙도 평가 모델." 정보화정책, 22(1): 28-46. https://doi.org/10.22693/NIAIP.2015.22.1.028
  7. 김수진.차희원 (2010). "결속형, 교량형 사회자본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특성이 음주운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7(1): 187-215.
  8. 김영석 (2012). 사회조사방법론 제3판. 서울: 나남출판.
  9. 김장민.김신열 (2010). "지역사회 취약성, 지역사회 자본 및 가족사회자본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사회과학연구, 26(3): 153-174.
  10. 김지연.김창엽 (2016). "사회자본과 지역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41: 33-60.
  11. 김춘태.김선명.정순관 (2016). "지역정책에서 사회적 자본의 활용과 대응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8(2): 61-85.
  12. 김태은.안문석.최용환 (2008). "전자정부가 부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횡단 및 패널자료를 통한 증거." 한국행정학보 42(1): 293-321
  13. 김현철.김광용 (2015). "공공데이터 품질 요인이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4(1): 53-68. https://doi.org/10.9716/KITS.2015.14.1.053
  14. 대한상공회의소 (2016). 信성장동력 ... "불신의 벽 허물면 4%대 성장한다." 대한상공회의소 보도자료, 10월 27일.
  15. 명승환 (2015). 스마트 전자정부론 제2개정판, 서울: 율곡출판사.
  16. 류태건 (2015). 사회자본연구: 지역발전의 모색, 서울: 세종출판사.
  17. 박경인.조창환 (2014). "SNS 상의 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용자의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5(5): 153-180.
  18. 박재현 (2004). 공공정보 활용에서의 정책집행 게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19. 박희봉.이희창.조연상 (2003).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37(3): 45-66.
  20. 박희봉.이희창.전지용 (2008). "가족 사회자본이 집단가치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현대사회와 행정, 18(3): 51-76.
  21. 박희봉.이희창 (2010). "사회자본이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한.중.일 3국민의 시민의식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4): 1-29.
  22. 배성훈.이종용.송석현.장주병.강상규.윤진선.김제완 (2013). "공공데이터 민간개방 확대를 위한 법률제정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6(3): 67-86.
  23. 서진완 (2003). "지역정보화네트워크와 사회자본의 형성가능성: BEV사례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10(3): 83-101.
  24. 서형준.명승환 (2014). "수요자 중심의 공공 데이터 민간 활용 방안: 민간부문 정보통신 담당자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3): 61-86.
  25. 서형준.명승환 (2015a). "사회자본과 정부신뢰의 관계 재조명: 결속적 사회자본과 교량적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9(3): 1-31.
  26. 서형준.명승환 (2015b). "지자체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정책 제언: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8(4): 1-27.
  27. 소진광 (2004).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1): 89-118.
  28.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14). "주요국 SW시장규모." https://spri.kr/posts/view/4496?code=market_statistic(검색일: 2016년 8월 30일)
  29. 송인국 (2015). "인터넷기반 공공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혜택, 기회, 비용, 그리고 위험요소 관점에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6(4): 131-139. https://doi.org/10.7472/jksii.2015.16.4.131
  30. 송충근 (2014). "GKMC하 지식공유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화정책, 21(3): 85-101. https://doi.org/10.22693/NIAIP.2014.21.3.085
  31. 송효진.황성수 (2014). "정부 3.0 추진에 따른 공공데이터 개방과 지방정부의 방향성 모색: 공공데이터법에 관한 이해와 개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2):1-28.
  32. 신영진 (2008). "전자정부환경에서의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 한국공공관리학보, 22(1): 241-259.
  33. 안전행정부 (2014a).정부3.0 길라잡이. 서울: 안전행정부
  34. 안전행정부 (2014b). 지역 공공데이터, 개방 및 이용 활성화 모델. 서울: 안전행정부.
  35. 왕재선 (2013). "전자정부의 효과; 거버넌스 지표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1(4): 1-29.
  36.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37. 원유경 (2012). 전자정부가 정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정부효과성, 민주성, 정부투명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학과, 석사학위논문.
  38. 윤소영 (2013).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1): 259-284.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259
  39. 윤정원 (2010). 정보화가 정부 효과성과 국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박사학위 논문.
  40. 이기식 (2012). "차세대 전자정부탐색: 플랫폼정부(P_Gov) 의 가능성과 한계."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제2012호: 1-23.
