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 Analysis of ICT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Level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OECD PISA Data

OECD PISA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ICT 접근 및 활용 수준 추이 분석

  • Received : 2017.09.07
  • Accepted : 2017.10.18
  • Published : 2017.1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education in K-12 based on the analysis of ICT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levels of Korean student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trends of Korea and OECD countries by survey period, focusing on the OECD PISA 'ICT familiarity survey' conducted in 2009, 2012 and 2015. The surveyed subjects were 15 year-old students and the analysis metho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sampling weigh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Korean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ICT accessibility at home increased from 2009 to 2015, but was consistently lower than the OECD average. Second, the overall Internet usage time wa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The Internet usage time on weekdays increased from 2012 to 2015, but on weekends decreased. Third, the ICT accessibility in schools decreased from 2009 to 2012, and increased in 2015, but wa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in 2015. Fourth, the student age ratio of first time computer usage increased from 2012 to 2015 and the average age for computer usage began before age 6, but was below the OECD average. Lastly, student use of digital devices for items such as Internet searches for entertainment and SNS activity has increased from 2012 to 2015, but the level of everyday use such as e-mail, online chat, program downloading, and reading Internet news has de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ICT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OECD PISA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ICT 접근 및 활용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초 중등학생 ICT 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된 OECD PISA 'ICT 친숙도 조사' 공통 문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와 OECD 국가 평균의 조사 주기별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만 15세 학생이며, 분석 방법은 표집 가중치를 고려하여 각 항목에 대한 응답 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의 ICT 접근성은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증가하였으나 OECD 평균보다는 지속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인터넷 사용 시간은 OECD 평균보다 낮았으며, 2012년보다 2015년에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은 증가하였으나 주말 인터넷 사용시간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셋째, 학교에서의 ICT 접근성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감소하다가 2015년에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5년을 기준으로 OECD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학생들의 컴퓨터 최초 활용 나이 비율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6세 이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OECD 평균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디지털기기 사용은 2012년에서 2015년까지 오락을 위한 인터넷 검색, SNS 활동은 증가폭이 컸으나 이메일, 온라인 채팅, 프로그램 다운로드, 인터넷 뉴스 읽기, 실용적 정보 수집 등 일상적 활용 수준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 초 중등학생 ICT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계보경 (2017). 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운영 동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M 2017-5.
  2. 교육부 (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 2015.9.23.
  3. 교육부 (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교육부.
  4. 구자옥.김성숙.임해미.박혜영.한정아 (2015).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본검사 시행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6-2.
  5. 구자옥.김성숙.이혜원.조성민.박혜영 (2016).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2-2.
  6. 권성연 (2017).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3(1): 1-27.
  7. 김갑수 (2015). "한국학생의 PISA ICT 능력 비교 연구-2009년과 2012년 -."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9(2): 233-242.
  8. 김갑수 (2017). "OECD 국가들과 한국 학생들 간 ICT 접근성과 활용성 연구 -2015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21(3): 361-370.
  9. 김성식.안성훈 (2016). "학교장의 교육정보화 인식이 학생들의 ICT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268-27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268
  10. 김수진.박지현.전경희.김미영.이영준 (2014).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3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14-3-2.
  11. 김종민.안성훈.임현정.김한성 (2017). "초.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요인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21(3): 321-334.
  12. 김준형 (2015). "PISA ICT 설문조사 분석을 통한 OECD 국가의 학교 정보화 실태 비교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3): 493-520.
  13. 김혜숙 (2014). OECD PISA 2012를 통해 본 우리나라 교육정보화의 수준과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RM 2014-8.
  14. 김혜숙.김진숙.김한성.신안나 (2017). OECD PISA 2015로 통해 본 한국의 교육정보화 수준과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슈리포트 RM 2017-4.
  15. 김혜숙.박현정.서정희 (2008). 교육에서의 ICT 효과 분석: PISA 2006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6. 김혜숙.이재열.홍미애 (2013). "학교정보화 지수와 학업성취도 간 관계에 대한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4(3): 25-57.
  17.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2013). "창조경제의 핵심, 창의인색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Five-Jump' 전략 추진 - 미래부, 교육부, 고용부 및 관계부터 협업으로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 육성방안' 발표." 2013.8.7.
  18. 박현정.김혜숙 (2009). "컴퓨터 활용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 분석: PISA 2006 한국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2(1): 171-194.
  19. 박형용.이승진.안성훈 (2016). "학교의 교육정보화 수준에 따른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차이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5): 1-9.
  20. 안성훈.채경화 (2016). "초등학생의 ICT 리터러시 수준과 성별 ICT 활용 습관 차이와의 상관 분석," 한국정보교육논문지, 20(3): 303-312.
  21. 이은정.이재신(2016).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정보화정책, 23(3): 64-83. https://doi.org/10.22693/NIAIP.2016.23.3.064
  22. 정광훈.강슬기.구찬동.김수영.김한성 (2017). 초.중등학교 교육정보화 실태 조사.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R 2017-1.
  23. 채경화.안성훈.남창우.김종민.김혜원 (2016). 2016년도 국가수준 초.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R 2016-8.
  24. 홍명희 (2014). "터키와 한국의 ICT 능력 비교 연구 - PISA 2009와 PISA 2012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논문지, 18(1): 151-160.
  25. Akamai (2016), Q1 2017 State of the Internet - Connectivity Report, Akamai.
  26. Autor, D. H., Levy, F. & Murnane, R. J. (2003). The skill content of recent technological change: An empirical explora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8(4): 1279-1333. https://doi.org/10.1162/003355303322552801
  27. Fraillon, J., Ainley, J., Schulz, W., Friedman, T. & Gebhardt, E. (2014). Preparing for life in digital age: The IEA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nternational report. Springer Open.
  28. Jaimovich, N. & Siu, H. E. (2012). The changing role of education and school. In P. Griffin, E. Care, & B. McGraw (Eds.),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p. 1-15). NY: Spring
  29. OECD (2009). PISA data analysis manual. Paris: OECD.
  30. OECD (2014). PISA 2012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 Student performance in Mathematics, Reading and Science. Paris: OECD.
  31. OECD (2015). Students, Computers, and Learning: Making the Connection. Paris: OECD.
  32. OECD (2016a). PISA 2015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Science, reading, mathematic and financial literacy. Paris: OECD.
  33. OECD (2016b). PISA 2015 results (volume I): Excellence and equity in education. Paris: OECD.
  34. OECD (2017) PISA 2015 Technical Report, updated 24th February, 2017.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pisa/data/2015-technicalreport/.
  35.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