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Research on Teachers' Preference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비교 및 교사 선호도 조사

  • Received : 2017.04.13
  • Accepted : 2017.05.19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New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under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Not only contents but also framework of textbooks may be interesting to the mathematics educators and researchers. Considering the high dependency on textbooks in elementary classrooms, the influence of the framework of textbooks in mathematics learning cannot be overlooked. The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the textbook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mathematic lessons, especially when teachers make a lesson plan based on the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the textbook.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to find 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ference about its analysed key points. For longitudinal analysis, we selected 3rd-grade mathematics textbooks of 5th, 6th, 7th, the 2007, and the 2009 national revised curriculums. For horizontal analysis, we selected 3rd-grade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United States and Finland. We compared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various textbooks, and abstracted key elements of the textbook frameworks, and constructed survey questions. Looking at results from survey questions based on analysed key points, we were able to grasp the teachers' preference for unit and lesson frameworks for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new mathematics textbooks are suggested.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초등학교 수업 장면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구성 체제가 수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사의 수업 계획은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를 토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는 수학수업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에 대한 종적, 횡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 그로부터 추출한 주요 특징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교육과정기별 수학 교과서 및 한국, 일본, 미국, 핀란드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에는 몇 가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며, 그에 기초하여 구성한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교과서 개발 시 구성 체제 측면에 있어서의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장윤영, 정선혜(2011).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초등수학교육, 14(3), 293-302.
  2. 교육과학기술부(2010a). 수학 3-1. 서울: (주)두산동아.
  3. 교육과학기술부(2010b). 수학 3-2. 서울: (주)두산동아.
  4. 교육부(1996). 수학 3-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5. 교육부(1998). 수학 5-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6. 교육부(1999). 수학 3-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 교육부(2014).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5-6학년군 교과용도서 연수교재.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8. 교육부(2015a).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2015b).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인적자원부(2007a). 수학 3-가. 서울: (주)천재교육.
  11. 교육인적자원부(2007b). 수학 3-나. 서울: (주)천재교육.
  12. 권종겸, 이봉주(2013).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7(3), 283-299.
  13. 김성준, 이동환(2015).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교과서에 대한 초등 교사 인식 조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2), 143-158.
  14. 김슬기(2011). 2007 개정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삽화의 내용 및 구성 고찰 : 한국, 일본, 중국 교과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재복(2006). 우리나라 교과서 정책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26(2), 21-64.
  16. 김판수, 주와, 홍갑주(2010). Features of Chinese lower-grad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contrast with Korea's. 수학교육학연구, 20(3), 241-254.
  17. 문교부(1990a). 산수 3-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8. 문교부(1990b). 산수 3-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 문교부(1990c). 산수 4-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 박만구(2010). 초등 수학교과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 초등수학교육, 13(1), 25-35.
  21. 박미정(2015). 교과서 체제 구성요소에 관한 수학 교사들의 인식에 근거한 2009 개정 교과서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상욱, 박교식, 김지원(2014). 미국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Everyday Mathematics의 확률영역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75-492.
  23. 박혜민(2016). 초등 수학 우수 수업 사례에 나타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발문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변하예(2015). 수학 스토리텔링 적용 수업에서 개인의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성승민, 채희인, 임희준(2016).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 2009 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67-175.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67
  26. 손수연(2014). 초등학교 1, 2학년 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 실태 조사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신이섭 외(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8. 이재춘, 김선유, 강홍재(2009).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1-15.
  29. 장혜원, 강태석, 임미인(2016).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6(1), 121-141.
  30. 장혜원, 임미인(2016).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및 문장 적합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247-267.
  31. 채은숙(2013).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의미 생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허강, 이종국, 현영호, 정민택, 강환동, 조성준(2005). 교육과정 수시 개정에 따른 교과서 외적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33. Bell, M., et al. (2014a). Everyday Mathematics 3rd Grade Student's Math Journal volume 1. Chicago: McGraw-Hill.
  34. Bell, M., et al. (2014b). Everyday Mathematics 3rd Grade Student's Math Journal volume 2. Chicago: McGraw-Hill.
  35. Bell, M., et al. (2014c). Everyday Mathematics 3rd Grade Teacher's Lesson Guide volume 1. Chicago: McGraw-Hill.
  36. Bell, M., et al. (2014d). Everyday Mathematics 3rd Grade Teacher's Lesson Guide volume 2. Chicago: McGraw-Hill.
  37. Chevallard, Y. (1991). La transposition didactiquedu savoir au savoir enseigne. Grenoble: La pensee sauvage.
  38. WSOY (2009a). Laskutaito in English 3A. 김유미, 도영 (역) (2012). 핀란드 수학교과서 3-1. 서울: 솔빛길.
  39. WSOY (2009b). Laskutaito in English 3B. 김유미, 도영 (역) (2012). 핀란드 수학교과서 3-2. 서울: 솔빛길.
  40. 藤井斉亮 외 40명 (2016a). 新しい算數 3上. 東京: 東京書籍.
  41. 藤井斉亮 외 40명 (2016b). 新しい算數 3下. 東京: 東京書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