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rking Conditions for Care Workers and Care Quality in Long-Term Care Services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10.02
  • Accepted : 2016.11.28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working conditions for care workers on the care qualit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particularly the coexisting perspective on publicness and the marketization of Long-term care services in South Korea brings about. Prior studies have not identifi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the care quality, only explained cause of a low-wage labor market and low productivity of social services. Theoretical relevance of working conditions and service quality on Long-term care in Korea is to view from a integrated care model by Daly and Lewis(2002). A non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consider Long-term care facility's ownership. A merged dataset combining surveys from 248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online resources from NHIC administrative was used and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s is showed as follows. Overall, organizations with better working conditions, having higher wage, having greater a fringe benefit, being skills development and training are likely to have good care quality in each area.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working conditions, rewards and support to care worker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normative dimension beyond the minimum standard on labor market policy and evaluation system by government regulat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Long-term care quality.

본 연구는 한국의 장기요양서비스 제도적 맥락 속에서 발생한 시장화와 공존하고 있는 공공성의 관점에서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서비스의 낮은 생산성과 시장화로 가중된 저임금노동시장의 문제가 서비스 질 저하를 가져온다고 추론한 것이지, 근로조건과 서비스 질의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한 것이 아니다. 본 연구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제도적 맥락에서 본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과 서비스 질과의 이론적 관련성은 Daly와 Lewis(2000)의 돌봄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조망하였다. 자료는 전국에 있는 노인장기요양시설을 소유권을 중심으로 비비례층화표집하여 248개 조직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다시 인터넷 자료와 병합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 가운데 3개 영역에서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부가급여가 존재할수록, 교육 및 훈련을 지원할수록 서비스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규제하는 노동시장정책과 평가제도상의 최소기준을 넘어서는 조직의 규범적 차원에서의 근로조건과 보상체계가 장기요양서비스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16, 2015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2. 권현정, 2014, "서비스 질의 측면에서 고찰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공급구조의 시장화분석", 사회복지정책, 41(1): 289-313.
  3. 권현정, 2016,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공급자의 위험선택(cream skimming)에 관한 실증분석", 사회복지정책, 43(1): 215-234.
  4. 권현정.홍경준, 2015, "공공성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7(3): 253-280.
  5. 김인, 2010,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바우처 제도의 시장 경쟁성과 수급자선택권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22(2): 397-426.
  6. 노동부, 2009, "요양보호사 근로자성 판단지침", 근로기준과, 2009.12.
  7. 류재우, 2005, "노동조합의 임금과 고용효과", 노동경제논집, 28(1):105-133.
  8. 박세경, 2010, "사회서비스 돌봄 일자리의 쟁점과 과제", 보건복지포럼162: 32-41.
  9. 박세경.김혜원.강혜규.박찬임.오은진.은수미.김은지, 2009, 사회서비스 인력선진화방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노동연구원.
  10. 박현미.강은애, 2010, 사회서비스 분야의 노동실태조사: 돌봄 노동자의 감정노동 특성과 감정소진, 일만족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11. 보건복지가족부, 2009,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1년의 주요 통계 현황, 보도자료, 2009. 6. 26.
  12. 보건복지부, 2011, "장기요양급여비용 등에 관한 고시",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1-153호, 2011. 12. 5.
  13. 보건복지부, 2016, 2016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4. 석재은, 2008, "한국 장기요양서비스의 복지혼합: OECD 국가들과의 비교적 접근", 사회보장연구, 24(4): 197-228.
  15. 선우덕, 2012, "노인요양서비스공급체계의 공공성 강화 방안", 한국사회복지공급체계와 공공성,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춘계학술대회, 서울, 2012년 6월 15일: 43-61.
  16. 신경희.남우근, 2013, 서울시 요양보호사 노동실태와 개선방안, 서울: 서울연구원.보건복지자원연구원.
  17. 양난주, 2009, "바우처 정책집행연구: 노인돌보미바우처 사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윤자영 역, 2007, 보이지 않는 가슴, Folbre, N., 2001, The invisible heart: Economic and family values, 서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 윤자영, 2012, "돌봄서비스 일자리 근로조건의 현황과 과제", 노동리뷰, 1월호: 52-66.