  41. 이동원.정갑영.채승병.박준.한준 (2009). 제3의 자본.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42. 이병혜 (2016).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7(2): 97-107. https://doi.org/10.7472/jksii.2016.17.2.97
  43. 이시직 (2014).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정보통신정책, 26(3): 1-20.
  44. 이일현 (2014).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45. 이정주 (2008). "사회적 자본과 부패와의 관계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 교량형 사회적 자본과 결속형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6. 이학식 (2012).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회귀분석, 서울: 집현재.
  47. 이현정.남현정 (2014). "우리나라 공공데이터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링크드 오픈 데이터화 전략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4): 249-266.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249
  48. 이희창 (2016). "정부신뢰에 대한 제도성과와 사회자본의 영향 비교: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30(3): 1-28.
  49. 전수진.박경규 (2009). "사회 네트워크가 고용 및 승진가능성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정보접근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경상논총, 27(1): 1-27.
  50. 전신현 (2011). "온라인 도움행동의 원인에 관한 경험 연구: 서울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18(1): 55-72.
  51. 정국환.문정욱.이시직.유지연.한은영.왕재선.서혁준 (2013), 공공데이터 개방.활용 성과측정을 위한 평가모델 연구.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52. 정충식 (2015). 전자정부론 제4판. 서울: 서울경제경영.
  53. 주원.오준범 (2016). 우리나라 사회신뢰도와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시사점. 현안과과제, 16(41),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54. 지광석 (2014). "공공데이터의 생산과 제공에 대한 정책적 함의: 소비자 공공데이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8(3): 323-348.
  55. 지광석.곽윤영 (2013). 소비자관련 공공데이터 제공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소비자원.
  56. 진관훈.서영숙 (2016).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복지정책, 43(2): 111-134.
  57. 진영.김을동 (2012). 공공데이터의 민간개방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서울: 국회의원 진영, 국회의원 김을동
  58. 채승병 (2013). 스마트 뉴딜: 공공데이터 개방과 기업의 활용. CEO Information, 제907호,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59. 최문형.박미경.이홍재 (2013). "SNS 이용과 교량적 네트워크 및 결속적 네트워크의 관계 분석: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3: 450-474.
  60. 최슬기.정광호 (2014). "전자정부와 부패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2): 29-59.
  61. 최정혜 (2001). 국가정보화수준의 결정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62. 하민철.한석태 (2013). "도시지역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정책수용성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7(2): 363-387.
  6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공공정보의 자율적 개방 확산을 위한 제도 도입 및 적용방안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64. 한상완.장후석.고승연 (2014). OECD 비교를 통해 본 한국 사회자본의 현황 및 시사점: 공적신뢰 회복을 위한 국가시스템 개조가 필요하다. 경제주평, 14(21),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65. 행정안전위원회 (2012).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 서울: 행정안전위원회 수석전문위원.
  66. 행정자치부 (2015). "대한민국, OECD가 발표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에서 1위 달성", 행정자치부 보도자료, 7월 7일.
  67. 허필선.박광만.박원주.조기성.류원 (2013). "공공정보 민간활용 시장 및 파급효과." 전자통신동향분석, 28(4): 118-131. https://doi.org/10.22648/ETRI.2013.J.280412
  68. 홍필기.윤상오.방민석 (2007). "공공정보자원의 상업화 모델 개발 및 적용방안." 정보화정책, 14(3): 54-80.
  69. 황주성.권성미.정준현.김준모 (2008). 공공정보 유통 및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 상업적 재활용을 중심으로.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70. 황주성 (2015). "전자정부가 공공데이터 개방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제도적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8(2): 1-28.
  71. Adler, P. S. & Kwon, S. W. (2002). "Social capital: Prospects for a New Concep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1): 17-40. https://doi.org/10.5465/amr.2002.5922314
  72. Bates, J. (2014). "The strategic importance of information policy for the contemporary neoliberal state: the case of Open Government Data in the United Kingdom."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1(3): 388-395. https://doi.org/10.1016/j.giq.2014.02.009
  73. Bright, J, Margetts, H., Wang, N. & Hale, S. (2015). "Explaining Usage Patterns in Open Government Data: The Case of Data.Gov.UK." Working Paper.
