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 of Security Level of Military Organizations Applying Grounded Theory

근거이론을 적용한 군 조직의 보안수준 변화요인 연구

  • Received : 2017.10.21
  • Accepted : 2017.12.11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is study which was star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hange the security level of military organizations,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articles written by the active officers in the Defense Daily Journal hoping to improve the military security level b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Grounded Theory, and establish causal relationship how organizational members respond to insider security threa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ausal condition is 'the security threat of the insider', the contextual condition is 'the specificity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the central phenomenon is 'the conflict of values as a soldier', the arbitrary condition is 'the security consciousness', Strategy is 'the responds to security threats', and the result was 'security level change'. The core categories can be presented as 'the degree of conflict of values on insider security threats' and two hypotheses have been derived. First, the member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strongly felt the conflict of values about security threat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security was strong, and they helped to develop the security level of organization by responding strongly. Second, the stronger the tendency to focus on colleagues, respond weakly to security threats. And it undermines the security level of the organization. Finally, in order to improve the security level of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lid security consciousness and to make institutional development to support it.

군 조직의 보안수준 변화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작된 본 연구는 현역 간부들이 군의 보안수준 향상을 바라며 국방일보에 투고한 기고문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이라는 질적연구 방법에 의해 분석 후 조직구성원들이 내부자 보안위협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 '내부자의 보안위협', 맥락적 조건은 '군 조직의 특수성', 중심현상은 '군인으로서 가치관의 충돌', 중재적 조건은 '보안의식', 전략은 '보안위협에 대응', 결과는 '보안수준 변화'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내부자 보안위협에 대한 가치관의 충돌 정도'로 제시할 수 있으며, 두 가지의 가설이 도출되었다. 첫째, 군 조직의 구성원은 안보를 중시하는 성향이 강할수록 보안위협에 대한 가치관의 충돌을 강하게 느끼며 이에 강경하게 대응하여 조직의 보안수준을 발전시키는데 일조하고 있었다. 둘째, 동료를 중시하는 성향이 강할수록 보안위협에 대한 가치관의 충돌 정도가 약하며 이에 미온적으로 대응하여 조직의 보안수준을 퇴보시키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조직의 보안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의 확고한 안보의식 확립을 위한 방안과 더불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발전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지 (2011). 근거이론에 의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연구. 박사학위논문
  2. 김광식 (2001). 열린 국방차원의 대언론 정보공개와 군사보안의 효율적 조화 방안, 한국국방연구원
  3. 김광식 (2002). 군 보안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국방정책연구 제56권, 173-204
  4. 김정덕.심명철 (1997). 미 국방부의 정보관리 기술 아키턱쳐 프레임웍과 목표보안 아키텍쳐, 정보처리학회지 제4권 제2호, 12-23
  5. 김준현 (2010). 행정사례연구 접근방법으로서의 근거이론의 전망과 한계,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1권 제2호, 321-341
  6. 김성우.백동환 (2014). 군사보안실무론. 인천: 진영사
  7. 김홍건 (2006). 정보보안의식 및 관리체계를 통해 본 군 정보보안 실태에 관한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8. 국가정보원 홈페이지 http://www.nis.go.kr
  9. 국군기무사령부 홈페이지 http://www.dsc.mil.kr
  10. 국방일보 홈페이지 http://kookbang.dema.mil.kr
  11. 권오훈.이명훈.이재우.임채호 (2013). 국방망의 지속적인 실시간 보안관리체계, 정보보호학회 제23권 제6호, 54-66
  12. 권향원.최도림 (2011). 근거이론적 방법의 이론화 논리에 대한 이해: 한국행정학의 비맥락적 방법론적 편향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5권 제1호, 275-302
  13. 문연철.김용훈 (2013). 근거이론을 적용한 예비역단체의 국방정책 참여 특성, 행정논총 제51권 제2호, 257-282
  14. 박동희 (2012). 군 보안규정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모색. 석사학위논문
  15. 박준형 (2010). 억제요인 특성이 정보보안 효과에 미치는 영향, 3사교 논문집 제71권 , 1-30
  16. 백재종.문병무 (2013). 국방 사이버 방호체계 구축 생태계 취약점 분석 및 개선 방안, 정보보호학회 제24권 제6호, 1263-1269 https://doi.org/10.13089/JKIISC.2014.24.6.1263
  17. 서강흠 (2012). 軍 간부들의 개인적 특성이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18. 이용석 (2013). 작전보안 개념과 국방적용 방안, KIDA 주간국방논단
  19. 여성철.문종섭 (2014). 국방정보체계의 비밀데이터 관리 방안 연구, 정보보호학회 제24권 제6호, 1285-1292 https://doi.org/10.13089/JKIISC.2014.24.6.1285
  20. 조선일보(2015., 5, 22). "北 간첩 영화 속 얘기 아냐"...前 남파공작원 美 CNN 인터뷰, http://news.zum.com/articles/22187146, 검색일 2017. 10. 20.
  21. 장월수.최중영.임종인 (2012). 군 통합보안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정보보호학회 제22권 제3호, 575-584
  22. 장월수 (2012). 군사비밀 유출에 따른 피해금액 산정을 위한 모델 연구. 박사학위논문
  23. 조중현 (2007). 마을 공동사업 추진과정에서 표출된 주민 간 갈등의 근거이론적 해석. 박사학위논문
  24. 최준.강성문.최인수 (2015). 美軍 암호장비 현황 및 상호운용성 전략, 정보보호학회 제25권 제2호, 58-63
  25.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2006). 예방적 차원의 전자문서 유출 방지 대책, 2006 국방정보보호컨퍼런스
  26.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2011). 내부자 보안관리 기본방안, 2011 국방정보보호컨퍼런스
  27. 한규하.김현정.정도범.이중정 (2009). 군 조직지식 공유과정에 보안의식이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제35권 제3호, 139-156
  28. Ahmed. M.., Sharif, L., Kabir, M. (2012). Human Errors in Information Security, International Security Journal of Advanced Trends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1(2), pp. 82-87
  29. Charmaz, K.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Reseach, Washington: SAGE
  30. Glaser, B., Strauss, A. (2006).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Chicago: Adline
  31. Jhonston. A. C., Warkentin, M. (2010). Fear Appeals and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An Empirical Study, Minnesota: MIS Quartely
  32. Loch. K.., Carr, H., Warkentin, M. (1992). Threats to Information systems: Today's Reality, Yesterday's Understanding, Minnesota: MIS Quartely
  33. Strauss, A., Corbin, J. (1990).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of Developing for Grounded Theory 1st, LA: Sage
  34. Strauss, A.,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of Developing for Grounded Theory 2nd, L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