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Korean Human Capital on the Permanent National Economic Growth in the New Normal Era

뉴 노멀 시대하 한국의 인적자본이 영구적 국민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김선재 (배재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 Received : 2017.02.01
  • Accepted : 2017.02.20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itory and permanent growth effects of human capital of the Korean econom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w Normal Era during the period 1970-2014. For the transitory effects, we found out that all the coefficients of capital and labor are significant above the 5% level, whereas the coefficients of labor and human capital are significant only at the 10% level during the period 1999~2014.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1% increase in the human capital, the actual growth rate raised up with the rate of 0.15% over a 45-year period. For the permanent growth effects, the coefficients of capital and labor are significant above the 5% level. Furthermore, sum of the coefficients of the capital and labor showed approximately 0.96~0.99, approaching to a unit,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constant returns scale with respect to these inputs. In particular, the coefficient of human capital at 0.064 is significant at the 10% level. This implies that the permanent growth effect of an additional index of human capital is about 0.64% the previous 45-year period.

본 연구에서는 뉴 노멀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인적자본의 중요성과 함께 동 자본이 한국경제의 일시적 및 영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1970~2014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시적 효과를 추정한 결과 물적 자본과 노동, 그리고 인적자본 모두 전 기간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다만 1999~2014기간 동안의 노동과 인적자본계수만이 10%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인 반면 나머지 모든 계수들은 전 기간에 걸쳐 5% 이상의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특히 기간 1970~2014 동안 인적자본이 1% 증가할 경우 경제성장은 0.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구적 성장효과를 추정한 결과 자본과 노동계수 모두 전 기간에 걸쳐 5% 수준 이상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더욱이 자본과 노동계수의 합이 0.96~0.99사이로 1에 가까운 수치로 추정되고 있어 이들 투입물이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임을 보였다. 또한 인적자본계수는 0.064로 10%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임에 따라 지난 45년 기간 동안 인적자본지수의 한 단위 증가는 약 6.4%의 영구적 경제성장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McNamee, Roger, The New Normal: Great Opportunities in a Time of Great Risk. Portfolio, pp. 135-138, 2004.
  2. 삼성경제연구소, 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뉴 노멀, 2010.
  3. 김선재, 이영화, "뉴 노멀 시대하 한국기업의 R&D투자가 산업간 기술파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 390-39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390
  4. 김선재, 이영화, 임광혁, "인적자본형성으로서의 교육투자와 경제성장과의 관계: OECD 비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 315-32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315
  5. G. Becker, Human Capital, 3rd e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6. J. Benhabib and M. Spiegel, "The role of human capital in economic development: evidence from aggregate cross-country data,"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 34, pp. 143-174, 1994. https://doi.org/10.1016/0304-3932(94)90047-7
  7. L. Pritchett, "Where has all the education gone?," World Bank Economic Review, Vol. 15, pp. 367-391, 1997.
  8. J. Temple, "A positive effect of human capital on growth," Economics Letters, Vol. 65, pp. 131-134, 1999. https://doi.org/10.1016/S0165-1765(99)00120-2
  9. B. Rao and S. Shankar, "Estimating the permanent growth effects of human capital," Applied Economics Letters, Vol. 19, pp. 1651-1653, 2012. https://doi.org/10.1080/13504851.2011.652770
  10. R. Solow,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70, pp. 65-94, 1956. https://doi.org/10.2307/1884513
  11. N. Mankiw, D. Romer, and D. Weil, "A contribution to the empirics of economic growth,"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07, pp. 407-437, 1992. https://doi.org/10.2307/2118477
  12. http://ecos.bok.or.kr
  13. http://kosis.kr
  14. 이종화, 김선빈, "한국의인적자본추계(1963-1993)," 국제경제연구, 제1권, 제2호, pp. 33-64,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