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on Convenience

개인의료정보보안인식이 편의성에 미치는 영향

  • 박정홍 (성균관대학교 SAIHST 의료기기산업학과)
  • Received : 2017.02.22
  • Accepted : 2017.05.04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hat how awareness of importance of personal medical data, laws regarding personal medical data and perception gap regarding information of medical data system may affect usage of hospital convenience between a regular patient who has experienced hospital service and medical professionals. Preceding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previous on establishing research model; 150 questionnaires to a regular patient and 150 questionnaires for a medical professional,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or conducting a question investigation. First of all, the research concluded that there are a regular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a regular patient and medical professional. Moreover, there are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gender, age, and area of residence. Furthermore, medical professionals tend to consider that convenience of hospital usage will be increased if user strengthens recognition of security of personal medical data. Results of hypothesis stress that higher awareness of exposure of personal medical data and medical information system affect decision making convenience for a better usage of hospital. On the other side, awareness of laws related with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does not affect decision making convenience of hospital usage and transac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zes with proof that strengthening awareness of personal medical data security positively increase convenience of decision making and transactions in selection of provided medical service.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인과 의료종사자 사이의 개인의료정보의 중요성, 개인의료 정보 관련 법규, 의료정보시스템에 관한 인식차이와 이를 토대로 병원이용 편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이후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일반인 150부, 의료종사자 150부 총 300부의 설문을 회수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집단 간의 차이분석에서 일반인과 의료종사자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성별, 연령별, 거주지별 집단 간에도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병원이용편의성에 있어서도 의료종사자들은 개인의료정보보안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면 병원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인식이 일반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가설 검정 결과에서는 개인의료정보의 노출 및 의료정보시스템에 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의료기관 활용에 있어서 의사결정 편의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개인의료정보보안 관련 법규에 관하여는 인식이 높아질수록 병원 이용의 의사결정 편의성과 거래 편의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료정보보안에 대한 인식의 강화는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고 선택함에 있어서의 의사결정과 거래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실증분석 했다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정규원, "의료정보의 활용 및 보호," 정보법학, 제6권, 제1호, pp. 3-4, 2002.
  2. 정부균, "환자 의료정보 보호의 문제," 의료법학, 제9권, 제2호, pp. 339-382, 2008.
  3. 조홍석, "위험사회에 있어 개인의 의료정보 보호 방안," 한양법학, 제24권, 제4집, pp. 171-191, 2013.
  4. 이한주,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2권, 제1호, pp. 177-208, 2014.
  5. 장석천, "의료정보보호에 관한 입법방향," 법학연구, 제24권, 제2호, pp. 425-446, 2013.
  6. 김일환,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법제의 분석을 위한 헌법상 고찰," 헌법학연구, 제17권, 제2호, pp. 353-389, 2011.
  7. 방윤희, 이현실, 이일현, "국가별 개인정보보호법 및 외료정보보호법의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 164-17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64
  8. 안성혁, 환자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의료종사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윤지선, 의료기관인증제의 인지도가 의료서비스 질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 김지영, 병원전 응급구조사와 의료진 간 효율적 인 응급의료 정보 공유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1. 이경희,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성과측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균형성과표(BSC)를 중심으로-, 을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2. 정규원, "공법 : 건강정보의 이차적 이용," 법학논총, 제27권, 제1호, pp. 183-197, 2010.
  13. 윤진희, 의료정보 보호와 관련된 환자 및 전자의 무기록 사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정보보호 환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 백윤철, "우리나라에서 의료정보와 개인정보보호," 헌법학연구, 제11권, 제1호, pp. 395-442, 2005.
  15. 주지홍, 왕상한, 조형원, 박민, 이범룡, 의료정보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p. 99-100, 2003.
  16. 김상겸, "독일의 의료정보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5권, 제2호, pp. 1-16, 2005.
  17. 이상명, "공법 : 의료정보화와 의료정보보호," 법학논총, 제25권, 제1호, pp. 39-56, 2008.
  18. 김수배, 설상철, "병원의 편의지향성이 고객의 편의성과 성과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제10권, 제2호, pp. 1-22, 2005.
  19. L. L. Berry, K. Seiders, and D. Grewal, "Understanding Service Convenience," Journal of Marketing, Vol. 66, pp. 1-17, 2002(7).
  20. 김상찬, "영미법상 의료정보에 대한 환자의 엑세스권," 청주대학교 법과정책, 제8호, pp. 20-23, 2002.
  21. 강달천, "u-헬스 서비스(ubiquitous-health care)의 보편화 경향과 개인건강정보보호법제 방향," 중앙법학, 제10집, 제1호, pp. 123-124, 2008.
  22. 박종현, "개인건강정보에 대한 열람권과 정정권-헌법적􀂂비교법적 논의를 통한 현행 법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중앙법학, 제12집, 제3호, pp. 49-85, 2010.
  23. 최명식, "u-헬스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경희대학교 국제법무연구, 제11호, p.177, 2007.
  24. 이창범, "유럽 연합의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법제현황," 선진상사법률연구, 제38권, pp. 75-108, 2007.
  25. 조영복, 우성희, 이상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개인의료정보를 통합한 CloudHIS시스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 27-35, 2014. https://doi.org/10.9708/JKSCI.2014.19.5.027
  26. 김국현, 전자금융서비스의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위한 거래유형과 인증방법에 따른 사용자 선호 분석,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7. 김수배, "의료서비스에서 대기시간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논청, 제23권, pp. 43-61, 2002.
  28. 김한나, 의료기관의 환자정보 보호방안-'정보통신망법'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협회, pp. 1-141, 2010.
  29. 윤성욱, 류정건, 김수배, "요양병원 진료시스템에 따른 진료전문성, 편의성, 상호작용성의 역할 비교연구," 유통연구, 제11권, 제3호, pp. 1-22, 2006.
  30. 배상현, 의료정보 이해능력 관리가 의사와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일반인과 만성질환 환자 비교 중심 분석-, 이화여대,석사학위논문, 2014.
  31. 최혜영, 국가보건의료정보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2. 박하, 의료종사자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과 태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3. 김나리,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실천도와 관련요인,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4. 윤성태, 모바일 의료정보 보안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 ISO/TC215 WG4 국제표준의 국내 허가 규정 적용을 중심으로, 호서대,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