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omponent architecture to support IoT management

IoT 및 네트워크 관리 지원을 위한 컴포넌트 아키텍처 개발

  • 서희경 (영진전문대학 IT정보계열)
  • Received : 2017.05.16
  • Accepted : 2017.06.2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t is important to realize automation services by communicating in IoT with humans, objects & objects, and forming a common network. People used web like the most powerful network way to sharing things and communication. Therefore the efficiency method communication between each device and the web in IoT could be different from ones. The best method for high quality software product in web applications is software reuse ; Modules, classes, patterns, frameworks, and business components are reusable elements of various perspectives. Components is plugged with others through well-defined interfaces, which can overcome the operation and complexity of application development. A web-based distributed environment for IoT applications is a standard architecture use information collected from various devices for developing and using applications. For that reason, the network management which manages the constituent resources for the best service control in IoT application is required as a sub-layer support service in most applications as well as individual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measure to develop a network management system based not only by components but on heterogeneous internetworks. For procedure this, we clarify a component architecture for classifying and classify also the component needed in the IOT and network domain or order the type of real network management system.

IoT 에서는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들이 통신하며 공통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자동화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을 공통적인 네트워크로 공유하는 방식으로 웹은 가장 강력한 수단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IoT에서 사용되는 각 디바이스와 웹과의 통신방식의 효율성은 IoT의 성패를 가름할 수 있다. 웹 응용에서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은 소프트웨어의 고품질과 고생산성을 위한 최상의 방법으로 여겨진다. 모듈, 클래스, 패턴, 프레임워크, 비즈니스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관점의 재사용 요소들이다. 컴포넌트는 잘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른 것들과 쉽게 플러깅함으로써 응용 개발의 근본 문제인 복잡성을 극복하고 개발과 운용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IoT 및 Network Management를 위한 웹 기반의 분산 환경은 각 종 디바이스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응용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표준 아키텍처이다. 따라서 IoT 및 NM 응용에서 최상의 서비스 제어를 위해 구성 자원들을 관리, 체계화하는 네트워크 관리는 개별 응용 뿐 아니라 응용의 대부분에서 하부 계층 지원 서비스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인터 네트워크상에서 컴포넌트 기반 IOT 및 관련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컴포넌트들의 분류 계층화를 위한 컴포넌트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필요로 하는 컴포넌트를 식별, 분류하며 실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유형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민경식,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한국인터넷진흥원, pp. 1, 2013년
  2. 박진태, 표경수, 문일영, "IoT와 웹 기술의 표준화현황 및 동향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1, 2015년 12월
  3. 이승윤, "[ETRI의 사물인터넷]IoT, 웹으로 실현된,"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53640, 2015년
  4. Jeff Gehlbach,. "Managing Networks in a Software-Defined Future," Southern California Linux Expo 2015 (SCaLE13x), pp.9, 2015.
  5. Justin Koh, "The 6 Pillars Of Network Management," http://www.jisikbox.tk/163, pp. 1, March 2016.
  6. 장윤정 채태병, "CBD 개발 방법론 기반의 촬영계획 시스템 최적화 방안 연구," 한국정보과학회학술발표논문집, pp. 410, 2016년 12월
  7. 천두완, 조성현, 김수동, "컴포넌트 기반 개발 (CBD) 설계의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설계로 의 실용적인 변환 기법," http://dx.doi.org/10, pp.463, 2011년
  8. 박상현, 황보선애, 박만곤, "UML 을 사용한 재사용가능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의 아키텍처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09, 2010년 5월
  9. Sanfrancisco Technical Report, http://www-4.ibm.com/software/ad/sanfrancisco
  10. Rudolf K. Keller, Jean Tessier, and Gregor von Bochmann, "A Pattern System for Network Management Interfaces," Communication of the ACM, vol. 41, no. 9, 1998.
  11. http://en.wikipedia.org/wiki/Component
  12. http://www.eclipse.org/modeling/gmp
  13. D. Romero, R. Rouvoy, L. Seinturier and P. Carton, "Service Discovery in Ubiquitous Feedback Control Loops," Proceedings of the 10th IFIP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tributed Applications and Interoperable System, pp. 113-126, 2010.
  14. L. Jedrzejczyk, A. P.Blaine, K. B. Arosha and B. Nuseibeh, "On the Impact of Real-Time Feedback on User's Behaviour in Mobile Location-Sharing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Sixth Symposium on Usable Privacy and Security, 2010.
  15. 신수혜, 박준석, 염근혁, "모바일 도메인의 피드백 환경 구축을 위한 상호작용 모델링 방법", 한국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