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haring and Application of Public Open Big Data

공공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전병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김희웅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7.07.21
  • Accepted : 2017.09.21
  • Published : 2017.09.29

Abstract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ig data, various policies are being developed for facilitating the use of public open big data, which are leading to a wide range of added values created from use of such data. Despite the expanded requirements for public data disclosure and the legal system improvement, however, the use of public open big data is still limit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there are studies on policy proposals for the government guiding directions for public open big data,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handle the issue from the users' viewpoi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ublic open data ecosystem in Korea and to analyze public open big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roviders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nd users (private sector companies and citizens). This way, the study finds inhibition factors and facilitation factors, draws out issues and suggests solutions through a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each factor. Being a research on finding measures for facilitating both public big data release and use,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e meanwhile, the derived issues and alternative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lso for stakeholders who are planning to facilitate release and use of public open big data.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대두됨과 함께 공공 빅데이터 활용을 활성화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공공 데이터 공개 의무 확대와 법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문헌연구에 따르면, 공공 빅데이터 개방을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한 연구는 있지만, 실제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람들의 입장까지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공공 데이터 개방 생태계에 대해 파악하고, 공공 빅데이터 개방의 주체인 제공자 입장(정부, 공공기관)과 사용자 입장(기업, 민간)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공공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활성화의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 간의 인과관계분석을 통해 이슈를 도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공공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활성화 방안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함께 고려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가지며, 도출된 이슈와 대안은 국내 공공 빅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활성화를 도모하는 이해당사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황선 (2004). "다차원지표체계를 활용한 공공서비스 품질 측정-연성지표와 경성지표의 혼합을 통한 품질측정 지표체계 제안." 지방정부연구, 8: 33-50.
  2. 김배현 (2014). "해외 주요국가의 빅데이터 정책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12(1): 38-40. https://doi.org/10.20924/CCTHBL.2014.12.1.038
  3. 김선호.이창수 (2013).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참조 모델."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8(4): 83-105. https://doi.org/10.7838/jsebs.2013.18.4.083
  4. 김준억 (2016). "식품원재료, 부동산실거래가 등 공공데이터 활용 급증." 연합뉴스. 7월 14일.
  5. 김현철.김광용 (2015). "공공데이터 품질 요인이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 서비스학회지, 14: 53-68.
  6. 나형철.이경희.정승현.강길원.조완섭 (2017). "보건의료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과 개방표준 준수 현황."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0(6): 506-513. https://doi.org/10.5124/jkma.2017.60.6.506
  7. 백인수 (2013). "오픈데이터 플랫폼과 국가 데이터 전략방향." IT & Future Strategy 16.
  8. 서형준 (2017).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실증연구: ODB 와 OUR Index 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24(3): 48-78.
  9. 성욱준 (2016). "공공부문 빅데이터 정책 활성화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5(2): 125-149.
  10. 유상인.이소현.김희웅 (2013).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시스템 사고 접근."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2(3): 57-73.
  11. 이만재 (2011). "빅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 활용."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2(2): 47-64.
  12. 이상윤.윤홍주 (2012).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정보화 전략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6): 1259-1273.
  13. 이상윤.윤홍주 (2012).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정보화 전략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6): 1259-1273.
  14. 이재걸.우순규.김재홍.김광용 (2016). "전자정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공공 데이터 개방 정책 방안." 한국 IT 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99-203.
  15. 이현종 (2016). "신산업 기반(IoT, AI) 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 품질." OPEN DATA Conference.
  16. 임준원.최경현 (0000).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이 공공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43(1): 19-29. https://doi.org/10.7232/JKIIE.2017.43.1.019
  17. 임지수 (2017). "'잘 꿰면 보배'...공공데이터 생태계 커진다." 머니투데이, 5월 30일.
  18. 장윤정.조은영.김희웅 (2015). "정성적 연구를 통한 온라인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 요인 탐색." 지식경영연구, 16(1): 225-242. https://doi.org/10.15813/kmr.2015.16.1.011
  19. 장윤희 (2016). "IT 전문가 행복 인과관계 다이어그램 모형."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7(4), 161-172. https://doi.org/10.7472/jksii.2016.17.4.161
  20. 정승호.정덕훈 (2013). "데이터 공학: 공공기관의 데이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2(4): 251-266.
  21. 조영임 (2013). "빅데이터의 이해와 주요 이슈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6(3).
  22. 조은영.김희웅 (2015). "핀테크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활성화 방안." 정보화정책, 22(4): 22-44. https://doi.org/10.22693/NIAIP.2015.22.4.022
  23. 차영일.최성규.한경석 (0000) "민간의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6): 9-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6.9
  24. Jung, Kyujin & Han Woo Park (2015). "A semantic (TRIZ) network analysis of South Korea's "Open Public Data" policy."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2(3): 353-358. https://doi.org/10.1016/j.giq.2015.03.006
  25.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MOSPA). (2013). Disclosure Services Manual.
  26.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MOSPA). (2013). Government 3.0 Tutorial.
  27. Nugroho, R. P., Zuiderwijk, A., Janssen, M. & de Jong, M. (2015). A comparison of national open data policies: lessons learned. Transforming Government: People, Process and Policy, 9(3): 286-308. https://doi.org/10.1108/TG-03-2014-0008
  28. Sterman, J. D. (2001). "System dynamics modeling: tools for learning in a complex world."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3(4): 8-25. https://doi.org/10.2307/41166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