  20. 이미진, 2011,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측정상의 쟁점에 대한 고찰", 사회복지정책, 38(1): 141-165.
  21. 이진우.태정호 역, 1996, 인간의 조건, Arendt, H., The human conditions, 서울: 도서출판 한길사.
  22. 이혜승.유승현, 2013, "노인 요양보호사의 인력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요양보호사와 시설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7(3): 145-181.
  23. 장혜경.김영란.조현각.김고은.박경희, 2007, 공식영역의 돌봄노동 실태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 최희경, 2009,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개념의 노인돌봄 서비스 질에 대한 적용",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27-57.
  25. 황덕순.윤자영.윤정향, 2012, 사회서비스 산업 노동시장 분석: 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 노동연구원.
  26. 홍경준.김사현, 2014, "한국 돌봄노동의 실태와 임금불이익", 한국사회복지학, 66(3): 133-158.
  27.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2013,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결과 현황", 2013년11월, http://www.longtermcare.or.kr
  28.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2013, "장기요양기관자료", 2013년 7월 1일 추출,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MENUITEM_ORGSEARCH/
  29.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2014, "장기요양기관 평가등급", 2014년 2월24일추출,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B0018/
  30. 법제처, 2016,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법률 제14215호 2016년5월29일 일부개정", http://www.moleg.go.kr
  31. 보건복지부, 2012, 2012 노인복지시설 현황, http://www.mw.go.kr
  3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013, http://www.kosis.kr
  33. Amirkhanyan, A. A., Kim, H. J., and Lambright, K. T., 2008, "Does the public sector outperform the nonprofit and for‐profit sectors? Evidence from a national panel study on nursing home quality and access",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7(2): 326-353. https://doi.org/10.1002/pam.20327
  34. Bowers, B. J., Fibich, B., and Jacobson, N., 2001, "Care-as-Service, Care-as-Relating, Care-as-Comfort Understanding Nursing Home Residents' Definitions of Quality", The Gerontologist, 41(4): 539-545. https://doi.org/10.1093/geront/41.4.539
  35. Daly, M., and Lewis, J., 2000,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1(2): 281-298. https://doi.org/10.1080/00071310050030181
  36. Daly, M., 2001, "Care work: The quest for security",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37. De Prins, P., and Henderickx, E., 2007, "HRM Effectiveness in Older People's and Nursing Homes: The Search for Best (Quality) Practices".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36: 549-571. https://doi.org/10.1177/0899764006296051
  38. Castle, N. G., and Ferguson, J. C., 2010, "What is nursing home quality and how is it measured?", The Gerontologist, 50(4): 426-442. https://doi.org/10.1093/geront/gnq052
  39. Donabedian, A., 1980, Explorations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Ann Arbor: Health Administration Press.
  40. Donabedian, A., 1988, "The quality of care: How can it be assessed?", Jama, 260(12): 1743-1748. https://doi.org/10.1001/jama.1988.03410120089033
  41. Hillmer, M. P., Wodchis, W. P., Gill, S. S., Anderson, G. M., and Rochon, P. A., 2005, "Nursing home profit status and quality of care: Is there any evidence of an association?",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62(2): 139-166. https://doi.org/10.1177/1077558704273769
  42. Knox, K. J., Blankmeyer, E. C., and Stutzman, J. R., 2006, "Comparative performance and quality among nonprofit nursing facilities in Texas".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35(4): 631-667. https://doi.org/10.1177/0899764006289770
  43. OECD/European Commission, 2013, A good life in old age? Monitoring and improving quality in Long-term care, OECD Health Policy Studies,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9789264194564-en
  44. Pesch, U., 2008, "The publicness of public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 Society, 40(2): 170-193. https://doi.org/10.1177/0095399707312828
  45. Standing, G., 2001, "Care work: overcoming insecurity and neglect", 15-32, in Care work: The quest for security, edited by Daly, M.,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46. UNECE(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2016, "Handbook on Measuring Quality of Employment: A Statistical Framework", New York and Geneva: United 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