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rofessor Presence and Interaction on PAD and Satisfaction in a University Class

대학 수업의 교수실재감과 상호작용이 PAD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윤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경영경제학부) ;
  • 박지연 (울산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17.05.18
  • Accepted : 2017.07.14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Although student satisfaction is important in university developmen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 this area. Especially student satisfaction is closely related to emotional aspect, but most studies have tended to study it with cognitive view. To suggest the model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hedonic view, the model which we present in this study includes professor presence and interaction, PAD(pleasure, arousal, dominance), satisfaction(dependent variable). Through reviewing previous studies, we expect that these professor presence and students' interaction effect PAD, in turn, PAD effect satisfaction. Survey research is employed to test hypotheses involving professor presence, students' interaction, PAD and satisfaction. Previous researches, such as education, marketing, game, have been referenced to measure constructs. We collected data involving students in a university, and used 219 respondents to analyze these data using LISREL structural modeling. Professor presence had positive effects 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Also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positive effect on pleasure and arousal,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pleasure and arousal, dominance. As a result, PAD had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final section, we discussed several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managerial implications, including the potential to advance understanding learning in a university.

현재 학생 수 감소로 인해 대학별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는데, 특히 대학의 핵심서비스인 수업만족도 향상은 경쟁력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이런 중요성으로 인해 수업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수업의 감정적 부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만족도의 중요한 요인이 감정임을 볼 때, 수업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감정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연구에서 만족의 선행요인으로 확인된 PAD(Pleasure, arousal, dominance)를 대학수업에 적용하여 대학 수업의 감정적 측면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감정을 자극하는 변수로서 교수실재감과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제시하고 PAD와 수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219명의 대학생 표본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수실재감은 교수-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고, 즐거움, 각성, 지배감과 같은 감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수-학습자 상호작용은 즐거움과 각성에 영향을 주고,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즐거움, 각성, 지배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즐거움, 각성, 지배감은 모두 수업만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로 수업의 인지적 부분에 집중하던 기존 연구에 다른 시각을 제공해주며,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 감정을 자극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수업방식을 개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안나, 이병식,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요인 분석," 한국교육, 제30권, pp.367-392, 2003.
  2. A. W. Astin,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sisco: Jossey-Bass, 1993.
  3. P. A. Willing and S. D. Johnson,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Decision to Dropout of Online Courses,"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 Vol.8, No.4, pp.105-118, 2004.
  4. 김지심, 강명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9-56, 2010.
  5. 고장완, 김현진, 김명숙, "대학생의 학습 및 비학습 경험이 인지적 정의적 성과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9권, 제4호, pp.169-194, 2011.
  6. Y. Atila and Y. Fisun "Shopping Risk Perceptions: Effects on Tourists'Emotions, Satisfaction and Expressed Loyalty Intentions," Tourism Management, Vol.28, No.3, pp.703-713, 2007. https://doi.org/10.1016/j.tourman.2006.04.025
  7. R. L. Oliver,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66, pp.151-167, 1999.
  8. P. Kotler and G. Armstrong, Marketing An Introduction, Prentice Hall., 1989.
  9. S. Merriam and S. B. Merrima, "The New Update on Adult Learning Theory," San Francisco: The E-Learning Developers' Journal, pp.1-8, 2001.
  10. Y. Levy, "Comparing Dropouts and Persistence in E-learning Courses, Computers & Education, Vol.48, No.2, pp.185-204, 2007. https://doi.org/10.1016/j.compedu.2004.12.004
  11. L. S. Unger and J. B. Kernan, "On the Meaning of Leisure: An Investigation of Some Determinants of the Subjective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No.1, pp.381-392, 1983. https://doi.org/10.1086/208932
  12. L. Rourke, T. Anderson, D. R. Garrison, and W. Archer, "Assessing Social Presence in Asynchronous Text-based Computer Conferences,"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4, No.2, pp.50-71, 1999.
  13. Barry J. Babin, William R. Darden, and Mitch Griffin,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0, pp.644-656, 1994. https://doi.org/10.1086/209376
  14. Izard, Carroll E., Human Emotions, New York: Plenum Press, 1977.
  15. R. E. Ornstein, The Psychology of Consciousness, 2nd ed., New York: Penguin Books, Inc. 1977.
  16. William J. Havlena and Morris B. Holbrook, "The Varieties of Consumption Experience: Comparing Two Typologies of Emotion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pp.394-404, Dec. 1986. https://doi.org/10.1086/209078
  17. Meharabian, Albert and James A. Russell,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Cambridge: TheMIT Press;26, 1974,
  18. 한광현, 이한철, 김태웅, "이용충족관점에서의 모바일게임 플레이어 유형과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9권, 제2호, pp.16-38, 2007.
