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Political Tendency and the Degree of Freedom during Performance on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on the Quality of the Press

뉴스생산 환경 및 조직과 기자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가 언론의 전문성,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홍주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 최선영 (이화여대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 Received : 2017.01.16
  • Accepted : 2017.03.06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what ar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erception of press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of journalist in the process of their news production.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difference between mainstream media and online media, the political tendency and the degree of freedom during working effected on the judgement of the freedom of press based on the model of Shoemaker and Reese' hierarchical model. As a result, Research finding is as follows: First, online media journalist evaluated the fairness of press higher than offline media journalists. Second, the consistency of political tendency of offline media is different from online media. Online media journalists evaluated the fairness of the press higher than offline media journalists. Finally, the degree of freedom during performance is the most importance factor which affects the evaluation of press fairness. This study highlight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on the quality of the press based on the survey data which have conducted by Korean press foundation This study implicates how working environment is importance in journalist's writing as a journalist. The freedom of press i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news production becaus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valuation of the fairness and the professionalism of press reveals the quality of press.

이 연구는 언론인들이 기사를 생산함에 있어서 스스로 전문성, 공정성을 판단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슈메이커와 리즈의 계층 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뉴스생산 환경의 차이, 조직과 개인의 정치적 성향 일치도, 기자들의 업무 수행 자유도에 따라 언론인이 전문성과 공정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매체 종사자들이 오프라인 매체 종사자들보다 자신들의 보도 공정성을 높게 평가했다. 둘째, 오프라인과 온라인 매체 종사자 간에 조직의 정치 성향 일치도 판단에 있어서 차이가 났고, 이러한 인식이 언론 공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업무 수행 자유도가 높을수록 언론의 공정성을 높게 평가했고, 언론 보도의 공정성을 높게 평가할수록 업무를 전문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소속 매체 특성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언론인 의식조사'의 설문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통해 연구했다는 점이다. 특히 소속 매체에 따라 조직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 측면에서 뉴스 생산 환경에 대한 우리나라 언론인들의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했다는 점에서 저널리즘 측면의 의의가 있다. 언론의 공정성과 전문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국 기사의 질이라는 결과물로 나타나기 때문에 뉴스생산 환경의 정치적 자유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independent.co.uk/voices/theindependent-printed-edition-comes-to-an-endbut-the-dream-of-our-founders-shall-never-die-a6953006.html
  2. Full highlights of World Press Trends 2016 survey http://www.wan-ifra.org/articles/2016/06/12/full-highlights-of-world-press-trends-2016-survey
  3. http://stat.mcst.go.kr/mcst/resource/static/index/index03.html
  4. 김위근, "인터넷신문 뉴스생태계의 현안과 개선방향," 한국언론학회 세미나, 인터넷뉴스 생태계의 현안과 개선방향, pp.13-30, 2010.
  5. 이충재, 김정기, "종합일간지 편집국장의 편집권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6호, pp.165-186, 2015.
  6. P. J. Shoemaker and S. D. Reese, Mediating the message :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2nd edtion, 1991. 김원용 역, 미디어 사회학, 서울: 나남출판, 1997.
  7. 홍경수, "방송뉴스제작에 있어서 기자․PD 협업의 시너지효과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164-17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4.164
  8. S. D. Reese and P. J. Shoemaker, Media Sociology and the Hierarchy of Influences Model: A levels-of-analysis perspective on the networked public sphere,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Vol.19, No.4, pp.389-410, 2016. https://doi.org/10.1080/15205436.2016.1174268
  9. M. Deuze, "The Web and its Journalism : Considering the Consequence of Different Types of News Media," Online. new media & society, Vol.5, No,2, pp.203-230, 2003. https://doi.org/10.1177/1461444803005002004
  10. 홍주현, "핵심 정보와 주변 정보의 확산 과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269-28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269
  11. M. Deuze, "What is multimedia journalism 1?," Journalism studies, Vol.5, No.2, pp.139-152, 2004. https://doi.org/10.1080/1461670042000211131
  12. Y. S. Praeli, New Media and Freedom of Press, Reuters Institute Fellowship Paper University of Oxford, 2010.
  13. R. G. Picard, Journalists' Perceptions of the Future of Journalistic Work,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Report(University of Oxford), 2015.
  14. L. Ahva, "What is "public" in public journalism," Estudos em Comunicacao, Vol.9, pp.119-142, 2011.
  15. 홍주현, 김경희, 한국 사회에서의 뉴미디어 확산과 사회적 의제,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 보고서, 2016.
  16. 홍주현, 최선영, "뉴스생산 환경 및 조직과 기자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가 언론의 전문성,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방송학회 언론진흥재단 후원 세미나 발표,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