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Skills

가족건강성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 정연정 (시민교육과 사회정책을 위한 마중물)
  • Received : 2017.06.26
  • Accepted : 2017.07.31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and solving skills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ttain this purpose, it utilized the data which examine 2,422 elementary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chool social work in S City. The data collected is analyzed by frequency, correlation, regression with SPSS 2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family strength, problem solving skills, school adjustment Secondly, family strength directly affected the students without the mediator variable on school adjustment. Lastly, family strength had a decis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problem solving skills. Based on this results in the study, we need a strategy of sustainable family strength and solving skills in order to help school adjustmen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문제해결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 학교사회복지사업 운영 초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은 2,422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과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가족건강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매개변인 없이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가족건강성은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 건강성을 높이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 제반 환경적 자극을 통해 아동들의 적절한 발달적 과업을 이루도록 돕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백, 김남희, "교원평가를 위한 지표로서 학생-교사 애착관계도구(STARS)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Vol.23, No.4, pp.697-714, 2009.
  2. 심혜경, 아동우울과 지각된 교우관계, 교사, 부모 양육태도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2005.
  3. 이봉주, 김선숙, 안재진, 유조안, 지표를 통해 본 한국아동의 삶의 질, 세이브더칠드런․서울대사회복지연구소, 2015.
  4. 이정선, 이형실, "청소년의 우울관련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4, pp.77-89, 2012.
  5. R. Caosnoe and G. H. Elder, "Family dynamics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educational resilience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Family issues, Vol.25, No.5, pp.22-34, 2004.
  6. 김경은, 최은희, "가족건강성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9, No.4, pp.641-653, 2010. https://doi.org/10.5934/KJHE.2010.19.4.641
  7. 민동일,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8. 장성화, 대안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의 인과적 구조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9. M. B. Barbara and J. G. Martha, "School adaptation: A triangular proces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6, No.2, pp.345-370, 1999. https://doi.org/10.3102/00028312036002345
  10. 박민주, 황기아,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Vol.10, No.2, pp.43-51, 2007.
  11. 이혜경,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 생활부적응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009.
  12. 임정아, 이인수,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 적응 연구," 아동교육, Vol.15, No.2, pp.37-62, 2006.
  13. 이경란,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4. 강철, 김금희, "사회복지실천방법으로서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7권, 제2호, pp.153-183, 2015.
  15. 어은주, 유영주, "한국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15, No.4, pp.269-285, 1997.
  16. S. Sweeney and E. Homeyer, Group Play Therapy, San Francisco : Jossey Bass, 1999.
  17. 박은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자녀 관계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8. 조영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애착이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차이,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9. 최인재,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개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2, pp.45-56, 2007.
  20. 유명희, 중․고등학생의 온라인게임 이용빈도에 따른 게임중독과 사회적문제해결능력 및 학교적응,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1. 정다혜, 박중규, "초기 부적응 도식과 문제해결 능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치행동치료, Vol.17, No.1, pp.123-139, 2017.
  22. 노안영, 학업중단 비행청소년의 심리적 성장환경과 문제해결능력 및 자아탄력성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3. 장정희,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 :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석사논문, 2015.
  24. 김상곤,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 활용가능한 다체계 사정도구 개발: 생태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5. 김혜래, 최승희, "가족건강성과 학교체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30호, pp.159-182, 2009.
  26. D. L. DuBois, S. K. Eitel, and R. D. Felner,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n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6, pp.405-414, 1994. https://doi.org/10.2307/353108
  27. 배정이, "학생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의 인과구조 분석," 한간호학회지, Vol.38, No.3, pp.454-464, 2008.
  28. 이정윤, 이경아,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지, Vol.16, No.2, pp.261-276, 2004.
  29. 장영애, 박정희, "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Vol.13, No.2, pp.69-88, 2008.
  30. T. J. D'zurilla, Problem-solving therapy: A social competence approach to clinical interven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6.
  31. 유혜은, 가족 차생활과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2. 이경은, "가족자원봉사경험과 가족의 건강성에 관한연구,"한국사회복지학, 통권52권, pp.63-87, 2003.
  33. N. Stinnet and J. Defrain,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1985.
  34. 정다혜, 초기부적응 도식과 문제해결능력이 청소년의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5. 김대업,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모형분석, 학현사, 2008.
  36. 배병렬, AMOS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청람, 2007.
  37. 김미정, 염동문,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이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Vol.29, No.2, pp.1-29, 2013.
  38. 이학식,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회귀분석, 집현재, 2012.