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itical Consideration on the Women Leaders DB System -Focusing on Incheon case-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인천 사례를 중심으로-

  • 홍희정 (스칸디나비아 정책연구소) ;
  • 홍성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16.12.29
  • Accepted : 2017.01.26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In recent years, developed countries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female workers through work-family balan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aging. Korea has been building and running a women leaders database (hereafter, women leaders DB) centered on the female professionals since 2011. In particular, the Incheon women leader DB, which was built by Incheon city in 2009, is a classic example. As of 2015, about 2,735 people are registered in Incheon Women Leaders DB and it is systematically creating the database such as age, education, career years, major, occupation, and certification. However, there are administrative problems such as unspecified definition on professionalism and data trust issues including data entry, and DB personnels are concentrated in specific fields. Also, in the case of certification proving expertise, the utilization problem has been revealed including inclusion of private certification not yet verifi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first need to clarify the concept of women leaders and establish the standard. The second is the improvement of data consistency through DB reorganization, and third is to build a system through continuous and active public relations that is used by both job seekers and recruiters.

최근 선진국들은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가정 양립을 통한 여성 인력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한국도 여성 인력 활용을 위하여 2011년부터 여성 전문인을 중심으로 여성 인재 데이터베이스(이하 여성 인재 DB)를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인천시가 2009년부터 자체 구축한 인천 여성 인재 DB가 대표적이다. 인천 여성 인재 DB에는 2015년 현재 약 2,735명이 등록되어 있으며, 연령, 학력, 경력연수, 전공, 직종, 자격증 등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성에 대한 불명확한 규정, 데이터 입력과 같은 데이터 신뢰 문제 등과 같은 관리적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DB의 인력이 특정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전문성을 입증하는 자격증의 경우 아직 검증 되지 않은 민간 자격증까지 포괄해서 포함하는 등 활용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첫째, 여성 인재에 대한 명확한 개념화와 기준 정립, 둘째, DB 재정비를 통한 데이터 정합성 향상, 셋째,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구직자와 구인자 모두가 활용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여성가족부 내부자료, 2015년 9월.
  2. 문미경, 박성정, 신선미, 이택면, 김복태, 미래 여성인재 전략적 양성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3. 박미현, 변화순, 신현식, 여성박사인력 인적자료 조사 및 DB 구축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3
  4. 류정아, 박건, 문현아, 여성문화인력 실태조사 및 DB 구축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5. http://www.communityservices.act.govv.au/women/act_women_register#joining
  6. http://www.boards.dpc.nsw.gov.au
  7. http://www.communities.qld.gov.au/communi-tyservices/women
  8. http://www.womenonboard.nt.gov.au
  9. http://premierswomensdirectoru.sa.gov.au/?s-ection=856
  10. http://premierswomensdirectoru.sa.gov.au/?section=856
  11. http://www.communityservices.act.govv.au/women/act_women_register#joining
  12. http://bmvit.gv.at
  13. 국가인사혁신처 내부자료, 2015년 8월.
  14. 홍희정, 여성 전문 인력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 여성 인재풀(pool)을 중심으로, 인천여성가족재단, 2015.
  15. 인천광역시 내부자료, 2015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