  74. CIA (2015). "The World Fact Book". 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검색일: 2016년 5월 20일)
  75.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https://doi.org/10.1086/228943
  76. Cordova, A. (2011).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Citizen Support for Government Action to Reduce Economic Ine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41(2): 28-49. https://doi.org/10.2753/IJS0020-7659410202
  77. Davies, T. G. (2014). "Open data policies and practice: an international comparison." Paper for European Consortium for Political Research Panel P356.
  78. Elbahnasawy, N. G. (2014). "E-government, internet adoption, and corrupt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World Development, 57: 114-126. https://doi.org/10.1016/j.worlddev.2013.12.005
  79. G8 Summit (2013). G8 Open Data Charter and Technical Annex.
  80. Gonzalez-Zapata, F. & Heeks, R. (2015). "The multiple meanings of open government data: Understanding different stakeholders and their perspective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2(4): 441-452. https://doi.org/10.1016/j.giq.2015.09.001
  81. Hawkins, R. L. & Maurer, K. (2010). "Bonding, Bridging and Linking: How Social Capital Operated in New Orleans following Hurricane Katrina.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40(6): 1777-1793. https://doi.org/10.1093/bjsw/bcp087
  82. Janssen, M., Charalabidis, Y. & Zuiderwijk, A. (2012), "Benefits, adoption barriers and myths of open data and ope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29(4): 258-268. https://doi.org/10.1080/10580530.2012.716740
  83. Janssen, M. & van den Hoven, J. (2015). "Big and Open Linked Data (BOLD) in government: A challenge to transparency and privacy?"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2(4): 363-368. https://doi.org/10.1016/j.giq.2015.11.007
  84. Meng, A. (2014). "Investigating the Roots of Open Data's Social Impact." Journal of eDemocracy and Open Government, 6(1): 1-13. https://doi.org/10.29379/jedem.v6i1.288
  85. Krishnan, S., Teo, T. S. & Lim, V. K. (2013).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e-government maturity, corruption, economic prosperity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A cross-country analysis." Information & Management, 50(8): 638-649. https://doi.org/10.1016/j.im.2013.07.003
  86. OECD (2014). Society at Glance 2014.
  87. OECD (2015). Government at Glance 2015.
  88. Pereira, G. V., Macadar, M. A. & Testa, M. G. (2015). "Delivery of Public Value to Multiple Stakeholders through Open Government Data Platforms." Innovation and the Public Sector, 91.
  89. Putnam, R. (2000). Bowling Alone. New York: Touchstone Book.
  90.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4).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4.
  91. Ubaldi, B. (2013), "Open Government Data: Towards Empirical Analysis of Open Government Data Initiatives." OECD Working Papers on Public Governance, No. 22.
  92. UNPAN (2014). UNITED NATIONS E-GOVERNMENT SURVEY 2014.
  93. Veljkovic, N., Bogdanovic-Dinic, S. & Stoimenov, L. (2014). Benchmarking open government: An open data perspectiv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1(2), 278-290. https://doi.org/10.1016/j.giq.2013.10.011
  94. Weaver, R. D., McMurphy, S. M. & Habibov, N. N. (2013). "Analyzing the Impact of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on Economic Well-Being: Results from Canada's General. Social Survey." Sociological Spectrum, 33(6): 566-583. https://doi.org/10.1080/02732173.2013.836149
  95. Wong, W. & Welch, E. (2004). "Does e-government promote accountability? a comparative analysis of website openness and government accountability. Governance: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s, 17(2): 275-297. https://doi.org/10.1111/j.1468-0491.2004.00246.x
  96. Worldbank (2014). "Worldwide Governance Indicators."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검색일: 2016년 6월 15일)
  97. WWW Foundation (2015). Open Data Barometer Global Report Second Edition.
  98. Yannoukakou, A. & Araka, I. (2014). "Access to government information: Right to information and open government data synerg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47: 332-340. https://doi.org/10.1016/j.sbspro.2014.07.107
  99. Yu, H. & Robinson, D. (2012). "The New Ambiguity of Open Government." UCLA L. Rev Disc, 59: 178-208.
  100. Zhang, S., Anderson, S. G. & Zhan, M. (2011). "Differentiated Impact of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on Economic Well-Being: An Individual Level Perspective." The. J. Soc. & Soc. Welfare. 38: 119.
  101. Zuiderwijk, A. & Janssen, M. (2014). "Open data policies, their implementation and impact: A framework for comparison."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1(1): 17-29. https://doi.org/10.1016/j.giq.2013.0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