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vocational calling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social support mediating effect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경주 (건양대학교 재활복지교육대학) ;
  • 황성원 (건양대학교 아동보육학과)
  • Received : 2017.10.27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atisfactions and educare teacher's vocational calling.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270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Daejeon and Chungnam).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 2017 to August 14, 2017. And it used 257 responses(95.1%) for analysis data except 14 responses due to their unfaithful or unreliable replies. Research results of analysis were as below. First, direct effect of vocational calling on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showed that both vocational calling an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call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upport. In conclusion, it was known that job satisfaction became higher if vocational calling of educare teachers received social support. It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establish soc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raising vocational calling of educare teach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과 충남지역 보육교사 270명을 지역적 위치를 고려하여 임의표집하여 전체 표본의 크기로 설정하였다.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14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내용을 불성실하게 기재하였거나 신뢰할 수 없는 14부를 제외한 257부(95,1%)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에 대해 직업소명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직무만족도에 대해 직업소명의식과 사회적 지지는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소명의식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사회적 지지를 받을 때,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았다. 보육교직원의 직업소명을 높이는 사회적 심리적 지원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진, 김정숙, 김승진, 안혜준(2016).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직업행복감 증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6-24.
  2. 권선영(2014). 한국형 직업소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선영, 김명소(2014). 직업소명의 구성개념과 소명 실천의 도움 및 방해 요인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1(6), 383-410
  4. 권영미(201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예송(2017).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민서(2015).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은설, 이진화, 김혜진, 배지아(2014). 유치원.어린이집 운영 실태 비교 및 요구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4-17.
  8.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46(2), 123-149.
  9. 김학선(2014). 보육교사의 적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홀리스틱연구, 18(3), 49-74.
  10. 노종희(2001). 교원 직무만족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9, 163-182.
  11. 도순남(2000).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문고은(2014). 유아교사의 직업의식,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민혜영, 윤미정(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14. 명준희(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만옥(2004).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선화(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유미(2011). 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은혜(2009).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정서(1997). 초등교사의직무스트레스에미치는사회적지원의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변중현(2008).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보건복지부(2016). 보육통계 2016.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3. 신윤정(2013). 학생의 진로소명, 진로 자기효능감 및 내적 동기와 진로 적응성의 관계. 상담학연구, 14(1), 209-226.
  24. 안혜정(2013). 유치원교사의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사회적지지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엄소형(2014).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와 소진 간의 관계-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옥장흠(2009).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75-200.
  27. 유미나(2013).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 직장 내 사회적지지.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은경(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유현정(2017).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의 통합보육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서현(2016).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주인의식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은경(2011). 청소년 지도자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정소년연구, 22(1), 115-140.
  32. 이은선(2017).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지민(2017). 직업상담사의 소명의식과 내재적 직무만족 간의 관계 : 조직방해인식을 조절효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지연, 황현숙, 장진이 (2012).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0(2), 495-515.
  35. 임진형(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진이, 이지연(2014).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 소명 수행의식,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123-146.
  37. 장진이, 이지연(2014).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명수행의식,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직업만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1), 259-278.
  38. 장형석(2000).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심리과학연구지, 1(1).
  39. 정효정(2003). 보육교사의 조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3, 273-305.
  40. 정혜옥, 이옥형(2011). 초임 유아교사의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자아 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41. 조성연, 구현아(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42. 조성자, 문수백, 민하영(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5-32.
  43. 조현숙, 이종태, 손해숙, 박진국(2002).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 수준. 인제의학, 23(5), 691-702.
  44. 주연희(2004). 유아교육기관 신임교사의 역할수행 관계 변인의 영향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진홍섭(2016). 직업상담 분야 직무환경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차정주, 강호수(2014). 교사의 소명감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30(2), 149-169.
  47. 최미숙(2012). 보육교사의 업무수행에 따른 인간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최은주(2015).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최진아(1996).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적응능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51. 배병렬(2014). LISREL 9.1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52. Davidson, J. C., & Caddell, D. P.(1994). Religion and the meaning of work.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53. Dik, B. J., & Duffy, R. D.(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2), 424-450. https://doi.org/10.1177/0011000008316430
  54. Duffy, R. D., Allan, B. A., Autin, K. L., & Bott, E. M.(2013).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it's not about having it, it's about living i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0(1), 42-52. https://doi.org/10.1037/a0030635
  55. House. J. S.(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Addison-Wesley.
  56. Steger, M. F., Pickering, N. K., Shin J. Y., Dik. B. J.(2010). Callin In Work: Secular Or Sacred.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8(1), 82-96. https://doi.org/10.1177/1069072709350905
  57.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Cited by

  1.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Urban-to-Rural Migrants’ Job Satisfaction vol.50, pp.3, 2018, https://doi.org/10.23840/agehrd.2018.50.3.41
  2. 공군 조종사의 소명의식과 이직의도의 관계 : 역할갈등의 매개효과 vol.27, pp.1, 2017, https://doi.org/10.12985/ksaa.2019.27.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