  19. D. M. Koo and J. H. Lee, "Inter-Relationships among Dominance, Energetic and Tense Arousal, and Pleasure, and Differences in Their Impacts under Online vs. Offline Environ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pp.1740-1750, 2011. https://doi.org/10.1016/j.chb.2011.03.001
  20. James A. Russell and Albert Mehrabian, "Evidence for a Three-factor Theory of Emotion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11, pp.273-294, 1977. https://doi.org/10.1016/0092-6566(77)90037-X
  21. S. Menon and B. Kahn, "Cross-Category Effects of Induced Arousal and Pleasure on the Internet Shopping Experience," Journal of Retailing, Vol.78, No.1, pp.31-40, 2002. https://doi.org/10.1016/S0022-4359(01)00064-1
  22. J. S. Halonen, "Classroom Presence," In S. F. D. a. W. B. (Ebs.)(Ed), The Teaching of Psychology: Essays in Honor of Wilbert J. McKeachie and Charles F. Brewer(pp.41-55), Mahwah, NJ: Lawrence Eribaum Associates, 2002.
  23. R. Kessler, "The Teaching Presence," Virginia Journal of Education, Vol.94, No.2, pp.1-12, 2000.
  24. 고은현,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5. C. L. Thornam, Teaching Presence in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nver: University of Colorado, 2003.
  26. 김규동, 고유정, 최고은, 박인우,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교육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69-188, 2012.
  27. 이정민, 윤석인,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 교수실재감의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449-458, 2011.
  28. 구진아, 국어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학습효과 예측력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9. Jordan L. LeBel and Laurette Dube, "Understanding Pleasure; Source, Experience, and Remembranc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5, pp.176-180, 1998.
  30. 이은주, 박인우,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만족도에 대한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자 참여의 예측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pp.195-219, 2012.
  31. M. G. Moore and G. Kearsley, Distance education,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6.
  32. 박은영, "웹기반 영작문교육에서의 동료수정 양상 연구," 영어어문교육, 제10권, 제1호, pp.107-126, 2004.
  33. 임철일, "상호작용적 웹기반 수업 설계를 위한 종합적 모형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제15권, 제1호, pp.3-24, 1999.
  34. 박형근, "학습성취도 향상을 위한 소그룹 협동학습 방안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제3권, 제1호, pp.40-44, 2011.
  35. 도승이, "교실 토론상황에서 학생의 감정, 인지, 행동의 상호작용: 근거이론 분석법을 통한 모델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1호, pp.17-39, 2005.
  36. 배상훈, 홍지인, "교수와 상호 작용 및 대학의 지원이 중국인 유학생의 능동적 수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비교교육연구, 제23권, 제6호, pp.109-134, 2013.
  37. 김정겸, 김지숙,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대학생의 수업참여 특성 이해," 한국교육, 제37권, 제4호, pp.149-185, 2010.
  38. M. M. Kim, "Institutional Effectiveness of Women-Only Colleges: Cultivating Students' Desire to Influence Social Condition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72, pp.287-321, 2001.
  39. 녕셜, 김기수,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유라시아연구, 제9권, 제4호, pp.91-118, 2012.
  40. 천명환, 정철호, "SNS 사용자의 지각된 상호작용성 및 위험이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제7권, 제6호, pp.9-19, 2012.
  41. 최동성, 박성준, 김진우,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게임의 중요요소에 대한 LISREL 모델 분석," 경영정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21, 2001.
  42. Morris B. Holbrook and Elizabeth C. Hirschma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pp.132-140, 1982. https://doi.org/10.1086/208906
  43. R. A. Westbrook and R. L. Oliver, "The Dimensionality of Consumption Emotion Patterns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8, No.1, pp.84-91, 1991. https://doi.org/10.1086/209243
  44. 오병돈, "교대생의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93-104, 2014.
  45. Richard P. Bagozzi and Y. J.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Spring, pp.74-94, 1988. https://doi.org/10.1007/BF02723327
  46. G. D. Kuh, N. Vesper, and C. R. Pace, "Using Process Indicators to Estimate Student Gains Associated with Good Practices in Undergraduate Education,"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38, pp.435-454, 1997. https://doi.org/10.1023/A:1024962526492
  47. 강숙희, "중학교 사이버수업에서 운영유형이 학업성취도와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19권, 제3호, pp.231-259,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